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上)

주역전의(상)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전의(상)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 豫 序卦 有大而能謙이면 必豫 故受之以豫라하니 承二卦之義而爲次也 有旣大而能謙이면 則有豫樂也 豫者 安和悅樂之義 爲卦 震上坤下하여 順動之象이니 動而和順이라 是以豫也 九四爲動之主하여 上下群陰 所共應也 坤又承之以順하니 是以動而上下順應이라 故爲和豫之義 以二象言之하면 雷出於地上이니 陽始潛閉於地中이라가 及其動而出地하여는 奮發其聲하여 通暢和豫 故爲豫也
16. 豫 ䷏
利建侯行師니라
[傳] 豫 順而動也 豫之義 所利在於建侯行師 夫建侯樹屛 所以共安天下 諸侯和順則萬[一作兆]民悅服이요 兵師之興 衆心和悅則順從而有功이라 故悅豫之道 利於建侯行師也 又上動而下順 諸侯從王, 師衆順令之象이니 君萬邦하고, 聚大衆 非和悅이면 不能使之服從也
彖曰 豫 剛應而志行고 順以動
[傳] 剛應 謂四爲群陰所應이니 剛得衆應也 志行 謂陽志上行하여 動而上下順從하니 其志得行也 順以動豫 震動而坤順하니 爲動而順理 順理而動이며 又爲動而衆順이라 所以豫也
豫順以動故 天地 如之 而況建侯行師乎
[傳] 以豫順而動이면 則天地如之而弗違 況建侯行師 豈有不順乎 天地之道 萬物之理 唯至順而已 大人所以先天後天而不違者 亦順乎理而已니라
天地 以順動이라 日月 不過而四時 不忒고 聖人 以順動이라 則刑罰 淸而民服니
[傳] 復詳言順動之道 天地之運 以其順動일새 所以日月之度不過差하여 四時之行不愆忒하며 聖人 以順動일새 故經正而民興於善하여 刑罰淸簡而萬民服也
豫之時義 大矣哉
[傳] 旣言豫順之道矣 然其旨味淵永하여 言盡而意有餘也 故復贊之云 豫之時義大矣哉라하니 欲人硏味其理하여 優柔涵泳而識之也 時義 謂豫之時義 諸卦之時與義用大者 皆贊其大矣哉하니 豫以下十一卦是也 豫, 遯, 姤, 旅 言時義하고 坎, 睽, 蹇 言時用하고 頤, 大過, 解, 革 言時하니 各以其大者也
象曰 雷出地奮 先王야 作樂崇德야 殷薦之上帝야 以配祖考니라
[傳] 雷者 陽氣奮發이니 陰陽相薄而成聲也 陽始潛閉地中이라가 及其動이면 則出地奮震也하나니 始閉鬱이라가 及奮發이면 則通暢和豫 故爲豫也 坤順震發하니 和順積中而發於聲 樂之象也 先王 觀雷出地而奮 和暢發於聲之象하여 作聲樂以褒崇功德하여 其殷盛 至於薦之上帝하여 推配之以祖考 盛也 禮有殷奠하니 謂盛也 薦上帝, 配祖考 盛之至也
初六 鳴豫니라
[傳] 初六 以陰柔居下하고 豫之主也而應之하니 是不中正之小人 處豫而爲上所寵하여 其志意滿極하여 不勝其豫하여 至發於聲音이니 輕淺如是 必至於凶也 發於聲也
象曰 初六鳴豫 志窮야 凶也ㅣ라
[傳] 云初六 謂其以陰柔[一无柔字]處下而志意窮極하여 不勝其豫하여 至於鳴也 必驕肆而致[一作至]凶矣
六二 介于石이라 不終日이니니라
[傳] 逸豫之道 放則失正이라 故豫之諸爻多不得正하니 才與時合也일새라 唯六二一爻 處中正하고 又无應하니 爲自守之象이라 當豫之時하여 獨能以中正自守하니 可謂特立之操 是其節介如石之堅也 介于石 其介如石也 人之於豫樂 心悅之 故遲遲하여 遂致於耽戀하여 不能已也어늘 二以中正自守하여 其介如石하니 其去之速하여 不俟終日이라 故貞正而吉也 處豫 不可安且久也 久則溺矣 如二 可謂見幾而作者也 夫子因二之見幾而極言知幾之道曰 知幾其神乎인저 君子上交不諂하며 下交不瀆하나니 其知幾乎인저 幾者 動之微 吉之先者也 君子見幾而作하여 不俟終日하나니 易曰 介于石이라 不終日이니이요이라하니라 介如石焉이어니 寧用終日이리오 斷可識矣로다 君子知微知彰知柔知剛하나니 萬夫之望이라하시니라 夫見事之幾微者 其神妙矣乎인저 君子上交不至於諂하고 下交不至於瀆者 蓋知幾也 不知幾 則至於過而不已하여 交於上 以恭巽이라 故過則爲諂하고 交於下 以和易 故過則爲瀆하나니 君子見於幾微 故不至於過也 所謂幾者 始動之微也 吉凶之端 可先見而未著者也 獨言吉者 見之於先하니 豈復至有凶也리오 君子明哲하여 見事之幾微 故能其介如石이라 其守旣堅이면 則不惑而明하여 見幾而動하니 豈俟終日也리오 別也 其判別 可見矣 微與彰, 柔與剛 相對者也 君子見微則知彰矣 見柔則知剛矣 知幾如是 衆所仰也 故贊之曰 萬夫之望이라하니라
