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上)

주역전의(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전의(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 剝 序卦 賁者 飾也 致飾然後亨則盡矣 故受之以剝이라하니라 夫物至於文飾이면 亨之極也 極則必反이라 故賁終則剝也 卦五陰而一陽이요 陰始自下生하여 漸長至於盛極하여 群陰 消剝於陽이라 故爲剝也 以二體言之하면 山附於地하니 山高起地上이어늘 而反附著於地하니 頹剝之象也
23. 剝 ䷖
不利有攸往니라
[傳] 剝者 群陰長盛하여 消剝於[一无於字]陽之時 衆小人 剝喪於[一无於字]君子 故君子不利有所往이요 唯當巽言晦迹하여 隨時消息하여 以免小人之害也
彖曰 剝 剝也ㅣ니 變剛也ㅣ니
不利有攸往 小人 長也라
[傳] 剝剝也 謂剝落也 柔變剛也 柔長而剛變也 하니 是陰柔變剛陽也 小人之道어늘 方長盛而剝消於[一作剛]陽이라 故君子不利有所往也
順而止之 觀象也ㅣ니 君子 尙消息盈虛 天行也ㅣ라
[傳] 君子當剝之時하여 知不可有所往하고 順時而止 乃能觀剝之象也 卦有順止之象하니 乃處剝之道 君子當觀而體之 君子尙消息盈虛天行也 君子存心消息盈虛之理而能順之라야 乃合乎天行也 有消衰, 有息長하고 有盈滿, 有虛損하니 順之則吉하고 逆之則凶하나니 君子隨時敦尙 所以事天也
象曰 山附於地이니야 厚下야 安宅니라
[傳] 艮重於坤 山附於地也 山高起於地而反附於地 圮剝之象也 謂人君與居人上者 觀剝之象而厚固其下하여 以安其居也 下者 上之本이니 未有基本固而能剝者也 故上[一作山]之剝 必自下하나니 下剝則上危矣 爲人上者 知理之如是 則安養人民하여 以厚其本하니 乃所以安其居也 書曰 民惟邦本이니 本固邦寧이라하니라
初六 剝牀以足이니 蔑貞이라토다
[傳] 陰之剝陽 自下而上이라 以牀爲象者 取身之所處也 自下而剝하여 漸至於身也 剝牀以足 剝牀之足也 剝始自下 故爲剝足이라 陰自下進하여 漸消蔑於[一无於字]貞正하니 凶之道也 无也 謂消亡於正道也[一作消亡正道也 一作消亡於正也] 陰剝陽, 柔變剛 是邪侵正, 小人消君子 其凶可知
象曰 剝牀以足 以滅下也ㅣ라
[傳] 取牀足爲象者 以陰侵沒陽於下也 沒也 侵滅正道하여 自下而上也
六二 剝牀以辨이니 蔑貞이라토다
[傳] 辨 分隔上下者 牀之幹也 陰漸進而上하여 剝至於辨이면 愈蔑於正也 凶益甚矣
象曰 剝牀以辨 未有與也라
[傳] 陰之侵剝於[一作剛]陽하여 得以益盛하여 至於剝辨者 以陽未有應與故也 小人侵剝君子 若君子有與 則可以勝小人하여 不能爲害矣어늘 唯其无與일새 所以被蔑而凶이라 當消剝之時하여 而无徒與 豈能自存也리오 言未有與 剝之未盛 有與 猶可勝也 示人之意深矣로다
六三 剝之无咎ㅣ니라
[傳] 衆陰剝陽之時而三獨居剛應剛하니 與上下之陰異矣 志從於正하니 在剝之時하여 爲无咎者也 三之爲 可謂善矣어늘 不言吉 何也 曰 方群陰剝陽하고 衆小人害君子하여 三雖從正이나 其勢孤弱하고 所應 在无位之地하니 於斯時也 難乎免矣 安得吉也리오 其義爲无咎耳 言其无咎 所以勸也
象曰 剝之无咎 失上下也라
[傳] 三居剝而无咎者 其所處與上下諸陰不同하니 是與其同類相失이니 於處剝之道 爲无咎 是也
六四 剝牀以膚ㅣ니니라
