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4. 導淮샤 自桐柏야 東會于泗沂야 東入于海니라
水經云 淮水 出南陽平氏縣胎簪山이라하니 禹只自桐柏導之耳 桐柏 見導山하고 泗沂 見徐州하니라 沂入于泗하고 泗入于淮하니 此言會者 以二水相敵故也 入海 在今淮浦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導淮하시되 自桐柏하여
導淮하시되 自桐柏하여
淮水를 유도하시되 桐柏山으로부터 하여
[傳]桐柏山 在南陽之東이라
桐柏山은 南陽郡의 동쪽에 있다.
[疏]傳‘桐柏’至‘之東’
傳의 [桐柏]에서 [之東]까지
○正義曰:地理志云 “桐柏山在南陽平氏縣東南, 淮水所出.”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桐柏山은 南陽郡 平氏縣 동남쪽에 있는데, 淮水가 나오는 곳이다.”라고 하였다.
水經云 “出胎簪山, 東北過桐柏山.” 胎簪蓋桐柏之傍小山, 傳言‘南陽郡之東’也.
≪水經≫에 “〈淮水는〉 胎簪山에서 나와 동북쪽으로 桐柏山을 지나간다.”라고 하였으니, 胎簪山은 아마 桐柏山 곁에 있는 작은 산인 듯한데, 孔傳에서 ‘南陽郡의 동쪽’이라고 말하였다.
東會于泗沂하여 東入于海하시다
동쪽으로 泗水와 沂水에 모여서 동쪽으로 바다로 들어가게 하셨다.
[傳]與泗沂二水合하여 入海
泗水와 沂水 두 물과 합쳐져 바다로 들어간다.
[疏]傳‘與泗’至‘入海’
傳의 [與泗]에서 [入海]까지
○正義曰:地理志云 “沂水出泰山蓋縣, 南至下邳入泗, 泗水出濟陰乘氏縣, 至臨淮睢陵縣入淮.”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沂水는 泰山郡 蓋縣에서 나와 남쪽으로 下邳縣에 이르러 泗水로 들어가고, 泗水는 濟陰郡 乘氏縣에서 나와 臨淮郡 睢陵縣에 이르러 淮水로 들어간다.”라고 하였으니,
乃沂水先入泗, 泗入淮耳. 以沂水入泗處, 去淮已近, 故連言之.
곧 沂水가 먼저 泗水로 들어가고, 泗水가 淮水로 들어갈 뿐이다. 沂水가 泗水로 들어가는 곳이 淮水에서 거리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연달아서 말한 것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