象曰 不終日貞吉 以中正也ㅣ라
[傳] 能不終日而貞且吉者 以有中正之德也 中正故其守堅而能辨之早, 去之速이라 爻言六二處豫之道하니 爲敎之意深矣로다
六三 盱豫ㅣ라야도 有悔리라
[傳] 六三 陰而居陽하여 不中不正之人也 以不中正而處豫 動皆有悔 上視也 上瞻望於四 則以不中正으로 不爲四所取 故有悔也 豫之主어늘 與之切近하니 苟遲遲而不前이면 則見棄絶이니 亦有悔也 蓋處身不正이면 進退皆有悔吝이니 當如之何 在正身而已 君子處己有道하니 以禮制心하여 雖處豫時라도 不失中正이라 故無悔也
象曰 盱豫有悔 位不當也라
[傳] 自處不當하여 失中正也 是以進退有悔
九四 由豫 大有得이니 勿疑 盍簪리라
[傳] 豫之所以爲豫者 由[一无由字]九四也 爲動之主하여 動而衆陰悅順하니 爲豫之義 大臣之位 六五之君 順從之하여 以陽剛而任上之事하니 豫之所由也 故云由豫 大有得 言得大行其志하여 以致天下之豫也 勿疑朋盍簪 四居大臣之位하여 承柔弱之君而當天下之任하니 危疑之地也 獨當上之倚任而下无同德之助하니 所以疑也 唯當盡其至誠하여 勿有疑慮 則[一有其字]朋類自當盍聚리라 夫欲上下之信인댄 唯至誠而已 苟盡其至誠이면 則何患乎其[一无乎字 一无其字]无助也리오 聚也 簪之名簪 取聚髮也 或曰 卦唯一陽이니 安得同德之助리오 曰 居上位而至誠求助 理必得之 姤之九五曰 有隕自天 是也 四以陽剛으로 迫[一作逼]近君位而專主乎豫하니 聖人 宜爲之戒어늘 而不然者 和順之道也 由和順之道 不失爲臣之正也 如此而專主於豫 乃是任天下之事而致時於豫者也 故唯戒以至誠勿疑하니라
象曰 由豫大有得 志大行也ㅣ라
[傳] 由己而致天下於樂豫 故爲大有得이니 謂其志得大行也
六五호나 恒不死ㅣ로다
[傳] 六五以陰[一无陰字]柔居君位하니 當豫之時하여 沈溺於豫하여 不能自立者也 權之所主 衆之所歸 皆在於四하니 四之陽剛得衆 非耽惑柔弱之君 所能制也 乃柔弱不能自立之君 受制於專權之臣也 居得君位 貞也 受制於下 有疾苦也 六居尊位하여 權雖失而位未亡也 故云貞疾恒不死라하니 言貞而有疾하나 常疾而不死하니 如漢魏末世之君也 人君致危亡之道非一이나 而以豫爲多 在四 不言失正하고 而於五 乃見其强逼者 四本無失이라 故於四 言大臣任天下之事之義하고 於五則言柔弱居尊하여 不能自立하여 威權去己之義하니 各據爻以取義 故不同也 若五不失君道而四主於豫 乃是任得其人하여 安享其功이니 如太甲成王也 蒙亦以[一无以字]陰居尊位하고 二以陽爲蒙之主 然彼吉而此疾者 時不同也 童蒙而資之於人 宜也어니와 耽豫而失之於人 危亡之道也 故蒙 相應則倚任者也 相逼則失權者也 又上下之心 專歸於四也
象曰 六五貞疾 乘剛也ㅣ오 恒不死 中未亡也ㅣ라
[傳] 貞而疾 由乘剛하여 爲剛所逼也 恒不死 中之尊位未亡也
上六 冥豫나 有渝ㅣ면 无咎ㅣ리라
[傳] 上六 陰柔 非有中正之德하고 以陰居上하여 不正也而當豫極之時하니 以君子居斯時라도 亦當戒懼 況陰柔乎 乃耽肆於豫하여 昏迷不知反者也 在豫之終이라 故爲昏冥已成也 若能有渝變則可以无咎矣리니 在豫之終하여 有變之義 人之失 苟能自變이면 皆可以无咎 故冥豫雖已成이나 能變則善也 聖人發此義하니 所以勸遷善也 故更不言冥之凶하고 專言渝之无咎하니라
象曰 冥豫在上이어니 何可長也ㅣ리오
[傳] 昏冥於豫하여 至於終極하니 災咎行及矣 其可長然乎 當速渝也
역주
역주1 : 현
周易正義(주역정의(1)) 周易兼義 上經 需傳 卷第二> 16. 豫(坤下震上)
利建侯行師하니라
(諸侯)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함이 이롭다.
[疏]正義曰:謂之豫者, 取逸豫之義, 以和順而動, 動不違衆, 衆皆豫,
정의왈正義曰:‘’라고 말한 것은 편안함과 즐거움(기쁨)의 뜻을 취한 것이니, 화순和順으로 하여, 동함에 무리를 어기지 않아서 무리가 모두 즐거워한다.