[傳] 始剝於牀足하여 漸至於膚하니 身之外也 將滅其身矣 其凶可知 陰長已盛하고 陽剝已甚하여 貞道已消 故更不言蔑貞하고 直言凶也하니라
象曰 剝牀以膚 切近災也ㅣ라
[傳] 五爲君位어늘 剝已及四하니 在人則剝其膚矣 剝及其膚하여 身垂於亡矣 切近於災禍也
六五 야 以宮人寵이면 无不利리라
[傳] 剝及君位 剝之極也 其凶可知 故更不言剝而別設義하여 以開小人遷善之門이라 群陰之主也 陰物이라 故以爲象이라 五能使群陰으로 順序 如貫魚然하여 反獲寵愛於在上之陽 如宮人이면 則无所不利也 宮人 宮中之人이니 妻妾侍使也 以陰言하고 且取獲寵[一作親]愛之義하니 以一陽在上하여 衆陰有順從之道 故發此義
象曰 以宮人寵이면 終无尤也ㅣ리라
[傳] 群陰 消[一无消字]剝於[一无於字]陽하여 以至於極하니 六五若能長率群陰하고 騈首順序하여 反獲寵愛於陽이면 則終无過尤也 於剝之將終 復發此義하니 聖人勸遷善之意 深切之至也
上九 碩果不食이니 君子 得輿고 小人 剝廬ㅣ리라
[傳] 諸陽 消剝已盡하고 獨有上九一爻尙存하니 如碩大之果不見食하여 將見復生之理하니 上九亦[一作一 一作已]變則純陰矣 然陽无可盡之理하니 變於上則生於下하여 无間可容息也 聖人發明此理하여 以見陽與君子之道不可亡也하시니라 或曰 剝盡則爲純坤하니 豈復有陽乎 曰 以卦配月이면 則坤當十月하니 以氣消息言이면 則陽剝[一有盡字]爲坤이요 陽[一有復字]來爲復하니 [一有然字]陽未嘗盡也 剝盡於上이면 則復生於下矣 故十月 謂之陽月이니 恐疑其无陽也 陰亦然호되 聖人不言耳 陰道盛極之時 其亂可知 亂極則自當思治 故衆心願載於君子하니 君子得輿也 理旣如是하고 在卦 亦衆陰宗陽하니 爲共載之象이라 小人剝廬 若小人則當剝之極하여 剝其廬矣 无所容其身也 更不論爻之陰陽하고 但言小人處剝極則及其廬矣 取在上之象이라 或曰 陰陽之消[一作交]必待盡而後復生於下어늘 此在上 便有復生之義 何也 曰 上九居剝之極하여 止有一陽하니 陽无可盡之理 故明其有復生之義하여 見君子之道不可亡也 夬者 陽消陰이니 小人之道也 故但言其消亡耳 何用更言却有復生之理乎
象曰 君子得輿 民所載也ㅣ오 小人剝廬 終不可用也ㅣ라
[傳] 正道消剝旣極이면 則人復思治 故陽剛君子爲民所承載也 若小人處剝之極이면 則小人之窮耳 終不可用也 非謂九爲小人이요 但言剝極之時 小人如是也
역주
역주1 하지일음생이점장(夏至一陰生而漸長)……즉극이성박(則極而成剝) : 건술(建戌)은 북두성(北斗星)의 자루가 술방(戌方)을 가리키는 달로 음력 9월에 해당한다. 5월인 하지(夏至)에 음(陰) 하나가 생겨 구괘(姤卦)[䷫]가 되고 6월은 이음(二陰)의 돈괘(遯卦)[䷠], 7월은 삼음(三陰)의 비괘(否卦)[䷋], 8월은 사음(四陰)의 관괘(觀卦)[䷓], 9월은 오음(五陰)의 박괘(剝卦)[䷖]가 되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2 : 착
역주3 동한지여강(東漢之呂强) : 여강(呂强)은 자(字)가 한성(漢盛)이고 성고(成皐) 사람인 바, 환관(宦官)으로 소황문(小黃門)이 되고 영제(靈帝) 때에 준례에 따라 후(侯)에 봉해지게 되었으나 이를 굳이 사양하였으며, 황건적(黃巾賊)이 일어나자 군주의 측근에 있는 탐관오리들을 제거하고 금고(禁錮)에 처한 당인(黨人)들을 모두 사면할 것을 청하였다. 뒤에 동료 환관의 모함을 받고 잡혀오게 되자, 자살하였다.
