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8. 厥田 惟下이오 厥賦이로소니 三錯이로다
第七等이요 第八等이로되 雜出第七第九等也 按賦雜出他等者 或以爲歲有豊凶이라하고 或以爲戶有增減이라하니 皆非也 意者컨대 地力有上下하여 年分不同하니 如周官 田一易再易之類 賦之等第 亦有上下年分하니 冀之正賦 第一等이로되 而間歲第二等也 揚之正賦 第七等이로되 而間歲第六等也 豫之正賦 第二等이로되 而間歲第一等也 梁之正賦 第八等이로되 而間歲出第七第九等也 當時 必有條目詳具어늘 今不存矣 書之所載 特凡例也 若謂歲之豊凶, 戶之增減이면 則九州皆然이니 何獨於冀揚豫梁四州言哉리오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厥田은 惟下에 上이요 厥賦는 下에 中이로소니 三錯이로다
厥田 惟下이요 厥賦이로소니 三錯이로다
田의 등급은 下에 上이고 賦의 등급은 下에 中이니, 세 가지의 등급을 섞어서 낸다.
[傳]田 第七이요 第八이니 雜出第七 第九三等이라
田은 제 7등급이고, 賦는 제 8등급이니, 〈제 8등급과 그리고〉 제 7등급과 제 9등급의 세 등급을 섞어내는 것이다.
[疏]傳‘田第’至‘三等’
傳의 [田第]에서 [三等]까지
○正義曰:傳以旣言‘下中’, 復云‘三錯’, 擧‘下中第八爲正, 上下取一, 故雜出第七‧第九與第八爲三也.
○正義曰:孔傳에서는 〈經文에서〉 이미 ‘下中’을 말하고 다시 ‘三錯’을 말하였기 때문에 ‘下中’ 제 8등급을 들어 正賦를 삼고, 위와 아래 하나씩을 취하였기 때문에 제 7등급과 제 9등급 및 제 8등급의 세 등급을 섞어서 낸 것이다.
鄭云 “三錯者, 此州之地, 有當出之賦者少耳. 又有當出下上‧中下者, 差復益小.” 與孔異也.
鄭玄은 “三錯이란 것은 이 州의 땅에는 마땅히 下下의 賦를 내야 하는 자가 있으니 적을 뿐이다. 또 마땅히 下上과 中下의 賦를 내야 하는 자가 있으니, 차이가 다시 더욱 적다.”라고 하였으니, 孔安國의 견해와 다르다.
역주
역주1 : 四庫本의 ≪尙書今古文注疏≫에는 ‘下下’로 되어 있다. 이에 의거하여 번역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