故謂之豫也.
그러므로 ‘’라 한 것이다.
動而衆說, 故可利建侯也, 以順而動, 不加无罪, 故可以行師也.
동하여 무리가 즐거워하기 때문에 를 세움이 이로울 수 있는 것이요, 함으로써 동하여 죄 없는 사람에게 벌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군대를 출동할 수 있는 것이다.
无四德者, 以逸豫之事, 不可以常行, 時有所爲也, 縱恣寬暇之事, 不可長行以經邦訓俗, 故无元亨也, 逸豫非幹正之道, 故不云利貞也.
원형이정元亨利貞의〉 네 이 없는 까닭은, 편안하고 즐거운 일을 항상 행할 수가 없고, 때에 따라 행해야 하니, 멋대로 방종하여 한가로운 일은 장구히 행해서 나라를 다스리고 풍속을 가르칠 수가 없으므로 원형元亨이 없는 것이요, 편안함과 즐거움은 간정幹正가 아니기 때문에 이정利貞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莊氏云“建侯卽元亨也, 行師卽利貞也.” 案屯卦, 元亨利貞之後, 別云“利建侯”, 則建侯非元亨也, 恐莊氏說非也.
장씨莊氏가 말하기를 “를 세움은 바로 원형元亨이요, 군대를 출동함은 바로 이정利貞이다.” 하였는데, 둔괘屯卦를 살펴보면 원형이정元亨利貞의 뒤에 별도로 “를 세움이 이롭다.”고 말하였으니, 를 세움이 원형元亨이 아닌바, 장씨莊氏은 틀린 듯하다.
彖曰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剛應而志行하고 順以動
이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함으로써 함이 이다.
豫順以動이라 天地如之 而況建侯行師乎
는 순함으로써 동하므로 하늘과 땅도 같이 하는데, 하물며 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함에 있어서랴.
天地以順動이라 日月不過而四時不忒하고 聖人以順動이라 則刑罰淸而民服하나니 豫之時義大矣哉
하늘과 땅이 순함으로써 동하기 때문에 해와 달이 지나치지 않아서 사시四時가 어긋나지 않으며, 성인聖人이 순함으로써 동하므로 형벌이 깨끗해져서 백성이 복종하는 것이니, 의 때와 가 크다.”
[疏]‘彖曰豫剛應而志行’至‘大矣哉’
의 [彖曰豫剛應而志行]에서 [大矣哉]까지
○正義曰:‘豫 剛應而志行 順以動 豫’者, 剛, 謂九四也, 應, 謂初六也, 旣陰陽相應, 故志行也.
정의왈正義曰:[豫 剛應而志行 順以動 豫] ‘’은 구사九四를 이르고, ‘’은 초육初六을 이르니, 이미 이 서로 응하였기 때문에 ‘뜻이 행해지는 것’이다.
此就爻明豫義.
이는 에 나아가 의 뜻을 밝힌 것이다.
順以動, 坤在下, 是順也, 震在上, 是動也.
순이동順以動’은, 곤괘坤卦가 아래에 있는 것이 바로 ‘’이고, 진괘震卦가 위에 있는 것이 바로 ‘’이다.
以順而動, 故豫也, 此以上下二象, 明豫義也.
순함으로써 동하기 때문에 즐거운 것인바, 이는 위아래 두 을 가지고 의 뜻을 밝힌 것이다.
自此已上, 釋豫卦之理也.
이로부터 이상은 예괘豫卦의 이치를 해석하였다.
[疏]‘豫順以動 故天地如之 而況建侯行師乎’者, 此釋利建侯行師也.
[豫順以動 故天地如之 而況建侯行師乎] 이는 ‘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함이 이로움’을 해석한 것이다.
若聖人和順而動, 合天地之德, 故天地亦如聖人而爲之也.
만약 성인聖人화순和順으로 동하면 하늘과 땅의 에 합하므로 하늘과 땅이 또한 성인聖人과 같이 하는 것이다.
天地尊大而遠, 神之難者, 猶尙如之, 況於封建諸侯, 行師征伐乎.
하늘과 땅은 높고 크면서 머니 신묘함의 어려움도 오히려 이와 같은데, 하물며 제후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하여 정벌함에 있어서랴.
難者旣從, 易者可知.
어려운 것이 이미 따르면 쉬운 것은 알 수 있다.
若建侯能順動, 則人從之, 行師能順, 則衆從之.
만약 를 세울 적에 능히 순함으로 동하면 사람들이 따르고, 군대를 출동할 적에 능히 순함으로 동하면 군사들이 따른다.
‘天地以順動 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 自此以下, 廣明天地聖人順動之功也.
[天地以順動 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 이로부터 이하는 하늘과 땅과 성인聖人이 순함으로 동하는 공효功效를 널리 밝힌 것이다.
若天地以順而動, 則日月不有過差, 依其晷度, 四時不有忒變, 寒暑以時.
만약 하늘과 땅이 순함으로써 동하면 해와 달의 운행이 지나치거나 어긋남이 없어서 그 궤도를 따르므로, 사시四時가 어긋나거나 변하지 않아 춥고 더움이 때에 맞는 것이다.