역주4 관어(貫魚) : 사계(沙溪)는 “관어(貫魚)의 관(貫)은 여러 첩(妾)들을 꿴다는 뜻이다. 꿰는 것은 후비(后妃)가 하는 것이요 물고기는 바로 여러 첩(妾)들이다.” 하였다. 《경서변의(經書辨疑)》
역주5 시비풍하천(詩匪風下泉) 소이거변풍지종야(所以居變風之終也) : 비풍(匪風)은 《시경(詩經)》 회풍(檜風)의 마지막 편이고 하천(下泉)은 조풍(曹風)의 마지막 편이며, 변풍(變風)은 십삼열국풍(十三列國風)을 이른다. 《시경(詩經)》은 내용상 풍(風)‧아(雅)‧송(頌)의 셋으로 나누며, 아(雅)는 소아(小雅)와 대아(大雅)로, 풍(風)‧아(雅)는 또 정(正)‧변(變)으로 나누어 정풍(正風)과 변풍(變風), 정소아(正小雅)와 변소아(變小雅), 정대아(正大雅)와 변대아(變大雅)로 구분한다. 그리하여 정풍(正風)은 주남(周南)‧소남(召南)을 이르고 변풍(變風)은 패풍(邶風) 이하 십삼열국풍(十三列國風)을 이르는데,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은 모두 주(周)나라 왕실이 쇠약함을 서글퍼한 내용이므로 ‘변풍(變風)의 끝에 있다’고 말한 것이다. 물론 조풍(曹風)의 뒤에도 빈풍(豳風)이 더 있지만 빈풍(豳風)은 주공(周公)이 선조인 후직(后稷)과 공유(公劉)의 교화(敎化)를 서술하여 성왕(成王)을 경계한 것이어서 다른 열국풍(列國風)과는 성질상 다르기 때문에 조풍(曹風)이 변풍(變風)의 끝이 되는 것이다.
역주6 쾌지상육(夬之上六) 하이언종유흉(何以言終有凶) : 쾌괘(夬卦)의 상육효사(上六爻辭)에 “상육무호(上六无號) 종유흉(終有凶)”이라 하였으므로 말한 것이다.
周易正義(2)(주역정의(2)) 周易兼義 上經 隨傳 卷第三> 23. 剝䷖ 坤下艮上
不利有攸往하니라
剝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
[疏]正義曰:‘剝’者, 剝落也. 今陰長變剛, 剛陽剝落, 故稱剝也. 小人旣長, 故不利有攸往也.
正義曰:[剝] 깎이고 떨어짐이다. 지금 陰이 자라 剛을 변화시켜 剛陽이 剝落되었다. 그러므로 ‘剝’이라 칭한 것이다. 小人이 이미 자라나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은 것이다.
彖曰 剝 剝也 柔變剛也 不利有攸往 小人長也 順而止之 觀象也 君子尙消息盈虛 天行也
〈彖傳〉에 말하였다. “剝은 깎임이다. 柔가 剛을 변화시킨 것이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小人이 자라기 때문이다. 순히 하고 그침은 形象을 관찰하는 것이니, 君子가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빔을 숭상함은 하늘의 행함이다.
[注]坤順而艮止也 所以順而止之하여 不敢以剛止者 以觀其形象也
坤은 순하고 艮은 그치니, 순하고 그쳐서 감히 剛함으로써 그치지 않는 이유는 그 형상을 관찰하기 때문이다.
强亢激拂하면 觸忤以隕身하니 身旣傾焉하고 功又不就 非君子之所尙也
강하고 높으며 부딪치고 어기면 저촉하고 거슬려서 몸을 기울게 하니, 몸이 이미 기울고 功을 또 이루지 못함은 君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니다.
[疏]‘彖曰’至‘天行也’
經의 [彖曰]에서 [天行也]까지
○正義曰:‘剝 剝也’者, 釋剝卦名爲剝, 不知何以稱剝, 故釋云“剝者解剝之義”, 是陰長解剝於陽也.
○正義曰:[剝 剝也] 剝卦의 이름이 剝이 됨을 해석한 것이니, 왜 ‘剝’이라고 칭했는지 알지 못하므로 해석하기를 “剝이라는 것은 解剝의 뜻이다.”라고 한 것이다. 이는 陰이 자라 陽을 풀고[解] 깎은 것이다.
‘柔變剛’者, 釋所以此卦名剝之意也.
[柔變剛] 이 卦를 ‘剝’이라고 이름하게 된 뜻을 해석한 것이다.
‘不利有攸往 小人道長’者, 此釋不利有攸往之義, 小人道長, 世旣闇亂, 何由可進, 往則遇災, 故不利有攸往也.
