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14. 子 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夫子 不言不笑不取乎
公叔文子 衛大夫公孫枝也 公明이요이니 亦衛人이라 文子爲人 其詳不可知이나 必廉靜之士 當時 以三者稱之하니라
[James Legge] The Master asked Kung-ming Chiâ about Kung-shû Wan, saying, “Is it true that your master speaks not, laughs not, and takes not?”
14. 공자(孔子)께서 공명가(公明賈)에게 위(衛)나라 대부(大夫)인 공숙문자(公叔文子)에 대해서 물으셨다. “정말로 그대의 선생님께서는 말하지 않고 웃지 않고 취하지 아니하시는가?”
公明賈 對曰 以告者 過也ㅣ로소이다 夫子 時然後言이라 人不厭其言며 樂然後笑ㅣ라 人不厭其笑며 義然後取 人不厭其取니이다(니이다)[ㅣ] 曰 其然 豈其然乎ㅣ리오
厭者 苦其多而惡之之辭 事適其可 則人不厭而不覺其有是矣 是以 稱之或過하여 而以爲不言不笑不取也이나 此言也 非禮義充溢於中하여 得時措之宜者 不能이니 文子雖賢이나 疑未及此 但君子與人爲善이요 不欲正言其非也 曰 其然 豈其然乎리오하시니 蓋疑之也니라
[James Legge] Kung-ming Chiâ replied, “This has arisen from the reporters going beyond the truth. -- My master speaks when it is the time to speak, and so men do not get tired of his speaking. He laughs when there is occasion to be joyful, and so men do not get tired of his laughing. He takes when it is consistent with righteousness to do so, and so men do not get tired of his taking.” The Master said, “So! But is it so with him?”
공명가(公明賈)가 대답하였다. “말한 자가 지나쳤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때에 맞은 뒤에야 말씀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말을 싫어하지 않으며, 즐거운 뒤에야 웃으시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웃음을 싫어하지 않으며, 의(義)에 맞은 뒤에야 취하시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취함을 싫어하지 않는 것입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런가? 어찌 그럴 수 있겠는가?”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