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書經集傳(上)

서경집전(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서경집전(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0. 導河샤 積石으로 至于龍門며 南至于華陰며 東至于底柱며 又東至于孟津며 東過洛汭야 至于大伾며 北過洚水야 至于大陸며 又北播爲九河야 同爲逆河 入于海니라
積石, 龍門 見雍州하니라 華陰 華山之北也 底柱 見導山하니라 地名이요 渡處也 杜預云 在河內郡河陽縣南이라하니 今孟州河陽縣也 武王師渡孟津者卽此 今亦名富平津이라 洛汭 洛水交流之內 在今河南府鞏縣之東이라 洛之入河 實在東南이로되 河則自西而東過之 曰東過洛汭 大伾 孔氏曰 山再成曰伾 張揖 以爲在成皐라하고 鄭玄 以爲在修武武德이라 臣瓚 以爲修武武德 無此山이요 成皐山 又不再成이니 今通利軍黎陽縣臨河 有山하니 蓋大伾也라하니라 按黎陽山 在大河垂欲趨北之地 禹記之 若成皐之山인댄 旣非從東折北之地 又無險礙如龍門底柱之須疏鑿이며 西去洛汭 旣已大近하고 東距洚水大陸 又爲絶遠하니 當以黎陽者 爲是 洚水 地志 在信都縣이라하니 今冀州信都縣枯洚渠也 程氏曰 周時 河徙砱礫이라가 至漢 又改向頓丘하여 東南流하니 與禹河迹으로 大相背戾 地志 魏郡鄴縣 有故大河하니 在東北하여 直達于海라하니 疑卽禹之故河 孟康以爲王莽河 非也 古洚瀆 自唐貝州 經城北하여 入南宮하고 貫穿信都하니 大抵北向而入故河於信都之北하여 爲合北過洚水之文하니 當以信都者爲是 大陸 見冀州하고 九河 見兗州하니라 逆河 意以海水逆潮而得名이라 九河旣淪于海 則逆河 在其下流 固不復有矣 河上播而爲九라가 下同而爲一하니 其分播合同 皆水勢之自然이니 禹特順而導之耳 今按 漢西域傳 張騫所窮河源 云 河有兩源하니 一出蔥嶺하고 一出于闐하니 于闐 在南山下 其河北流하여 與蔥嶺河合하여 東注蒲昌海 蒲昌海 一名鹽澤이니 去玉門陽關三百餘里 其水停居하여 冬夏 不增減하고 潛行地中하여 南出積石이라하니라 又唐長慶中 薛元鼎 使吐蕃할새 自隴西成紀縣西南으로 出塞二千餘里하여 得河源於莫賀延積尾하니 曰閟磨黎山이라 其山 中高四下하니 所謂崑崙也 東北流하여 與積石河 相連하니 河源澄瑩하고 冬春可涉이라 下稍合流하여 色赤하고 益遠 他水幷注하여 遂濁이라 吐蕃亦自言 崑崙 在其國西南이라하니 二說 恐薛氏爲是 河自積石으로 三千里而後 至于龍門이어늘 但一書積石하고 不言方向 荒遠하여 在所略也 龍門而下 因其所經이니 記其自北而南則曰南至華陰이라하고 記其自南而東則曰東至底柱라하고 又詳記其東向所經之地則曰孟津, 曰洛汭, 曰大伾라하고 又記其自東而北則曰北過洚水라하고 又詳記其北向所經之地則曰大陸, 曰九河라하고 又記其入海之處則曰逆河 自洛汭而上 河行於山하니 其地皆可攷어니와 自大伾而下 垠岸高於平地 決齧流移하여 水陸變遷하니 而洚水大陸九河逆河 皆難指實이라이나 上求大伾하고 下得碣石하여 因其方向하여 辨其故迹이면 則猶可考也 其詳 悉見上文하니라
○ 又按 李復云 同州韓城北 有安國嶺하니 東西四十餘里 東臨大河 瀕河 有禹廟한대 在山斷河出處 禹鑿龍門 起於唐張仁愿所築東受降城之東하여 自北而南하여 至此山盡이라 兩岸石壁峭立하고 大河盤束於山峽間千數百里라가 至此하여 山開岸闊하니 豁然奔放하여 怒氣噴風하고 聲如萬雷라하니라 今按 舊說 禹鑿龍門호되 而不詳其所以鑿이요 誦說相傳 但謂因舊修闢하여 去其齟齬하여 以決水勢而已 今詳此說하면 則謂受降以東으로 至於龍門 皆是禹新開鑿이니 若果如此 則禹未鑿時 河之故道 不知却在何處 而李氏之學極博하니 不知此說又何所考也
尙書注疏(2)(상서정의(2)) 尙書注疏 제6권 夏書> 禹貢 第一> 導河積石하여 至于龍門하시며
導河積石하여 至于龍門하시며
積石山에서 황하를 유도하기 시작하여 龍門山에 이르게 하시며,
[傳]施功發於積石하여 至于龍門하되 或鑿山하고 或穿地하여 以通流
積石山에서 공사를 시작하여 龍門山에 이르되 혹은 산을 파기도 하고 혹은 땅을 파기도 하여 물의 흐름을 통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疏]傳‘施功’至‘通流’
傳의 [施功]에서 [通流]까지
○正義曰:河源不始於此, 記其施功處耳, 故言‘施功發于積石’.