[不利有攸往 小人道長] 이는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小人의 道가 자라서 세상이 이미 어둡고 혼란하니 어떻게 나아갈 수 있겠는가. 가면 재앙을 만난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은 것이다.
[疏]‘順而止之 觀象’者, 明在剝之時, 世旣无道, 君子行之, 不敢顯其剛直, 但以柔順止約其上, 唯望君上形象, 量其顏色而止也.
[順而止之 觀象] 剝의 때에 있어서 세상에 이미 道가 없으면 君子가 행함에 감히 강직함을 드러내지 못하고 다만 유순함으로써 윗사람을 그치게 하고 묶으니, 오직 君上의 형상을 관망하여 그 얼굴빛을 헤아려서 그침을 밝힌 것이다.
‘君子尙消息盈虛 天行’者, 解所以在剝之時, 順而止之. 觀其顏色形象者, 須量時制變, 隨物而動.
[君子尙消息盈虛 天行] 剝의 때에 있어서 순히 하고 그치는 이유를 해석한 것이니, 그 안색과 형상을 관찰하는 것은 모름지기 때를 헤아려 변화에 대응해서 물건을 따라 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君子通達物理, 貴尙消息盈虛, 道消之時, 行消道也, 道息之時, , 行盈道也, 在虛之時, 行虛道也.
君子가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여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빔을 귀하게 여기고 숭상하니, 道가 사라질 때에는 사라지는 道를 행하고 道가 불어날 때에는 불어나는 道를 행하며, 가득할 때에 있어서는 가득한 道를 행하고 빌 때에 있어서는 빈 道를 행하는 것이다.
若值消虛之時, 存身避害, 也, 若值盈息之時, 極言正諫, 建事立功也.
만일 사라지고 빌 때를 만나면 몸을 보존하고 害를 멀리하여 행실을 높이 하되 말은 공손하게 하며, 만약 가득하고 불어날 때를 만나면 지극히 말하고 바르게 諫해서 일을 세우고 功을 세우는 것이다.
天行, 謂逐時消息盈虛, 乃天道之所行也. 春夏始生之時, 天氣盛大, 秋冬嚴殺之時, 天氣消滅, 故云“天行也.”
‘天行’은 때에 따라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비우게 함이 바로 天道가 행하는 바임을 말한 것이다. 봄과 여름의 처음 낳는 때에는 하늘의 기운이 성대하고, 가을과 겨울의 매섭게 죽일 때에는 하늘의 기운이 소멸된다. 그러므로 “하늘의 행함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注‘坤順而艮止也’至‘君子之所尙也’
○注의 [坤順而艮止也]에서 [君子之所尙也]까지
○正義曰:‘非君子之所尙’者, 不逐時消息盈虛, 於无道之時, 剛亢激拂, 觸忤以隕身, 身旣傾隕, 功又不就, 非君子之所尙也.
○正義曰:[非君子之所尙] 때를 따라 사라지고 불어나며 가득하고 비게 하지 않고, 无道할 때에 강하고 높으며 부딪치고 어기면 저촉하고 거슬려서 몸을 기울게 하니, 몸이 이미 기울고 功을 또 이루지 못하는 것은 君子가 숭상하는 바가 아니다.
象曰 山附於地 剝이니 上以厚下安宅하니라
〈象傳〉에 말하였다. “산이 땅에 붙은 것이 剝卦이니, 윗사람이 보고서 아래를 두텁게 하고 집을 편안히 한다.”
[注]厚下者 牀不見剝也 安宅者 物不失處也 厚下安宅 治剝之道也
‘아래를 두텁게 한다.’는 것은 牀이 깎임을 당하지 않는 것이요, ‘집을 편하게 한다.’는 것은 물건이 처소를 잃지 않는 것이니, 아래를 두텁게 하고 집을 편안히 함은 剝을 다스리는 방도이다.
[疏]正義曰:‘山附於地 剝’者, 山本高峻, 今附於地, 卽是剝落之象, 故云“山附於地, 剝”也.
正義曰:[山附於地 剝] 산은 본래 높은데 이제 땅에 붙어 있으니, 바로 剝落의 象이다. 그러므로 “산이 땅에 붙어 있는 것이 剝卦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上以厚下安宅’者, 剝之爲義, 從下而起, 故在上之人, 當須豐厚於下, 安物之居, 以防於剝也.
[上以厚下安宅] 剝(깎이고 무너짐)의 뜻이 아래로부터 일어난다. 그러므로 위에 있는 사람은 마땅히 아래를 두텁게 하여 물건의 거처를 편안히 해서 깎임을 방비하는 것이다.