‘聖人以順動 則刑罰淸而民服’者, 聖人能以理順而動, 則不赦有罪, 不无辜,
[聖人以順動 則刑罰淸而民服]성인聖人이 능히 이치로써 순히 하여 동하면 죄가 있는 자를 용서하지 않고, 무고無辜(無罪)한 자에게 함부로 벌을 가하지 않는다.
故刑罰淸也, 刑罰當理, 故人服也.
그러므로 ‘형벌이 깨끗해지는 것’이니, 형벌이 이치에 합당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복종하는 것이다.
[疏]‘豫之時義大矣哉’者, 歎美爲豫之善.
[豫之時義大矣哉](좋음)이 됨을 감탄하고 찬미한 것이다.
言於逸豫之時, 其義大矣, 此歎卦也.
편안하고 즐거운 때에 그 의의意義가 큼을 말한 것이니, 이는 를 탄미한 것이다.
凡言不盡意者, 不可煩文其說, 且歎之以示情, 使後生思其餘蘊, 得意而忘言也.
무릇 말로 뜻을 다할 수 없는 것은 번거롭게 그 말을 글로 늘어놓지 않고, 우선 감탄하여 을 보여주어서 후생後生들로 하여금 깊이 쌓인 의미를 생각하여 뜻을 얻고 말을 잊게 한 것이다.
그러나 를 탄미한 것에 세 가지 가 있으니, 첫 번째는 다만 때를 탄미한 것으로, 〈대과괘大過卦에〉 ‘대과大過의 때가 크다.’와 같은 가 이것이요, 두 번째는 때와 함께 을 탄미한 것으로, 〈감괘坎卦에〉 ‘의 때와 이 크다.’와 같은 가 이것이요, 세 번째는 때와 함께 를 탄미한 것으로, ‘의 때와 가 크다.’와 같은 가 이것이다.
夫立卦之體, 各象其時, 時有屯夷, 事非一揆.
를 세운 는 각각 그 때를 형상하니, 때에는 어려움과 평탄함이 있고, 일은 동일同一한 법도가 아니다.
故爻來適時, 有凶有吉.
그러므로 의 옴이 때에 맞아서 흉함이 있고 길함이 있는 것이다.
人之生世, 亦復如斯, 或逢治世, 或遇亂時, 出處存身, 此道豈小.
사람이 세상을 살아감 또한 이와 같아서 혹 치세治世를 만나고 혹 난세亂世를 만나서 출세하거나 은둔하여 몸을 보존하니, 이 가 어찌 작겠는가.
故曰“大矣哉”也.
그러므로 “크다”고 말한 것이다.
然時運雖多, 大體不出四種者,
그러나 시운時運이 비록 많더라도 대체는 네 가지를 벗어나지 않는다.
一者治時, 頤養之世, 是也, 二者亂時, 大過之世, 是也, 三者離散之時, 解緩之世, 是也, 四者改易之時, 革變之世, 是也,
첫 번째는 다스려지는 때이니 이양頤養[頤卦]의 세상이 이것이요, 두 번째는 어지러운 때이니 대과大過[大過卦]의 세상이 이것이요, 세 번째는 흩어지는 때이니 해완解緩[解卦]의 세상이 이것이요, 네 번째는 바뀌는 때이니 혁변革變[革卦]의 세상이 이것이다.
故擧此四卦之時爲歎, 餘皆可知.
그러므로 이 네 의 때를 들어 탄미하였으니, 나머지를 모두 알 수 있다.
[疏]言用者, 謂適時之用也, 雖知居時之難, 此事不小, 而未知以何而用之耳,
을 말한 것은 때에 알맞은 쓰임을 말한 것이니, 비록 때에 대처함이 어려워서 이 일이 작은 일이 아님을 알지만 어떻게 써야 할지를 알지 못한다.
故坎‧睽‧蹇之時, 宜用君子, 小人勿用.
그러므로 감괘坎卦규괘睽卦건괘蹇卦의 때에는 마땅히 군자君子를 쓰고 소인小人은 쓰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用險取濟, 不可爲常, 斟酌得宜, 是用時之大略.
험함을 사용하여 구제함을 취할 때에는 이를 떳떳함으로 삼을 수 없고 짐작斟酌하여 떳떳함을 얻으니, 이것이 때를 씀의 대략이다.
擧險難等三卦, 餘從可知矣.
험난險難 등의 세 를 들었으니, 나머지는 따라 알 수 있다.
又言義者, 姤卦注云“凡言義者, 不盡於所見, 中有意謂者也.” 是其時皆有義也.
를 말한 것은 구괘姤卦에 “무릇 를 말한 것은 보이는 것으로는 다할 수가 없고 중간에 의위意謂(意義)가 있는 것이다.” 하였으니, 이는 때에 모두 가 있는 것이다.
略明佚樂之世, 相隨相遇之日, 隱遯羇旅之時, 凡五卦其義不小, 則餘卦亦可知也.
편안하고 즐거운(豫卦) 세상과 서로 따르고(隨卦) 서로 만나는(姤卦) 날과 은둔하고(遯卦) 나그네살이하는(旅卦) 때의 모두 다섯 에 그 뜻이 작지 않음을 대략 밝혔으니, 나머지 를 또한 알 수 있다.
今所歎者十二卦, 足以發明大義, 恢弘妙理者也.
