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先王 子惠困窮신대 民服厥命야 罔有不悅야 並其有邦 厥隣 乃曰 徯我后하노소니 后來하시면 無罰
言湯德所以協下者 困窮之民 若己子而惠愛之하니 惠之若子 則心之愛者誠矣 未有誠而不動者也 民服其命하여 無有不得其懽心이라 當時諸侯 並湯而有國者 其隣國之民 乃以湯爲我君하여 曰 待我君하노니 我君來하시면 其無罰乎아하니 言除其邪虐이라 湯之得民心也如此하니 卽仲虺后來其蘇之事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太甲中 第六> 先王이 子惠困窮하신대 民服厥命하여 罔有不悅하여
先王 子惠困窮하신대 民服厥命하여 罔有不悅하여
先王께서 곤궁한 백성들을 자식처럼 사랑하시니, 백성들이 그분의 명령에 복종하여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습니다.
[傳]言湯子愛困窮之人하여 使皆得其所 民心服其敎令하여 無有不忻喜
湯임금이 곤궁한 사람들을 자식처럼 사랑하여 그들로 하여금 모두 안정된 처소를 얻게 하였기 때문에 민심이 그 敎令에 복종하여 기뻐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말한 것이다.
竝其有邦 厥隣 乃曰 徯我后하노소니 后來하시면 無罰
함께 나라를 소유했던 이웃나라 백성들까지도 이에 말하기를 ‘우리 임금님을 기다리노니 우리 임금님이 오시면 罰이 없겠지?’라고 하였습니다.
[傳]湯俱與隣竝有國 隣國人 乃曰 待我君來 言忻戴 君來無罰 言仁惠
湯임금이 이웃과 함께 나라를 소유했던 그 이웃나라 사람들까지도 “우리 임금님을 기다리노니”라고 한 것은 흔쾌히 湯임금을 추대함을 말한 것이고, “우리 임금님이 오시면 罰이 없겠지?”라고 한 것은 湯임금의 仁惠를 말한 것이다.
[疏]‘竝其’至‘無罰’
經의 [竝其]에서 [無罰]까지
○正義曰:言湯昔爲諸侯之時, 與湯竝居, 其有邦國, 謂諸侯之國也.
○正義曰:湯임금이 옛날 諸侯로 있을 때에 湯임금과 함께 살던 자들을 말하니, 나라를 소유했던 邦國은 諸侯의 나라를 이른다.
此諸侯國人其與湯隣近者, 皆願以湯爲君. 乃言曰 “待我后, 后來無罰於我.” 言羨慕湯德, 忻戴之也.
이들 諸侯의 나라 사람으로서 湯임금과 이웃한 자들까지도 모두 湯을 임금으로 삼기를 원하였다. 그래서 이에 “우리 임금님을 기다리노니, 우리 임금님이 오시면 우리에게 罰을 내림이 없겠지?”라고 한 것이니, 湯임금의 德을 흠모하여 흔쾌히 추대함을 말한 것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