初六 剝牀以足이니 蔑貞하여하니라
初六은 牀(침상이나 걸상)을 깎되 상의 발을 함이니, 바름을 깎아 흉하다.
[注]牀者 人之所以安也 剝牀以足 猶云剝牀之足也
牀은 사람이 편안히 여기는 것이니, ‘剝牀以足’은 ‘牀의 발을 깎는다’고 말한 것과 같다.
猶削也 剝牀之足 滅下之道也 下道始滅하여 剛隕柔長하면 則正削而凶來也
‘蔑’은 깎임과 같으니, 牀의 발을 깎음은 아래의 道를 멸하는 것이다. 아래의 道가 처음 멸하여 剛이 기울고 柔가 자라면 바른 것이 깎이고 흉한 것이 오는 것이다.
[疏]正義曰:‘剝牀以足’者, 牀者, 人之所以安處也. 在剝之初, 剝道從下而起, 剝牀之足, 言牀足已剝也, 下道始滅也.
正義曰:[剝牀以足] ‘牀’은 사람이 편안히 거처하는 것이다. 剝의 초기에 있어서 剝의 道가 아래로부터 시작되어 牀의 발을 깎으니, 牀의 발이 이미 깎여서 아래의 道가 처음 멸함을 말한 것이다.
‘蔑貞 凶’者, 蔑, 削也, 貞, 正也. 下道旣蔑, 則以侵削其貞正, 所以凶也.
[蔑貞 凶] ‘蔑’은 깎임이요, ‘貞’은 바름이다. 아래의 道가 이미 깎이면 점점 貞正함을 侵削하니, 이 때문에 흉한 것이다.
象曰 剝牀以足 以滅下也
〈象傳〉에 말하였다. “‘牀을 깎되 상의 발을 함’은 아래를 멸하는 것이다.”
[疏]正義曰:釋剝牀以足之義. 牀在人下, 足又在牀下, 今剝牀之足, 是盡滅於下也.
正義曰:‘牀을 깎되 상의 발을 함’의 뜻을 해석하였다. 牀은 사람의 아래에 있고 발은 또 상의 아래에 있는데 이제 상의 발을 깎으니, 이는 아래를 모두 멸하는 것이다.
六二 剝牀以辨이니 蔑貞하여하니라
六二는 牀을 깎되 辨에 이름이니, 바름을 깎아 흉하다.
[注]蔑 猶甚極之辭也 辨者 足之上也 剝道浸長이라 剝其辨也
‘蔑’은 심하고 지극하다는 말과 같다. ‘辨’은 牀 발의 위이니, 剝의 道가 점점 자라므로 그 辨을 깎은 것이다.
稍近於牀하여 轉欲滅物之所處하여 長柔而削正하니 以斯爲德이면 物所棄也
점점 牀에 가까워서 물건(사람)이 거처하는 바를 더욱 멸하고자 하여 柔가 자라 바름을 깎으니, 이를 德으로 삼으면 사람[物]이 버리는 바이다.
[疏]‘六二’至‘蔑貞凶’
經의 [六二]에서 [蔑貞凶]까지
○正義曰:‘剝牀以辨’者, 辨, 謂牀身之下牀足之上, 足與牀身分辨之處也.
○正義曰:[剝牀以辨] ‘辨’은 牀 몸통의 아래와 牀 발의 위를 이르니, 牀의 발과 牀의 몸이 나뉘고 분변되는 곳이다.
今剝落侵上, 乃至於辨, 是漸近人身, 故云“剝牀以辨”也.
지금 剝落하여 위를 침범해서 마침내 辨에 이르니, 이는 점점 사람의 몸에 가까워진 것이다. 그러므로 “牀을 깎되 辨에 이른다.”라고 말한 것이다.
‘蔑貞 凶’者, 蔑, 削也, 削除中正之道, 故凶也. 初六蔑貞, 但小削而已, 六二蔑貞, 是削之甚極, 故更云“蔑貞凶”也.
[蔑貞 凶] ‘蔑’은 깎임이니, 中正한 道를 깎고 제거하므로 흉한 것이다. 初六의 蔑貞은 다만 조금 깎였을 뿐이요, 六二의 蔑貞은 깎임이 심하고 지극하다. 그러므로 다시 “바름을 깎아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 陰爻가 자라서 正道를 깎으니 이를 德으로 삼으면 사람이 버리는 바이다. 그러므로 〈象傳〉에 “더불어 함께하는 이가 있지 않다.”라고 하였으니, 함께하고 도와주는 사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疏]○注‘蔑猶甚極’至‘物所棄也’
○注의 [蔑猶甚極]에서 [物所棄也]까지
○正義曰:‘蔑猶甚極之辭’者, 初旣稱蔑, 二又稱蔑, 蔑上復蔑, 此爲蔑甚極, 故云“蔑猶甚極之辭”也.
