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10. 子禽 問於子貢曰 夫子 至於是邦也샤(예) 必聞其政시니 求之與 抑與之與
子禽 姓陳이요 名亢이며 子貢 姓端木이요 名賜 皆孔子弟子 或曰 亢 子貢弟子라하니 未知孰是 反語辭
[James Legge] Tsze-ch'in asked Tsze-kung, saying, “When our master comes to any country, he does not fail to learn all about its government. Does he ask his information? or is it given to him?”
10. 공자의 제자 자금(子禽)이 자공(子貢)에게 물었다. “선생님(공자)께서 어떤 나라에 이르시면 반드시 그 나라의 정사(政事)를 들으시는데, 선생님께서 요구한 것입니까? 아니면 그 나라 임금이 들려준 것입니까?”
子貢[이] 曰 夫子(ㅣ) 溫良恭儉讓以得之시니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뎌
和厚也 易直也 莊敬也 節制也 謙遜也 五者 夫子之盛德光輝 接於人者也 其諸 語辭也 他人也 言夫子未嘗求之 但其德容如是 時君敬信하여 自以其政就而問之耳 非若他人必求之而後得也 聖人過化存神之妙 未易窺測이나이나 卽此而觀이면 則其德盛禮恭而不願乎外 亦可見矣 學者所當潛心而勉學也니라 ○ 謝氏曰 學者觀於聖人威儀之間이면 亦可以進德矣 若子貢이면 亦可謂善觀聖人矣 亦可謂善言德行矣 今去聖人 千五百年이로되 以此五者 想見其形容하면 尙能使人興起어든 而況於親炙之者乎 張敬夫曰 夫子至是邦하사 必聞其政이로되 而未有能委國而授之以政者 蓋見聖人之儀刑而樂告之者 秉彝好德之良心也 而私欲害之 是以 終不能用耳니라
[James Legge] Tsze-kung said, “Our master is benign, upright, courteous, temperate, and complaisant and thus he gets his information. The master's mode of asking information! -- is it not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men?”
자공이 말하였다. “선생님께서는 온순하고 어질고 공손하고 검소하고 겸양함으로써 듣게 되신 것이니, 선생님께서 구하신 것은 다른 사람이 구하는 것과는 다를 것이네.”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