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擊鼓〉
擊鼓其이어늘踊躍用호라
士國城漕어늘我獨南호라
賦也 擊鼓聲也 踊躍 坐作擊刺之狀也 謂戈戟之屬이라 土功也 國中也 衛邑名이라
○ 衛人從軍者自言其所爲하고 因言 衛國之民 或役土功於國하고 或築城於漕어늘 而我獨南行하여 有鋒鎬死亡之憂하여 危苦尤甚也
從孫子仲야平陳與宋소라
不我以歸憂心有호라
賦也 子仲이니 時軍帥也 和也 合二國之好也 舊說 以此爲春秋隱公四年 州吁自立之時 宋衛陳蔡伐鄭之事라하니 恐或然也 猶與也 言不與我而歸也
爰居爰處야하고
于以求之于林之호라
賦也 於也 於是居하고 於是處하여 於是喪其馬하고 而求之於林下하니 見其失伍離次하여 無鬪志也
死生與子成說호라
執子之手야與子偕라호라
賦也 契闊 隔遠之意 成說 謂成其約誓之言이라
○ 從役者念其室家하고 因言始爲室家之時 期以死生契闊 不相忘棄하고 又相與執手하여 而期以偕老也
不我로다
于嗟不我로다
賦也 于嗟 歎辭也 契闊也이요 信也 與申同이라
○ 言昔者 契闊之約如此로되 而今不得活하고 偕老之信如此로되 而今不得伸하니 意必死亡하여 不復得與其室家遂前約之信也
擊鼓五章이니 音四句
[毛序] 擊鼓 怨州吁也 衛州吁用兵暴亂하여 使公孫文仲으로 將而平陳與宋하니 國人 怨其勇而無禮也
역주
역주1 : 吐當反
역주2 : 叶晡芒反
역주3 : 叶戶郞反
역주4 : 敕中反叶敕衆反
역주5 : 息良反
역주6 : 叶滿補反
역주7 : 叶後五反
역주8 : 苦結反
역주9 : 叶苦劣反
역주10 : 叶魯吼反
역주11 : 音吁下同
역주12 : 叶苦劣反
역주13 : 叶后劣反
역주14 : 音荀
역주15 : 叶師人反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