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2. 五百里 侯服이니 百里 二百里 男邦이오 三百里 諸侯니라
侯服者 侯國之服이니 甸服外 四面 又各五百里也 采者 卿大夫邑地 男邦 男爵이니 小國也 諸侯 諸侯之爵이니 大國, 次國也 先小國而後大國者 大可以禦外侮 小得以安內附也 分侯服五百里而爲三等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五百里는 侯服이니
五百里 侯服이니
甸服 밖의 500리는 侯服이니,
[傳]甸服外之五百里 候也 斥候而服事
甸服 밖의 500리이다. 侯는 候의 뜻이니, 斥候하는 일을 맡아서 天子를 섬기는 것이다.
[疏]傳‘甸服’至‘服事’
傳의 [甸服]에서 [服事]까지
○正義曰:‘侯’聲近候, 故爲候也. 襄十八年左傳稱晉人伐齊, 使司馬斥山澤之險, ‘斥’謂檢行之也.
○正義曰:‘侯’는 字音이 ‘候’에 가깝기 때문에 候라고 한 것이다. ≪春秋≫ 襄公 18년 조의 ≪左氏傳≫에서 晉나라 사람이 齊나라를 칠 때에 司馬로 하여금 산과 늪의 험한 지대를 斥(정찰)하게 했다고 칭하였으니, ‘斥’은 검사하면서 다님을 이른다.
‘斥候’, 謂檢行險阻, 伺候盜賊. 此五百里主爲斥候而服事天子, 故名‘侯服’. 因見諸言‘服’者, 皆是服事也.
‘斥候’는 險阻한 지대를 검사하면서 다님을 이르니, 적의 동태를 정찰하는 일이다. 이 500리는 주로 斥候를 하면서 天子를 服事(순종하여 섬김)하기 때문에 ‘侯服’이라 명명한 것이다. 따라서 여러 군데에서 말한 ‘服’은 모두 이 服事임을 보인 것이다.
百里
侯服 안의 100리는 采邑이고,
[傳]侯服內之百里 供王事而已 不主一이라
侯服 안의 100리이다. 王者의 일에 이바지할 뿐이니, 한 가지만을 주로 하지 않는다.
[疏]傳‘侯服’至‘主一’
傳의 [侯服]에서 [主一]까지
○正義曰:‘采’訓爲事, 此百里之內, 主供王事而已. ‘事’謂役也. 有役則供, 不主於一, 故但言‘采’.
○正義曰:‘采’는 事의 뜻으로 풀이하니, 이 100리의 안은 王者의 일에 이바지하는 것을 주로 할 뿐이다. ‘事’는 役을 이른다. 役이 있으면 이바지하고, 한 가지만을 주로 하지 않기 때문에 단지 ‘采’라고만 말했을 뿐이다.
二百里 이요
侯服 안의 200리는 男邦이고,
[傳]男 任也 任王者事
男은 任의 뜻이니, 王者의 일을 맡는 것이다.
[疏]傳‘男 任也 任王者事’
傳의 [男 任也 任王者事]
○正義曰:‘男’聲近任, 故訓爲任.
○正義曰:‘男’은 字音이 ‘任’에 가깝기 때문에 任으로 풀이한 것이다.
‘任王者事’, 任受其役, 此任有常, 殊於‘不主一’也. 言‘邦’者, 見上下皆是諸侯之國也.
[任王者事] 그 役을 받아서 맡는 것이니, 이 임무는 常規적인 것이 있어서 ‘한 가지만을 주로 하지 않는 임무’와는 다른 것이다. ‘邦’을 말한 것은 위아래가 모두 諸侯의 나라임을 보인 것이다.
三百里 諸侯니라
侯服 안의 300리는 諸侯이다.
[傳]三百里 同爲王者斥候 故合三爲一名이라
300리가 다 함께 王者의 斥候를 맡는다. 그러므로 〈300리‧400리‧500리〉 셋을 합해서 〈諸侯란〉 한 이름으로 한 것이다.
[疏]傳‘三百’至‘一名’
傳의 [三百]에서 [一名]까지
○正義曰:經言‘諸侯’者, 三百里內同爲王者斥候, 在此內所主事同, 故合三百‧四百‧五百共爲一名, 言‘諸侯’以示義耳.
○正義曰:經文에서 ‘諸侯’라 말한 것은, 300리 안에서는 다 王者의 斥候를 맡고, 이 안에 있어서 주로 하는 일이 같기 때문에 〈侯服 안의〉 300리‧400리‧500리를 합해서 함께 한 이름을 만든 것이니, ‘諸侯’라 말하여 뜻을 보였을 뿐이다.
역주
역주1 男邦 : 蔡傳에서는 男을 男爵으로 보아 男邦을 ‘작은 나라’라고 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