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山有樞〉
山有隰有니라
子有衣裳호되弗曳弗
子有車馬호되弗馳弗
其死矣어든他人是리라
興也 荎也 今刺楡也 白枌也 婁亦曳也 策也 坐見貌 樂也
○ 此詩 蓋亦答前篇之意而解其憂 言山則有樞矣 隰則有楡矣 子有衣裳車馬로되 而不服不乘이면 則一旦宛然以死어든 而他人取之하여 以爲己樂矣라하니 蓋言不可不及時爲樂이라이나 其憂愈深而意愈蹙矣니라
山有ㅣ며隰有니라
子有廷內호弗洒弗
子有鍾鼓호弗鼓弗
宛其死矣어든他人是리라
興也 山樗也 似樗하고 色小白, 葉差狹이라 檍也 葉似杏而尖하고 白色, 皮正赤이요 其理多曲少直하니 材可爲弓弩幹者也 擊也 居有也
山有이며隰有栗이니라
子有酒食호何不日鼓瑟야
且以喜하며且以永日
宛其死矣어든他人入室하리라
興也 君子無故 琴瑟不離於側이라 長也 人多憂則覺日短하니 飮食作樂이면 可以永長此日也
山有樞三章이니 章八句
[毛序] 山有樞 刺晉昭公也 不能修道以正其國하여 有財不能用하고 有鍾鼓不能以自樂하며 有朝廷不能洒埽하여 政荒民散하여 將以危亡하여 四隣 謀取其國家로되 而不知하니 國人 作詩以刺之也하니라
역주
역주1 : 烏侯昌朱二反
역주2 : 夷周以朱二反
역주3 : 力侯力俱二反
역주4 : 祛尤虧于二反
역주5 : 於阮反
역주6 : 他侯以朱二反
역주7 : 音考叶去九反
역주8 : 女九反
역주9 : 叶蘇后反
역주10 : 叶去九反
역주11 : 叶補苟反
역주12 : 音七
역주13 : 音洛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