이제 탄미한 열두 는 충분히 대의大義를 발명하고 오묘한 이치를 넓힌 것들이다.
[疏]凡于彖之末, 歎云“大哉”者, 凡一十二卦.
무릇 〈단전彖傳〉의 끝에 탄미하며 “대재大哉”라고 말한 것은 모두 열두 이다.
若豫‧旅‧遯‧姤凡四卦, 皆云“時義”, 案姤卦注云“凡言義者, 不盡於所見, 中有意謂.”
예괘豫卦여괘旅卦둔괘遯卦구괘姤卦의 무릇 네 에는 모두 “시의時義”라고 말하였으니, 살펴보건대 구괘姤卦에 “무릇 를 말한 것은, 보이는 것으로는 다할 수가 없고 중간에 의위意謂가 있는 것이다.” 하였으니,
以此言之, 則四卦卦各未盡其理, 其中更有餘意, 不可盡申, 故總云“義”也.
이것을 가지고 말하면 이 네 에 각각 그 이치를 다 말할 수가 없고 그 가운데에 다시 남은 뜻이 있어서 다 펼 수가 없기 때문에 총괄하여 “”라고 한 것이다.
隨之一卦亦言義, 但與四卦, 其文稍別,
의 한 를 말하였으나 다만 네 와 그 글이 약간 다르다.
四卦皆云“時義”, 隨卦則“隨時之義”者, 非但其中別有義意, 又取隨逐其時, 故變云“隨時之義大矣哉”.
에는 모두 “시의時義”라고 말하였으나 수괘隨卦에는 “수시지의隨時之義”라고 하였으니, 이는 비단 이 가운데에 따로 의의義意가 있을 뿐만이 아니요, 때를 따름을 취하였기 때문에 “수시지의隨時之義 대의재大矣哉”라고 바꾸어 말한 것이다.
睽‧蹇‧坎此三卦, 皆云“時用”, 案睽卦注云“睽離之時, 非小人之所能用.” 蹇卦亦云“非小人之所能用.”
규괘睽卦건괘蹇卦감괘坎卦의 이 세 에는 모두 “시용時用”이라 하였으니, 살펴보건대 규괘睽卦에 “규리睽離하는 때는 소인小人이 쓸 수 있는 바가 아니다.” 하였고, 건괘蹇卦에도 “소인小人이 쓸 수 있는 바가 아니다.” 하였다.
此二卦言“大矣哉”者, 則是大人能用, 故云“大矣哉”, 其中更无餘義, 唯大人能用, 故云用, 不云義也.
이 두 에 “대의재大矣哉”라고 말한 것은 바로 대인大人만이 쓸 수 있으므로 “대의재大矣哉”라고 말한 것이니, 이 가운데 다시 남은 뜻은 없고 오직 대인大人만이 쓸 수 있기 때문에 을 말하고 를 말하지 않은 것이다.
[疏]坎卦時用, 則與睽‧蹇稍別,
감괘坎卦의 “시용時用”은 규괘睽卦건괘蹇卦와 약간 다르다.
故注云“非用之常, 用有時也.” 謂坎險之事, 時之須用, 利益乃大, 與睽‧蹇時用, 文同而義異也.
그러므로 에 “씀[用]의 떳떳한 것이 아니니 씀에 때가 있는 것이다.” 한 것이니, 감험坎險의 일은 때를 기다려서 써야 이익이 비로소 커짐을 말한 것인바, 규괘睽卦건괘蹇卦시용時用과 글은 같으나 뜻이 다르다.
解之時, 革之時, 頤之時, 大過之時, 此四卦直云時, 不云義與用也,
해괘解卦의 때와 혁괘革卦의 때와 이괘頤卦의 때와 대과괘大過卦의 때, 이 네 에 다만 를 말하고 을 말하지 않은 것은,
案解卦注, “難解之時, 非治難時, 故不言用, 體盡於解之名, 无有幽隱, 故不曰義.”
살펴보건대 해괘解卦에 “어려움이 풀리는 때는 어려움을 다스릴 때가 아니므로 을 말하지 않았고, 의 이름(卦名)에 다 드러나서 그윽하고 숨겨진 의미가 있지 않으므로 를 말하지 않았다.” 하였다.
以此注言之, 直云時者, 尋卦之名, 則其意具盡, 中間更无餘義, 故不言義, 其卦名之事, 事已行了, 不須別有所用,
를 가지고 말하면, 다만 를 말한 것은 의 이름을 찾아보면 그 뜻이 모두 다하여 중간에 다시 남은 뜻이 없기 때문에 를 말하지 않은 것이고, 괘명卦名의 일이 이미 행해져서 굳이 별도로 쓰는 바가 없는 것이다.
故解‧革及頤事已行了, 不須言用.
그러므로 해괘解卦혁괘革卦이괘頤卦에는 일이 이미 행해져서 굳이 을 말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唯大過稱時, 注云“君子有爲之時.” 與解‧革‧頤, 其理稍別.
오직 대과괘大過卦에서 를 말한 것은, 에 “군자君子가 훌륭한 일을 할 때이다.”라고 하여, 해괘解卦혁괘革卦이괘頤卦와 그 이치가 조금 다르다.
大過是有用之時, 亦直稱時者, 取大過之名, 其意卽盡, 更无餘意, 故直稱時, 不云義, 略不云用也.
