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73. 涇 屬渭汭며
涇渭汭 三水名이라 涇水 地志 出安定郡涇陽縣西라하니 今原州百泉縣岍頭山也 東南至馮翊陽陵縣하여 入渭라하니 今永興軍高陵縣也 渭水 地志 出隴西郡首陽縣西南이라하니 今渭州渭源縣鳥鼠山西北南谷山也 東至京兆船司空縣하여 入河라하니 今華州華陰縣也 汭水 地志 作芮하니 扶風汧縣弦蒲藪 芮水出其西北하여 東入涇이라하니 今隴州汧源縣弦蒲藪 有汭水焉이라 周職方 雍州其川 涇汭라하고 詩曰 汭鞠之卽이라하니 皆謂是也 連屬也 涇水連屬渭汭二水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涇이 屬渭汭하며
涇水가 渭水 북쪽으로 들어가며,
[傳]屬 逮也 水北曰汭 言治涇水入於渭
屬은 逮의 뜻이다. 물의 북쪽을 汭라 한다. 涇水를 다스려 渭水로 들어가게 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 汭 本又作內이라 馬云 入也
○汭는 어떤 本에 또 內로 되어 있으니 汭과 같다. 馬融은 “入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疏]傳‘屬逮’至‘於渭’
傳의 [屬逮]에서 [於渭]까지
○正義曰:屬謂相連屬, 故訓爲逮. 逮, 及也, 言水相及. 詩毛傳云 “汭, 水涯也.” 鄭云 “汭之言內也.”
○正義曰:屬은 서로 연속됨을 이르기 때문에 逮로 풀이한 것이다. 逮는 미쳐가다라는 뜻이니, 물이 서로 미쳐감을 말한 것이다. ≪詩經≫ 毛傳에 “汭는 물가이다.”라 하였고, 鄭玄은 “汭라는 말은 內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蓋以人皆南面望水, 則北爲汭也. 且涇水南入渭, 而名爲‘渭汭’, 知‘水北曰汭’. 言治涇水使之入渭, 亦是從故道也.
대개 사람은 모두 남쪽으로 향하여 물을 바라보기 때문에 북쪽을 汭라고 한 것이다. 또 涇水가 남쪽으로 渭水에 들어가는데 ‘渭汭’라 명칭하였으니, 물의 북쪽을 汭라 한 것을 알 수 있다. 涇水를 다스려 渭水로 들어가게 한 것 역시 예전의 물길을 따른 것임을 말한 것이다.
地理志云 “涇水出安定涇陽縣西岍頭山, 東南至馮翊陽陵縣入渭, 行千六百里.”
≪漢書≫ 〈地理志〉에 “涇水는 安定郡 涇陽縣 서쪽 岍頭山에서 나와 동남쪽으로 馮翊郡 陽陵縣에 이르러 渭水로 들어가니, 1,600리를 흘러간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涇屬渭汭 : 蔡傳에서는 屬을 連屬으로 보아 “涇水가 渭水와 汭水 두 물에 연속한 것이다.[涇水連屬渭汭二水]”라고 풀이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