○正義曰:[蔑猶甚極之辭] 初六에 이미 蔑이라고 칭하였는데, 六二에 또다시 蔑이라고 칭했으니, 蔑 위에 다시 蔑을 더함은 이는 蔑이 심하고 지극함이 된다. 그러므로 “蔑은 심하고 지극한 말과 같다.”라고 한 것이다.
蔑謂微蔑, 物之見削, 則微蔑也, 故以蔑爲削.
蔑은 작아지고 없어짐을 이르니, 물건이 깎임을 당하면 작아지고 없어진다. 그러므로 蔑을 削이라 한 것이다.
稍近於牀, ‘轉欲物之處’者, 物之所處, 謂牀也,
[轉欲滅物之所處] 물건이 거처하는 바는 牀을 이른다.
今剝道旣至於辨, 在牀體下畔之間, 是將欲滅牀, 故云“轉欲滅物之所處”也.
지금 剝의 道가 이미 辨에 이르러서 牀의 몸통 아래 가장자리의 사이에 있으니, 이는 장차 牀을 멸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물건이 거처하는 바를 더욱 멸하고자 한다.”라고 한 것이다.
象曰 剝牀以辨 未有與也
〈象傳〉에 말하였다. “‘牀을 깎되 辨에 이름’은 더불어 함께하는 이가 있지 않은 것이다.”
六三 剝之라도 无咎하니라
六三은 깎이는 때에 있더라도 허물이 없다.
[注]與上爲應하여 群陰剝陽이어늘 我獨協焉하니 雖處於剝이나 可以无咎
上九와 應이 되어서 여러 陰이 陽을 깎는데 六三 자신은 홀로 陽과 화합하니, 비록 剝에 처하였으나 허물이 없을 수 있다.
[疏]正義曰:六三與上九爲應, 雖在剝陽之時, 獨能與陽相應, 雖失位處剝, 而无咎也.
正義曰:六三이 上九와 應이 되어서 비록 陽을 깎는 때에 있으나 홀로 陽과 더불어 서로 應하므로, 비록 正位를 잃고 剝에 처하였으나 허물이 없는 것이다.
象曰 剝之无咎 失上下也일새라
〈象傳〉에 말하였다. “‘깎이는 때에 있더라도 허물이 없음’은 위아래를 잃기 때문이다.”
[注]上下各有二陰이어늘獨應於陽하니 則失上下也
六三의 위아래에 각각 두 陰이 있는데 六三이 홀로 陽에 응하니, 이는 위와 아래를 잃은 것이다.
[疏]正義曰:釋所以无咎之義. 上下群陰, 皆悉剝陽也, 己獨能違失上下之情而往應之, 所以无咎也.
正義曰:허물이 없게 되는 뜻을 해석하였다. 위아래의 여러 陰이 모두 다 陽을 깎는데 六三 자기만 홀로 위아래의 情을 어기고 잃은 채 가서 陽에 응하니, 이 때문에 허물이 없는 것이다.
六四 剝牀以膚하니라
六四는 牀을 깎아 살갗에 이름이니, 흉하다.
[注]初‧二剝牀이나 民所以安 未剝其身也 至四하여는 剝道浸長하여 牀旣剝盡하여 以及人身이라
初六과 六二는 牀을 깎지만 백성(사람)이 편안한 이유는 아직 그 몸을 깎지 않기 때문이요, 六四에 이르면 剝의 道가 점점 자라서 牀이 이미 깎여 다해서 사람의 몸에 이른다.
小人遂盛하여 物將失身하니 豈唯削正이리오 靡所不凶이라
小人이 마침내 성하여 사람이 장차 몸을 잃게 되었으니, 어찌 다만 바름을 깎을 뿐이겠는가. 흉하지 않는 바가 없는 것이다.
[疏]正義曰:四道浸長, 剝牀已盡, 乃至人之膚體, 物皆失身, 所以凶也.
正義曰:六四는 道가 점점 자라 牀을 깎아 이미 다해서 마침내 사람의 살갗과 몸에 이르러 물건이 모두 몸을 잃으니, 이 때문에 흉한 것이다.