대과괘大過卦이 있는 때인데도 또한 다만 를 칭한 것은 대과大過의 이름을 취하면 그 뜻이 곧 다하여 다시 남은 뜻이 없기 때문에 다만 라고 칭하고 를 말하지 않은 것이며, 글을 생략하여 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雷出地奮이니 先王以作樂崇德하여 殷薦之上帝하여 以配祖考하니라
“우레가 땅에서 나와 분발함이 예괘豫卦이니, 선왕先王이 보고서 음악을 만들어 을 높이며 성대한 음악으로 상제上帝에게 제향을 올려 선조와 아버지로 배향配享하였다.”
[疏]正義曰:案諸卦之象, 或云“雲上于天”, 或云“風行天上”, 以類言之, 今此應云“雷出地上”,
정의왈正義曰:살펴보건대, 여러 의 〈상전象傳〉에 혹은 “구름이 하늘로 올라간다.”고 말하고, 혹은 “바람이 하늘 위로 간다.”고 말하였으니, 이런 로써 말하면 지금 여기에서는 응당 “우레가 땅 위로 나온다.”고 말해야 한다.
乃云“雷出地奮豫”者, 雷是陽氣之聲, 奮是震動之狀, 雷旣出地, 震動萬物, 被陽氣而生, 各皆逸豫, 故曰“雷出地奮豫”也.
그런데 도리어 “우레가 땅에서 나와 분발함이 예괘豫卦이다.[雷出地奮豫]”라고 말한 것은, ‘’는 양기陽氣의 소리이고 ‘’은 진동하는 모양이니, 우레가 이미 땅에서 나와 만물萬物을 진동시킴에 〈만물萬物이〉 양기陽氣를 입고 태어나 각각 모두 편안하고 즐겁기 때문에 “우레가 땅에서 나와 분발함이 예괘豫卦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先王以作樂崇德’者, 雷是鼓動, 故先王法此鼓動而作樂, 崇盛德業, 樂以發揚盛德故也.
[先王以作樂崇德] 우레는 바로 고동鼓動하는 것이므로 선왕先王이 이 고동함을 본받아 음악을 만들어서 덕업德業을 높이고 성대하게 하였으니, 음악으로 성덕盛德을 발양하기 때문이다.
‘殷薦之上帝’者, 用此殷盛之樂, 薦祭上帝也, 象雷出地而向天也.
[殷薦之上帝] 이 성대한 음악을 사용하여 상제上帝에게 제사를 올리는 것이니, 우레가 땅에서 나와 하늘을 향함을 형상한 것이다.
‘以配祖考’者, 謂以祖考配上帝,
[以配祖考] 선조와 아버지를 상제上帝에게 배향配享함을 이른다.
用祖用考, 若周夏正郊天, 配靈威仰, 以祖后稷配也, 配祀明堂五方之帝, 以考文王也,
선조를 사용하고 아버지를 사용함은, 예컨대 나라의 하정夏正에 하늘에 제사를 지낼 적에는 영위앙靈威仰으로 배향하고 선조인 후직后稷을 여기에 배향하며, 명당明堂오방五方배사配祀할 적에는 아버지인 문왕文王으로써 배향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조와 아버지로 배향配享하였다.[以配祖考]”라고 말한 것이다.
初六 鳴豫하니라
초육初六은 즐거움을 울림이니 흉하다.
[注]處豫之初하여 而特得志於上하니 樂過則淫하고 志窮則凶하니
의 처음에 처하여 특별히 위에서 뜻을 얻었으니, 즐거움이 지나치면 음탕하고 뜻이 다하면 흉하다.
豫何可鳴이리오
즐거움을 어찌 울릴 수 있겠는가.
[疏]正義曰:‘鳴豫’者, 處豫之初, 而獨得應於四, 逸豫之甚, 是聲鳴于豫.
정의왈正義曰:[鳴豫]의 처음에 처하여 홀로 구사九四에게 을 얻어서 편안함과 즐거움이 심하니, 이는 즐거움을 소리로 울리는 것이다.
但逸樂之極, 過則淫荒, 獨得於樂, 所以凶也.
다만 편안함과 즐거움이 지극하니, 지나치면 음탕하고 황폐하니, 홀로 즐거움을 얻음은 흉한 이유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初六鳴豫 志窮凶也
초육初六이 즐거움을 울림은 뜻이 다하여 흉한 것이다.”
[疏]正義曰:釋鳴豫之義, 而初時鳴豫, 後則樂志窮盡, 故爲凶也.
정의왈正義曰:‘즐거움을 울림’의 뜻을 해석하였으니, 처음에는 즐거움을 울리다가 뒤에는 즐거운 뜻이 다 없어지기 때문에 흉함이 되는 것이다.
六二 介于石이라
육이六二는 절개가 돌과 같다.
不終日이니 貞吉하니라
하루를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하여 길하다.
[注]處豫之時하여 得位履中하여 安夫貞正하여 不求苟豫者也
의 때에 처하여 정위正位를 얻고 을 밟고 있어서 정정貞正함을 편안히 여겨 구차히 즐거움을 구하지 않는 자이다.
順不苟從하고 豫不違中이라
순하면서 구차히 따르지 않고, 즐거워하면서 중도中道를 어기지 않는다.
