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 嗚呼 方伯師長百執事之人 尙皆隱哉어다
痛也 盤庚 復歎息言 爾諸侯公卿百執事之人 庶幾皆有所隱痛於心哉어다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9권 商書> 盤庚下 第十一> 嗚呼라 方伯師長百執事之人은 尙皆隱哉어다
嗚呼 方伯師長百執事之人 어다
아! 方伯과 師長과 모든 일을 맡은 사람들은 응당 부디 모두 잘못을 바로잡아 善政을 해야 한다.
[傳]國伯 二伯及州牧也 衆長 公卿也 言當庶幾이라
國伯은 바로 二伯(東伯‧西伯)과 州牧이고, 衆長은 바로 公卿이다. 응당 부디 서로 잘못을 바로잡아가며 함께 善政을 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尙皆隱哉 : 蔡傳에서는 隱을 痛의 뜻으로 보아 “부디 모두가 마음에 隱痛을 갖도록 하라.[庶幾皆有所隱痛於心哉]”고 풀이하였다.
역주2 相隱括共爲善政 : 兪樾은 “枚賾이 ‘隱’을 隱括로 풀이한 것은 옳으니, 이는 필시 古訓이 서로 이어져옴이 이와 같기 때문에 枚賾이 이를 절취한 것이다. 그러나 함께 善政을 하여 족히 이루는 것으로 여긴 것은 그 뜻이 아니다. ‘隱括’은 檃括과 같으니, ≪荀子≫ 〈性惡〉에서 楊倞이 注를 달기를 ‘檃括은 굽은 나무를 바로잡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耿 땅 풍속이 워낙 사치를 숭상하였다. 盤庚이 도읍을 옮긴 목적은 본래 여기에 있었기 때문에 이미 도읍을 옮긴 뒤에는 곧 법도를 가지고 바로잡으려 했던 것이다.”라고 하였다. ≪群經平議≫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