○正義曰:황하의 수원이 여기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고 그 공사를 시작한 곳을 기록했을 뿐이다. 그러므로 ‘積石山에서 공사를 시작하여’라고 한 것이다.
釋水云 “河千里一曲一直.” 則河從積石北行, 又東, 乃南行至于龍門, 計應三千餘里.
≪爾雅≫ 〈釋水〉에 “황하가 1,000리를 흐르면서 한 번은 굽게 흐르고 한 번은 곧게 흐른다.”라고 하였으니, 황하가 積石山으로부터 북쪽으로 흘러가고 또 동쪽으로 흐르다가 곧 남쪽으로 흘러가 龍門山에 이르렀으니, 계산하면 응당 3,000여 리가 될 것이다.
龍門‧厎柱, 鑿山也. 其餘平地, 穿地也. ‘或鑿山 或穿地 以通流’, 言自積石至海皆然也.
龍門山과 厎柱山은 산을 팠고, 그 나머지는 평지이기 때문에 땅을 판 것이다. ‘혹은 산을 파기도 하고 혹은 땅을 파기도 하여 물의 흐름을 통하게 하였다는 것’은 積石山으로부터 바다에 이르기까지 다 그렇게 〈공사를〉 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釋水云 “河出崐崘虛, 色白.” 李巡曰 “崐崘, 山名. 虛, 山下地也.”
≪爾雅≫ 〈釋水〉에 “황하가 崐崘山 아래에서 나올 때에는 색깔이 희다.”라고 하였는데, 李巡은 “崐崘은 산 이름이고, 虛는 산 아래 땅이다.”라 하고,
郭璞云 “發源高處激湊, 故水色白. 潛流地中, 受渠衆多, 渾濁, 故水色黃.”
郭璞은 “높은 곳에서 발원하면 급격히 쏟아지기 때문에 물빛이 희고, 땅속으로 숨어 흐르면 여러 도랑의 물을 받아 혼탁하기 때문에 물빛이 누렇다.”라고 하였다.
漢書西域傳云 “河有兩源, 一出蔥嶺, 一出于闐. 于闐在南山下, 其河北流, 與蔥嶺河合, 東注蒲昌海.
≪漢書≫ 〈西域傳〉에 “황하에는 두 개의 水源이 있으니, 하나는 蔥嶺에서 나오고, 다른 하나는 于闐에서 나온다. 于闐은 南山 아래에 위치해 있으니, 황하가 북쪽으로 흘러가 蔥嶺에서 발원한 황하와 합하여 동쪽으로 蒲昌海로 주입된다.
蒲昌海, 一名鹽澤者, 去玉門‧陽關三百餘里, 廣袤三四百里. 其水停居, 冬夏不增減, 皆以爲潛行地下, 南出于積石, 爲中國河.”
蒲昌海는 일명 ‘鹽澤’이란 것인데, 玉門‧陽關과의 거리는 3백 여 리이고 너비와 길이는 3, 4백 리이다. 그 물이 흐르지 않고 멈추어 있어서 겨울과 여름에도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으며, 모두 지하로 숨어 흐르다가 남쪽으로 積石山에서 나와서 中國의 河水가 된다.”라고 하였다.
郭璞云 “其去崐崘, 里數遠近未得詳也.”
郭璞은 “그 崐崘山과의 거리에 대한 里數의 원근관계는 자세히 알 수 없다.”라고 하였다.
