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 德無常師야 主善 爲師 善無常主야 協于克一이니이다
上文 言用人하고 因推取人爲善之要하니라 無常者 不可執一之謂이요 合也 德者 善之總稱이요 善者 德之實行이며 一者 其本原統會者也 德兼衆善하니 不主於善이면 則無以得一本萬殊之理 善原於一하니 不協于一이면 則無以達萬殊一本之妙 謂之克一者 能一之謂也 博而求之於不一之善하고 約而會之於至一之理 此聖學始終條理之序 與夫子所謂一貫者 幾矣 太甲 至是而得與聞焉하니 亦異乎常人之改過者歟인저 張氏曰 虞書精一數語之外 惟此爲精密이니라
尙書注疏(3)(상서정의(3)) 尙書注疏 제8권 商書> 咸有一德 第八> 德無常師하여 主善이 爲師며
德無常師하여 主善 爲師
德은 일정한 師法이 없어서 善을 주장하는 것이 師法이 되며,
[傳]德非一方이니 以善爲主라야 乃可師
德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니, 善을 주장해야 師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善無常主하여 이니이다
善은 일정한 주장이 없어서 克一(순일한 나의 마음)에 합해야 하는 것입니다.
[傳]言以合於能一爲常德이라
能一에 합하는 것을 常德(일정한 法)으로 삼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協于克一 : 蔡傳에서는 “‘克一’이라 함은 能一 곧 순일하게 함을 이르니, 범위를 넓혀서 하나뿐이 아닌 善에서 구하고, 범위를 요약하여 至一의 이치에 會合하는 것이다.[謂之克一者 能一之謂也 博而求之於不一之善 約而會之於至一之理]”라고 풀이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