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集註

논어집주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6. 季康子 問 仲由(ㅣ) 可使從政也與잇가[ㅣ] 曰 由也(ㅣ)니(커니) 於從政乎 何有ㅣ리오 曰 賜也(ㅣ) 可使從政也與잇가 曰 賜也(ㅣ)니(커니) 於從政乎 何有ㅣ리오 曰 求也(ㅣ) 可使從政也與잇가 曰 求也(ㅣ)니(커니) 於從政乎 何有ㅣ리오
從政 謂爲大夫 有決斷이요 通事理 多才能이라 ○ 程子曰 季康子問 三子之才可以從政乎아한대 夫子答以各有所長하시니 非惟三子 人各有所長하니 能取其長이면 皆可用也니라
[James Legge] Chî K'ang asked about Chung-yû, whether he was fit to be employed as an officer of government. The Master said, “Yû is a man of decision; what difficulty would he find in being an officer of government?” K'ang asked, “Is Ts'ze fit to be employed as an officer of government?” and was answered, “Ts'ze is a man of intelligence; what difficulty would he find in being an officer of government?” And to the same question about Ch'iû the Master gave the same reply, saying, “Ch'iû is a man of various ability.”
6. 계강자(季康子)가 물었다. “중유(仲由)는 정사를 맡길 만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는 과단성(果斷性)이 있으니 정사를 보는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사(賜):자공(子貢)는 정사를 맡길 만합니까?” “사(賜)는 사리에 통달했으니 정사를 보는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염구(冉求)는 정사를 맡길 만합니까?” “구(求)는 다재다능하니 정사를 보는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논어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