南至于華陰하시며
남쪽으로 華山의 북쪽에 이르게 하시며,
[傳]河自龍門南流至華山하고東行이라
河水는 龍門山으로부터 남쪽으로 흘러 華山에 이르고 북쪽으로 해서 동쪽으로 흘러간다는 것이다.
東至于厎柱하시며
동쪽으로 厎柱山에 이르게 하시며,
[傳]厎柱 山名이라 河水分流하여 包山而過하니 山見水中若柱然하며 在西虢之界
厎柱는 산 이름이다. 河水가 나뉘어 흘러 산을 감싸고 지나가니 산이 물 가운데 나타난 것이 마치 기둥 같으며 西虢의 지계에 있다.
又東至于孟津하시며
또 동쪽으로 孟津에 이르게 하시며,
[傳]孟津 地名이니 在洛北이라 都道所湊 古今以爲津이라
孟津은 땅 이름이니, 洛陽城 북쪽에 있다. 여러 길이 모이는 곳이므로 예나 지금이나 나루로 삼았다.
○孟津 洛北地名이라
○孟津은 洛陽城 북쪽의 땅 이름이다.
[疏]傳‘孟津’至‘爲津’
傳의 [孟津]에서 [爲津]까지
○正義曰:孟是地名, 津是渡處. 在孟地致津, 謂之‘孟津’. 傳云‘地名’, 謂‘孟’爲地名耳.
○正義曰:孟은 땅 이름이고, 津은 물을 건너는 곳이다. 孟 땅에 津을 조성했기 때문에 ‘孟津’이라고 한 것이다. 孔傳에서 ‘땅 이름이다.’라 한 것은 ‘孟’을 일러 ‘땅 이름’이라고 했을 뿐이다.
杜預云 “孟津, 河內河陽縣南孟津也. 在洛陽城北, 都道所湊, 古今常以爲津. 武王渡之, 近世以來, 呼爲武濟.”
杜預는 “孟津은 河內郡 河陽縣 남쪽에 있는 孟津이다. 洛陽城 북쪽에 있고, 여러 길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예나 지금이나 항상 나루로 삼았다. 武王이 〈이 나루를〉 건넜기 때문에 근세 이래로 ‘武濟’라 부른다.”라고 하였다.
東過洛汭하여 至于大伾하시며
동쪽으로 洛汭를 지나 大伾에 이르게 하시며,
[傳]洛汭 洛入河處 至于大伾而北行이라
洛汭는 洛水가 河水로 들어가는 곳이다. 산이 두 번 중첩된 것을 ‘伾’라 한다. 大伾에 이르러서는 북쪽으로 흘러간다.
○伾 本或作岯
○伾는 어떤 本에 더러 ‘岯’로 되어 있기도 하다.
[疏]傳‘洛汭’至‘北行’
傳의 [洛汭]에서 [北行]까지
○正義曰:‘洛汭 洛入河處’, 河南鞏縣東也. 釋山云 “再成英, 一成岯.” 李巡曰 “山再重曰英, 一重曰岯.”
○正義曰:[洛汭 洛入河處] 河南郡 鞏縣 동쪽이다. ≪爾雅≫ 〈釋山〉에 “두 번 중첩된 것은 英이고, 한 번 중첩된 것은 岯이다.”라고 하였는데, 李巡은 “산이 두 번 중첩된 것을 英이라 하고, 한 번 중첩된 것을 岯라 한다.”라고 하였다.
傳云 “再成曰岯.” 與爾雅不同, 蓋所見異也. 鄭玄云 “大岯在修武武德之界.” 張揖云 “成皐縣山也.”
孔傳에 “〈산이〉 두 번 중첩된 것을 伾라 한다.”라고 하여 ≪爾雅≫와 같지 않은 것은 아마 소견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鄭玄은 “大岯는 修武와 武德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라 하였고, 張揖은 “成皐縣의 산이다.”라고 하였다.
漢書音義有者, 以爲 “修武武德無此山也. 成皐縣山, 又不一成. 今黎陽縣山臨河, 豈不是大岯乎.” 瓚言當然.
≪漢書音義≫에 臣瓚이란 자가 있어 말하기를 “修武와 武德에 이런 산이 없다. 成皐縣의 산은 또 한 번 중첩되지 않았다. 지금 黎陽縣의 산이 황하에 임해 있으니, 이것이 어찌 大岯가 아니겠는가.”라고 하였으니, 臣瓚의 말이 당연하다.
