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說 復于王曰 惟木從繩則正고 后從諫則聖니 后克聖이시면 臣不命其承이온 疇敢不祗若王之休命하리잇고
答欽予時命之語 木從繩 喩后從諫이니 明諫之決不可不受也 然高宗 當求受言於己 不必責進言於臣이라 君果從諫이면 臣雖不命이라도 猶且承之 況命之如此하시니 誰敢不敬順其美命乎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10권 商書> 說命上 第十二> 說이 復于王曰 惟木從繩則正하고 后從諫則聖하나니
復于王曰 惟木從繩則正하고 后從諫則聖하나니
傅說이 임금께 대답하였다. “나무는 먹줄을 따르면 발라지고, 임금은 간언을 따르면 성스러워지니,
[傳]言木以繩直하고 君以諫明이라
나무는 먹줄로써 곧아지고, 임금은 간언으로써 밝아진다는 말이다.
后克聖이면 臣不命其承이온
임금님께서 성스러우시면 신하들은 명령을 받지 않아도 그 뜻을 받들 것인데,
[傳]君能受諫이면 則臣不待命하고 其承意而諫之
임금이 간언을 잘 받아들이면 신하는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임금의 뜻을 받들어 간언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疇敢不祗若王之休命하리잇고
누가 감히 임금님의 아름다운 명령을 공경히 따라 간하지 않겠습니까.”
[傳]言王如此 誰敢不敬順王之美命而諫者乎
임금이 이와 같다면 누가 감히 임금의 아름다운 명령을 공경히 따라 간언을 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