象曰 剝牀以膚 切近災也
〈象傳〉에 말하였다. “‘牀을 깎아 살갗에 이름’은 재앙이 매우 가까운 것이다.”
[疏]正義曰:‘切近災’者, 其災已至, 故云“切近災也.”
正義曰:[切近災] 재앙이 이미 이르렀으므로 “재앙이 매우 가깝다.”라고 말한 것이다.
六五 貫魚하여 以宮人寵하면 无不利하리라
六五는 물고기를 꿰어서 宮人을 총애하듯이 하면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注]處剝之時하여 居得尊位하니 爲剝之主者也 剝之爲害 小人得寵하여 以消君子者也
剝의 때에 처하여 거함이 尊位를 얻었으니, 剝의 주체가 된 자이다. 剝의 害는 小人이 총애를 얻어서 君子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니,
若能施寵小人호되 於宮人而已하여 不害於正이면 則所寵雖衆이나 終无尤也 貫魚 謂此衆陰也 駢頭相次 似貫魚也
만약 능히 小人에게 은총을 베풀되 宮人에게 할 뿐인 것처럼 하여 바름을 해치지 않으면, 총애하는 바가 비록 많으나 끝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 ‘貫魚’는 이 여러 陰을 이른 것이니, 머리를 나란히 하여 서로 차례함이 물고기를 꿴 것과 같은 것이다.
[疏]正義曰:‘貫魚以宮人寵’者, 處得尊位, 爲剝之主, 剝之爲害, 小人得寵, 以消君子.
正義曰:[貫魚以宮人寵] 처함이 尊位를 얻어서 剝의 주체가 되었으니, 剝의 害는 小人이 총애를 얻어서 君子를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
貫魚者, 謂衆陰也, 駢頭相次, 似若貫穿之魚. 此六五若能處待衆陰, 但以宮人之寵相似,
‘貫魚’는 여러 陰을 이르니, 머리를 나란히 하고 서로 차례하여 꿰미에 꿴 물고기와 같은 것이다. 이 六五가 만약 능히 여러 陰을 대처하기를 다만 宮人을 총애하는 것과 같이 하여,
宮人들이 총애를 입되 바른 일을 해치지 않게 하면 끝내 허물이 없어서 이롭지 않은 바가 없다. 그러므로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象傳〉에 “끝내 허물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象曰 以宮人寵이면 終无尤也
〈象傳〉에 말하였다. “宮人을 총애하듯이 하면 끝내 허물이 없으리라.”
上九 碩果不食이니 君子得輿하고 小人剝廬니라
上九는 큰 과일이 먹히지 않은 것이니, 君子는 수레를 얻고 小人은 집을 허문다.
[注]處卦之終하여 獨全不落이라 果至于碩而不見食也
卦의 끝에 처하여 홀로 온전하고 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과일이 큼에 이르러도 먹힘을 당하지 않은 것이다.
君子居之하면 則爲民覆蔭하고 小人用之하면 則剝下所庇也
君子가 거하면 백성들을 비호하는 그늘이 되고, 小人이 사용하면 아래에 비호하는 바를 깎는다.
[疏]正義曰:‘碩果不食’者, 處卦之終, 獨得完全, 不被剝落, 猶如碩大之果不爲人食也.
正義曰:[碩果不食] 卦의 끝에 처하여 홀로 완전함을 얻어서 剝落을 당하지 않았으니, 마치 큰 과일이 사람에게 먹히지 않은 것과 같은 것이다.
‘君子得輿’者, 若君子而居此位, 能覆蔭於下, 使得全安, 是君子居之, 則得車輿也.
[君子得輿] 만약 君子가 이 자리(지위)에 거하면 능히 아랫사람들을 비호하여 그들로 하여금 온전하고 편안하게 하니, 이는 君子가 거하면 수레를 얻는 것이다.
若小人居之, 下无庇蔭, 在下之人, 被剝徹廬舍也.
만약 小人이 이 자리에 거하면 아래에 비호함이 없어서 아래에 있는 사람들이 집을 철거당하는 것이다.
象曰 君子得輿 民所載也 小人剝廬 終不可用也
〈象傳〉에 말하였다. “君子가 수레를 얻음은 백성이 우러러 실어주는 것이요, 小人이 집을 허묾은 끝내 쓸 수 없는 것이다.”
[疏]正義曰:‘君子得輿 民所載’者, 釋得輿之義, 若君子居處此位, 養育其民, 民所仰載也.