北過하여 至于大陸하시며
북쪽으로 降水를 지나 大陸에 이르게 하시며,
[傳]降水 水名이니 入河 大陸 澤名이라
降水는 물 이름이니, 河水로 들어간다. 大陸은 못 이름이다.
[疏]傳‘降水’至‘澤名’
傳의 [降水]에서 [澤名]까지
○正義曰:地理志云 案班固漢書, 以襄國爲信都, 在大陸之內.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降水는 信都縣에 있다.”라고 하였다. 班固의 ≪漢書≫를 살펴보면, 襄國을 信都國으로 만들었으니, 大陸의 안에 있었다.
或降水發源在此, 下尾至今之信都, 故得先過降水, 乃至大陸. 若其不爾, 則降水不可知也.
혹시 降水의 發源이 여기에 있고 그 下尾가 지금의 信都에 이르렀기 때문에 먼저 降水를 지나야 곧 大陸에 이를 수 있었던 모양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降水에 대한 것은 알 수 없다.
鄭以“降讀爲降(下江反), 聲轉爲共, 河內共縣, 淇水出焉, 東至魏郡黎陽縣入河, 北近降水也.
鄭玄은 “降을 ‘降(下와 江의 反切)’으로 발음해서 읽던 것이 소리가 점점 바뀌어 ‘共’의 음이 된 것으로 여기고 河內郡 共縣에서 淇水가 나와 동쪽으로 魏郡 黎陽縣에 이르러서 河水로 들어가는데, 북쪽으로 降水에 가까웠다.
周時國於此地者, 惡言降水, 改謂之共.” 此鄭胸臆, 不可從也.
周나라 때에 이 지대에 나라를 세운 자가 ‘降水’라고 말하기 싫어서 ‘共’으로 고쳐서 불렀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鄭玄의 억측이라 따를 수가 없다.
又北播爲九河라가
또 북쪽으로 나누어져 九河가 되었다가
[傳]北分爲九河하여 以殺其溢하니 在兗州界
북쪽으로 나누어져 九河가 되어 물이 넘치는 것을 감소시켰으니, 兗州의 지계에 있다.
○溢 字又作隘
○溢은 글자가 또 隘로 되어 있기도 하다.
同爲逆河하여 入于海하시다
함께 합류하여 逆河가 되어서 바다로 들어가게 하셨다
[傳]同合爲一大河하니 名逆河而入於渤海 皆禹所加功이라 敍之
함께 합해져 하나의 큰 河水가 되니, ‘逆河’라 불리고 渤海로 들어간다. 모두 禹가 공을 들인 곳이기 때문에 서술한 것이다.
[疏]傳‘同合’至‘敍之’
傳의 [同合]에서 [敍之]까지
○正義曰:傳言九河將欲至海, 更同合爲一大河, 名爲逆河, 而入于渤海也.
○正義曰:孔傳에서 “九河가 장차 바다에 도달하려고 다시 함께 합해져 하나의 큰 河水가 되니 ‘逆河’라 불리고 渤海로 들어간다.”라고 말하였는데,
鄭玄云 “下尾合, 名爲逆河, 言相向迎受.” 王肅云 “同逆一大河, 納之於海.” 其意與孔同.
鄭玄은 “下尾가 합해져서 명칭을 ‘逆河’라고 하였으니, 서로 향하여 맞아 받아들임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王肅은 “함께 역류하는 하나의 큰 河水가 바다로 들어간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뜻이 孔傳과 같다.
역주
역주1 (至)[而] : 저본에는 ‘至’로 되어 있으나, “古本‧岳本‧宋板‧≪史記集解≫에는 ‘至’가 ‘而’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而’로 바로잡았다.
역주2 山再成曰伾 : 조선시대 金長生은 ≪經書辨疑≫에서 “이른바 ‘再成’의 成자가 重疊의 뜻이란 것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伾는 岯가 되어야 옳을 듯하다.”라고 하였다.
역주3 臣瓚 : 瓚의 姓은 알 수 없다.
역주4 : ≪漢書≫ 〈地理志〉에는 ‘絳’, 大全本에는 ‘洚’으로 되어 있다.
역주5 降水在信都縣 : ≪漢書≫ 〈地理志〉 信都國 信都縣 조에 “〈禹貢〉에는 絳水도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였다.[禹貢絳水亦入海]”라고 주석되어 있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