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 王 徂桐宮居憂샤 克終允德시다
往也 信也 有諸己之謂信이니 實有其德於身也 凡人之不善 必有從臾(諛)以導其爲非者하나니 太甲桐宮之居 伊尹 旣使其密邇先王陵墓하여 興發其善心하고 又絶其比昵之黨하여 而革其汚染하니 此其所以克終允德也 次篇 伊尹 言嗣王克終厥德이라하고 又曰 允德協于下 史氏言克終允德하여 結此篇하여 以發次篇之義하니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太甲上 第五> 王이 徂桐宮居憂하사
徂桐宮居憂하사
왕이 桐宮에 가서 居喪하여
[傳]往入桐宮하여 居憂位
왕이 桐宮에 들어가 居喪하였다.
[疏]傳‘往入’至‘憂位’
傳의 [往入]에서 [憂位]까지
○正義曰:亦旣不知朝政之事, .
○正義曰:또한 이미 朝政의 일은 알지 못했고 오직 居喪하는 禮만을 행하였다는 것이다.
‘居憂位’, 謂服治喪禮也. 伊尹亦使兵士衛之, 選賢俊敎之, 故太甲能終信德也.
[居憂位] 喪禮를 다스리는 것을 이른다. 伊尹이 또한 兵士로 하여금 太甲을 호위하게 하고, 賢俊한 사람을 뽑아서 太甲을 가르쳤기 때문에 太甲이 능히 信德을 마무리하였다는 것이다.
하시다
능히 信德을 마무리하셨다.
[傳]言能思念其祖하여 終其信德이라
능히 그 할아버지를 생각하여 信德을 마무리했다는 말이다.
역주
역주1 惟行居喪之禮 : 孔傳에 “居喪하는 禮에 밝지 못하였다.[不明居喪之禮]”라는 말과 다르게 하고 있다.
역주2 克終允德 : 蔡傳은 “마침내 실제로 德을 몸에 가질 수 있게 되었다.”로, 陳經은 “왕은 桐宮으로 가서 거상하여 과연 능히 그 誠信한 德을 닦았다. ‘允德’이란 것은 그 誠心이 發見하였기 때문이다.”라고 풀이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