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王曰 嗟爾萬方有衆 明聽予一人誥라 惟皇上帝降衷于下民샤 若有恒性니 克綏厥猷는[라사] 惟后니라
이요 順也 天之降命 而具仁義禮智信之理하여 無所偏倚하니 所謂衷也 人之稟命 而得仁義禮智信之理하여 與心俱生하니 所謂性也 道也 由其理之自然하여 而有仁義禮智信之行하니 所謂道也 以降衷而言하면 則無有偏倚하니 順其自然하여 固有常性矣어니와 以稟受而言하면 則不無淸濁純雜之異 必待君師之職而後 能使之安於其道也 曰 克綏厥猷惟后라하니라 夫天生民有欲 以情言也 上帝降衷于下民 以性言也 仲虺 卽情以言人之欲하고 成湯 原性以明人之善하시니 聖賢之論 互相發明이라 然其意則皆言君道之係於天下者 如此之重也니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湯誥 第三> 王曰 嗟爾萬方有衆아 明聽予一人誥하라
王曰 嗟爾萬方有衆 明聽予一人誥하라
王께서 말씀하였다. “아! 너희 만방의 백성들아. 나 한 사람의 誥言을 분명히 듣도록 하라.
[傳]天子自稱曰予一人 古今同義
天子가 자칭 ‘나 한 사람’이라고 한 것은 고금에 같은 뜻이다.
惟皇上帝降于下民하사
훌륭하신 上帝께서 모든 사람에게 善(착한 마음)을 내려주셔서,
[傳]皇 上帝 天也 善也
皇은 크다는 뜻이고, 上帝는 바로 하늘이요, 衷은 善이다.
[疏]‘降衷于下民’
經의 [降衷于下民]
○正義曰:天生烝民, 與之五常之性, 使有仁義禮智信, 是天降善於下民也.
○正義曰:하늘이 여러 백성을 낼 때 五常의 性을 부여해서 仁‧義‧禮‧智‧信을 가지도록 하니, 이것이 바로 하늘이 백성들에게 善을 내렸다는 것이다.
天旣與善於民, 君當順之, 故下傳云 “順人有常之性, 則是爲君之道.”
하늘이 이미 백성들에게 善을 주었으니, 임금은 응당 그를 따라야 한다. 그러므로 아래 孔傳에서 “사람의 有常한 性을 따르는 이것이 바로 임금이 되는 길이다.”라고 하였다.
<주석명>若有하여 克綏厥猷 惟后
니라
有恒한 性을 따라 능히 그 道를 편안히 세우는, 그것이 바로 임금이 되는 길이다.
[傳]順人有常之性하여 能安立其道敎爲君之道
사람의 有常한 性을 따라 능히 그 道敎(道德敎化)를 편안히 세우는, 그것이 바로 임금이 되는 길이라는 것이다.
역주
역주1 : 孔傳에서는 善(착한 마음)의 뜻으로, 蔡傳에서는 中(中正한 이치)의 뜻으로 풀이하였다. 洪奭周는 “衷의 뜻을 先儒들이 혹은 善이라 하고, 혹은 中이라고 하였는데, 朱子가 中을 따른 쪽이 낫다고 여김은 당연하다.……당초 중심에 간직하고 있을 때는 다 善하지 않음이 없으니, 이것이 이른바 ‘天命本然之性’이다. 그러므로 ‘降衷’이라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2 (天)[大] : 저본에는 ‘天’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天’이 ‘大’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大’로 바로잡았다.
역주3 若有恒性……惟后 : 蔡傳에서는 “그 자연을 따라 恒性을 갖게 되었으니, 〈각각 그 性을 따라〉 그 道에 안주할 수 있게 하는 그 책임은 오직 임금에게 달려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역주4 若有恒性 : ≪尙書注疏考證≫에 “이 句를 宋儒는 위의 ‘降衷于下民’과 연결해서 읽었으니, 곧 ≪中庸≫의 ‘하늘이 명한 것을 性이라 이른다.[天命之謂性也]’란 것이고, 孔傳의 경우는 아래에 있는 ‘克綏厥猷’와 연결해서 읽었다.”라고 하였다.
역주5 恒性 : 明代 羅欽順은 “六經의 속에서 心을 말함은 帝舜으로부터 시작되고, 性을 말함은 成湯으로부터 시작되었다.”라고 하였다. ≪困知記≫
역주6 (惟)[是] : 저본에는 ‘惟’로 되어 있으나, 앞의 疏에서 이 句를 인용한 데에는 ‘惟’가 ‘是’로 되어 있으므로 이에 의거하여 ‘是’로 바로잡았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