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 嗚呼 弗慮 胡獲이며 弗爲 胡成이리오 一人 元良면 萬邦 以貞리이다
何也 弗慮何得 欲其謹思之也 弗爲何成 欲其篤行之也이요 正也 一人者 萬邦之儀表 一人元良이면 則萬邦以正矣리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太甲下 第七> 嗚呼라 弗慮면 胡獲이며 弗爲면 胡成이리오 一人이 元良하면 萬邦이 以貞하리이다
嗚呼 弗慮 胡獲이며 弗爲 胡成이리오 一人 元良하면 萬邦 以貞하리이다
아! 생각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얻을 수 있겠으며, 행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한 사람이 매우 선량하면 萬邦이 바르게 될 것입니다.
[傳]胡 正也 言常念慮道德하면 則得道德이요 念爲善政하면 則成善政이라
胡는 何의 뜻이요, 貞은 正의 뜻이다. 항상 道德을 생각하면 道德을 얻게 되고, 善政을 행할 것을 생각하면 善政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一人 天子 天子有大善이면 則天下得其正이라
‘一人’은 바로 天子이니, 天子에게 큰 善이 있으면 天下가 그 올바름을 얻을 것이란 말이다.
[疏]傳‘胡何’至‘其正’
傳의 [胡何]에서 [其正]까지
○正義曰:‘胡’之與‘何’, 方言之異耳. 易彖象皆以貞爲正也.
○正義曰:胡와 何는 方言이 다를 뿐이다. ≪易≫의 〈彖傳〉과 〈象傳〉에서 모두 貞을 正의 뜻으로 여겼다.
伊尹此言, 勸王爲善, ‘弗慮’‧‘弗爲’, 必是善事, 人君善事, 惟有道德政敎.
伊尹의 이 말은 王에게 善을 하도록 권한 것이므로 ‘弗慮’‧‘弗爲’는 필시 善한 일일 터이니, 임금의 善한 일은 오직 道德과 政敎가 있을 뿐이다.
言‘不慮何獲’, 是念慮有所得, 知心所念慮是道德也. ‘不爲何成’, 則爲之有所成, 則知心所念是爲善政也.
‘생각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했은즉, 이는 생각해서 얻은 바가 있을 것이니, 마음에 생각하는 바는 바로 道德임을 〈孔安國이〉 알았던 것이다. ‘행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은즉, 행해서 이룬 바가 있을 것이니,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바로 善政임을 〈孔安國이〉 알았던 것이다.
謂天子爲‘一人’者, 其義有二. 一則天子自稱‘一人’, 是爲謙辭, 言己是人中之一耳.
天子를 ‘一人’이라고 이른 데에는 그 뜻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天子가 자칭 ‘一人’이라고 한 것이니, 이는 謙辭로서 자기는 사람 중의 한 명일 뿐임을 말한 것이다.
一則臣下謂天子爲‘一人’, 是爲尊稱, 言天下惟一人而已.
다른 하나는 신하가 天子를 ‘一人’이라 이른 것이니, 이는 존칭으로서 천하에 오직 한 사람뿐임을 말한 것이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