是以 上交不諂하고 下交不瀆이라
이 때문에 윗사람과 사귈 적에 아첨하지 않고 아랫사람과 사귈 적에 번독煩瀆하지 않는 것이다.
明禍福之所生이라 不苟說이요 辯必然之理 不改其操하여 介如石焉하니 不終日 明矣
이 생겨나는 이유를 밝게 알기 때문에 구차하게 즐거워하지 않고, 필연의 이치를 분별하기 때문에 그 지조를 바꾸지 않아서 절개가 돌과 같으니, 하루를 마치지 않음이 분명하다.
[疏]正義曰:‘介于石’者, 得位履中, 安夫貞正, 不苟求逸豫,
정의왈正義曰:[介于石]정위正位를 얻고 을 밟고 있어서 정정貞正함을 편안히 여겨 구차히 편안하고 즐거움을 구하지 않는다.
上交不諂, 下交不瀆.
그리하여 윗사람과 사귈 적에 아첨하지 않고 아랫사람과 사귈 적에 번독煩瀆하지 않는다.
知幾事之初始, 明禍福之所生, 不苟求逸豫, 守志耿介, 似於石.
기사幾事(幾微의 일)의 처음을 알고 화복禍福이 생겨나는 이유를 밝게 알아서 구차히 편안함과 즐거움을 구하지 않고 뜻을 지켜 꼿꼿함이 돌과 같은 것이다.
, 去惡修善, 守正得吉也.
그러나 기미幾微를 봄이 신속하여 하루를 마침을 기다리지 않고, 을 제거하고 을 닦아 항상 바름을 지켜 길함을 얻는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不終日貞吉 以中正也
“‘하루를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하여 길함’은 중정中正하기 때문이다.”
[疏]正義曰:釋貞吉之義.
정의왈正義曰:‘하여 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所以見其惡事, 卽能離去, 不待終日, 守正吉者, 以比六二居中守正, 順不苟從, 豫不違中,
한 일을 보면 즉시 떠나가서 하루를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고 바름을 지켜 길한 까닭은, 육이六二에 거하고 바름을 지켜서 순하면서도 구차히 따르지 않고 즐거워하면서도 중도中道를 어기지 않음을 비유하였다.
故不須待其一日終, 守貞吉也.
그러므로 하루를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고 바름을 지켜 길한 것이다.
六三 盱豫하면 有悔리라
육삼六三은 눈웃음치며 즐거워하는 것이니 후회할 것이요, 더디면 후회가 있으리라.
[注]居下體之極하고 處兩卦之際하여 履非其位하고 承動豫之主하니 若其盱而豫 悔亦生焉이요 遲而不從이면 豫之所疾이요 位非所據하여 而以從豫하니 進退離悔 宜其然矣
하체下體에 거하고 두 의 사이에 처하여, 밟고 있는 것이 정위正位가 아니고 동예動豫의 주체를 받들고 있으니, 만약 눈웃음치면서 즐거워하면 후회가 또한 생길 것이요, 더디게 하여 따르지 않으면 즐거움을 빨리 해야 하며, 자기 자리가 아닌 곳을 차지하고서 즐거움을 따르니, 나아가거나 물러남에 후회에 걸림이 당연한 것이다.
[疏]正義曰:‘盱豫 悔’者, 六三履非其位, 上承動豫之主.
정의왈正義曰:[盱豫 悔]육삼六三이 밟고 있는 것이 정위正位가 아니고 위로 동예動豫의 주체를 받들고 있다.
盱, 謂睢盱, 睢盱者, 喜說之貌,
’는 휴우睢盱를 이르니, 휴우睢盱는 기뻐하는 모양이다.
若睢盱之求豫, 則悔吝也.
만약 눈웃음치면서 즐거움을 구하면 후회하고 부끄러워할 것이다.
[遲有悔]의 때에 거하여 만약 더디게 하고 멈춰서 즐거움을 구하지 않으면 또한 후회가 있는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盱豫有悔 位不當也
“‘눈웃음치고 즐거워하니 〈더디면〉 후회가 있음’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疏]正義曰:解其盱豫有悔之義.
정의왈正義曰:‘눈웃음치고 즐거워하니 〈더디면〉 후회가 있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以六三居不當位, 進退不得其所, 故盱豫有悔.
육삼六三이 거한 것이 자리에 마땅하지 않아서 나아가거나 물러남에 제자리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눈웃음치며 즐거워하여 후회가 있는 것[盱豫有悔]’이다.
但象載經文, 多從省略, 經有“盱豫有悔”‧“遲有悔”, 兩文具載, 象唯云“盱豫有悔”, 不言“遲”者, 略其文也,
다만 〈상전象傳〉은 경문經文을 기재할 적에 대부분 생략을 따랐으니, 경문經文에는 “우예유회盱豫有悔”와 “지유회遲有悔”가 있어서 두 글이 모두 실려 있는데, 〈상전象傳〉에는 오직 “우예유회盱豫有悔”만을 말하고 “”는 말하지 않았으니, 이는 글을 생략한 것이다.
故直云“盱豫”, 擧其欲進, 略云“有悔”, 擧其遲也.