正義曰:[君子得輿 民所載] ‘수레를 얻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만약 君子가 이 자리에 거처하여 백성을 길러주면 백성들이 우러러 싣는 바이다.
‘小人剝廬 終不可用’者, 言小人處此位爲君, 剝徹民之廬舍, 此小人終不可用爲君也.
[小人剝廬 終不可用] 小人이 이 자리에 처하여 군주가 되면 백성들의 집을 허물고 철거하니, 이 小人은 끝내 등용하여 군주로 삼아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行息道也 在盈之時〉 : 저본에는 ‘行息道也 在盈之時’가 없으나, 監本ㆍ毛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刻本 참조]
역주2 危行言遜 : 행실은 준엄하고 고결하게 하되 말은 공손하게 한다는 말로, ≪論語≫ 〈憲問〉에 “나라에 道가 있을 때에는 말을 높게 하고 행실을 높게 하며, 나라에 道가 없을 때에는 행실은 높게 하되 말은 공손하게 하여야 한다.[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孫]”라고 보인다.
역주3 長此陰柔……言无人與助之也 : 〈象傳〉의 ‘未有與也’를 孔穎達은 六二가 바름을 깎으므로 아무도 그와 함께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은 正道가 침삭을 당하는 이유가 함께하는 이가 없기 때문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여, “小人이 君子를 侵剝함에 만약 君子가 應與가 있다면 小人을 이겨서 해칠 수가 없는데, 오직 應與가 없기 때문에 멸함을 당하여 흉한 것이다.[小人侵剝君子 若君子有與 則可以勝小人 不能爲害矣 唯其无與 所以被蔑而凶]”라고 하였다.
역주4 (蔑)[滅] : 저본에는 ‘蔑’로 되어 있으나, 注와 宋本에 의거하여 ‘滅’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5 〈所〉 : 저본에는 ‘所’가 없으나, 注와 宋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刻本 참조]
역주6 (主)[三] : 저본에는 ‘主’로 되어 있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三’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 (二)[三] : 저본에는 ‘二’로 되어 있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三’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此六五若能處待衆陰……故象云終无尤也 : ‘貫魚以宮人寵’을 王弼과 孔穎達은 “六五가 여러 陰들을 총애하되 다만 宮人에게 하는 것처럼만 함”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은 “깎임이 君主의 자리에 미치면 剝이 지극한 것이니, 그 흉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시 깎임을 말하지 않고 별도로 뜻을 내세워서 소인에게 改過遷善하는 문을 열어준 것이다. 五는 여러 陰의 주체이며 魚는 陰物이므로 象을 삼은 것이다. 五가 여러 陰으로 하여금 순서를 따르기를 물고기를 꿰듯이 하여, 도리어 위에 있는 陽에게 총애를 얻기를 宮人처럼 하게 한다면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宮人은 궁중의 사람이니, 妻妾과 모시고 심부름하는 자이다. 陰으로 말하였고 또 총애를 얻는 뜻을 취하였으니, 한 陽이 위에 있어 여러 陰이 순종하는 道가 있으므로 이 뜻을 말한 것이다.[剝及君位 剝之極也 其凶可知 故更不言剝而別設義 以開小人遷善之門 五 群陰之主也 魚 陰物 故以爲象 五能使群陰順序 如貫魚然 反獲寵愛於在上之陽 如宮人 則无所不利也 宮人 宮中之人 妻妾侍使也 以陰言 且取獲寵愛之義 以一陽在上 衆陰有順從之道 故發此義]”라고 하였다.
朱子는 “魚는 陰物이며, 宮人은 陰의 아름다운 것으로 陽에게 제재를 받는 자이다. 五가 여러 陰의 우두머리가 되었으니, 마땅히 그 同類들을 거느리고 陽에게 제재를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象이 있으니, 점치는 자가 이렇게 하면 이롭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魚 陰物 宮人 陰之美而受制於陽者也 五爲衆陰之長 當率其類 受制於陽 故有此象 而占者如是 則无不利也]”라고 하였다.
程伊川과 朱子는 經文을 “六五가 여러 陰의 우두머리로서 여러 陰을 거느리고 上九에게 총애를 받게 하되 宮人이 받는 것과 같은 총애를 받게 함”의 의미로 해석한 것이니, 즉 王弼과 孔穎達의 해석에서 총애하는 주체는 六五이고, 程伊川과 朱子의 해석에서 총애하는 주체는 上九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