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詩經集傳(上)

시경집전(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 책은 비교 대상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汾沮洳〉
言采其ㅣ로다
之子美無ㅣ로다
美無度殊異乎公路ㅣ로다
興也 水口이니 出太原晉陽山하여 西南入河 沮洳 水浸處下濕之地 菜也 似柳하고 葉厚而長하며 有毛刺하니 可爲羹이라 無度 言不可以尺寸量也 公路者 掌公之路車 晉以鄕大夫之庶子爲之하니라
○ 此亦刺儉不中禮之詩 言若此人者 美則美矣 然其儉嗇褊急之態 殊不似貴人也
彼汾一方言采其桑이로다
彼其之子美如이로다
美如英이나殊異乎公이로다
興也 一方 彼一方也 史記 扁鵲視見垣一方人이라하니라 華也 公行 卽公路也 以其主兵車之行列이라 謂之公行也
彼汾一曲言采其이로다
彼其之子美如玉이로다
美如玉이나殊異乎公族이로다
興也 一曲 謂水曲流處 水舄[蕮]也 葉如車前草 公族 掌公之宗族이니 晉以卿大夫之適子爲之하니라
汾沮洳三章이니 章六句
[毛序] 汾沮洳 刺儉也 其君 儉以能勤이나 刺不得禮也
역주
역주1 : 扶云反
역주2 : 子豫反
역주3 : 如豫反
역주4 莫(모) : 音慕
역주5 : 音記
역주6 : 도
역주7 : 叶於良反
역주8 : 戶郞反
역주9 : 音續

시경집전(상)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