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3. 岷嶓旣藝며
岷嶓 二山名이라 岷山 地志 在蜀郡湔氐道西徼外라하니 在今茂州汶山縣이니 江水所出也 鼂氏曰 蜀 以山近江源者 通爲岷山하니 連峯接岫하여 重疊險阻하여 不詳遠近이라 靑城天彭諸山之所環遶 皆古之岷山이니 靑城 乃其第一峰也 嶓冡山 地志云 在隴西郡氐道縣이라하니 漾水所出이요 又云在西縣이라하니 今興元府西縣三泉縣也 蓋嶓冡一山 跨于兩縣云이라 川原旣滌하여 水去不滯하여 而無泛溢之患하니 其山 已可種藝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岷(縣)[嶓]旣藝하며 沱潛이 旣道하도다
旣藝하며 沱潛 旣道하도다
岷山과 嶓冢山에 이미 〈곡식을〉 심을 수 있게 되었으며, 沱水와 潛水가 이미 예전의 물길을 회복하였다.
[傳]岷山 嶓冢 皆山名이라 水去已可種藝 沱潛 發源此州하여 入荊州
岷山과 嶓冢은 모두 산 이름이다. 홍수가 물러가 이미 〈곡식 등을〉 심을 수 있었다. 沱水와 潛水는 이 州에서 발원하여 荊州로 들어갔다.
[疏]傳‘岷山’至‘荊州’
傳의 [岷山]에서 [荊州]까지
○正義曰:漢制, 縣有羌夷曰道. 地理志云 “蜀郡有湔道, 岷山在西徼外, 江水所出也.”
○正義曰:漢나라 制度에 縣에 羌夷가 있으면 道라고 하였다. ≪漢書≫ 〈地理志〉에 “蜀郡에 湔道가 있고, 岷山이 서쪽 변방 밖에 있는데 江水가 나오는 곳이다.”라 하였고,
“隴西郡西(縣)[嶓]冢山, 西漢水所出.” 是二者皆山名也.
“隴西郡 서쪽의 嶓冢山은 西漢水가 나오는 곳이다.”라고 하였으니, 〈岷과 嶓〉 이 둘은 모두 산 이름이다.
于江, 潛出于漢, 二水發源此州, 而入荊州, 故荊州亦云 “沱‧潛旣道.”
沱水는 江水에서 나오고, 潛水는 漢水에서 나오는데, 두 물이 이 州에서 발원하여 荊州로 들어가기 때문에 荊州 조에서도 “沱水와 潛水가 이미 예전의 물길을 회복하였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縣)[嶓] : 저본에는 ‘縣’으로 되어 있으나, 汲古閣本에 의거하여 ‘嶓’로 바로잡았다. 아래 疏도 같다.
역주2 [沱出] : 저본에는 없으나, 四庫本에 의거하여 ‘沱出’을 보충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