그러므로 다만 “우예盱豫”만을 말하였으니 나아가고자 함을 든 것이요, 생략하여 “유회有悔”라고 말하였으니 더딤을 든 것이다.
九四 由豫 大有得이니 勿疑 하리라
구사九四는 말미암아 즐거워하므로 크게 얻음이 있으니, 의심하지 않으면 벗이 빨리 모일 것이다.
[注]處豫之時하고 居動之始하여 獨體陽爻 衆陰所從하여 莫不由之以得其豫
의 때에 처하고 의 시초에 거하여, 홀로 하나의 양효陽爻로 여러 이 따르는 바여서 이로 말미암아 즐거움을 얻지 않음이 없다.
曰 由豫 大有得也라하니라
그러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므로 크게 얻음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夫不信於物이면 物亦疑焉이라
남을 믿지 못하면 남들도 의심한다.
勿疑則朋合疾也
그러므로 의심하지 않으면 벗의 모임이 빠른 것이다.
合也 疾也
’은 모임이요, ‘’은 빠름이다.
[疏]正義曰:‘由豫 大有得’者, 處豫之時, 居動之始, 獨體陽爻, 爲衆陰之所從, 莫不由之以得其豫,
정의왈正義曰:[由豫 大有得]의 때에 처하고 의 시초에 거하여, 홀로 하나의 양효陽爻로 여러 이 따르는 바가 되어서 이로 말미암아 즐거움을 얻지 않음이 없다.
故云“由豫”也.
그러므로 “말미암아 즐겁다.[由豫]”라고 한 것이다.
大有得者, 衆陰皆歸, 是大有所得.
대유득大有得’은 여러 이 모두 귀의하니, 이것이 크게 얻는 바가 있는 것이다.
‘勿疑 朋盍簪’者, 盍, 合也, 簪, 疾也.
[勿疑 朋盍簪] ‘’는 모임이고 ‘’은 빠름이다.
만약 남을 의심하지 않고 성신誠信으로써 대하면 여러 과 여러 벗들이 모여 빠르게 올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由豫大有得 志大行也
“말미암아 기쁘므로 크게 얻음이 있음은 뜻이 크게 행해지는 것이다.”
[疏]正義曰:釋由豫大有之意.
정의왈正義曰:‘말미암아 기쁘므로 크게 얻음이 있음’의 뜻을 해석하였다.
衆陰旣由之而豫, 大有所得, 是志意大同也.
여러 이 이미 이로 말미암아 즐거워해서 크게 얻은 바가 있으니, 이는 뜻이 크게 같은 것이다.
六五 貞疾하여 恒不死니라
육오六五는 항상 앓는 고질병이 있어 항상 죽지 않는다.
[注]四以剛動으로 爲豫之主하여 專權執制하여 非己所乘이라
구사九四의 동함으로서 의 주체가 되어 권력을 독점하고 제재制裁하고 있어서 자기(六五)가 탈 수 있는 바가 아니다.
不敢與四爭權이요
그러므로 감히 구사九四와 권력을 다투지 못한다.
而又居中處尊하여 未可得亡이라
그런데 또 에 거하고 존위尊位에 처하여 망하게 할 수가 없다.
是以 必常至于貞疾하여 恒不死而已
이 때문에 반드시 항상 고질병에 이르러서 항상 죽지 않는 것이다.
[疏]正義曰:四以剛動爲豫之主, 專權執制, 非己所乘,
정의왈正義曰:구사九四의 동함으로서 의 주체가 되어 권력을 독점하고 제재制裁하고 있어서 자기(六五)가 탈 수 있는 바가 아니다.
故不敢與四專權.
그러므로 감히 구사九四와 권력을 다투지 못한다.
而又居中處尊, 未可得亡滅之.
그런데 또 에 거하고 존위尊位에 처하여 멸망하게 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반드시 항상 고질병에 이르러서 항상 죽지 않음을 얻을 뿐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六五貞疾 乘剛也 恒不死 中未亡也
육오六五정질貞疾을 탔기 때문이요, 항상 죽지 않음은 아직 이 없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疏]正義曰:‘六五貞疾 乘剛’者, 解貞疾之義.
정의왈正義曰:[六五貞疾 乘剛] ‘정질貞疾’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以乘九四之剛, 故正得其疾, 恒不死也.
구사九四을 타고 있기 때문에 바로 그 병을 얻어서 항상 죽지 않는 것이다.
‘中未亡’者, 以其居中處尊, 未可亡滅之也.
[中未亡]에 거하고 존위尊位에 처하여 멸망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上六 冥豫成하니 有渝 无咎리라
상육上六은 어두운 즐거움이 이루어지니, 변함이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注]處動豫之極하여 極豫盡樂이라
동예動豫에 처하여 기쁨을 지극히 하고 즐거움을 다하였다.
至于冥豫成也
그러므로 어두운 즐거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過豫不已 何可長乎리오
지나치게 즐거워함을 그치지 않으면 어찌 장구할 수 있겠는가.
必渝變然後 无咎
그러므로 반드시 변한 뒤에야 허물이 없는 것이다.
[疏]正義曰:處動豫之極, 極豫盡樂, 乃至於冥昧之豫而成就也.
정의왈正義曰:동예動豫에 처하여 기쁨을 지극히 하고 즐거움을 다하여 마침내 어두운 즐거움을 성취하는 데 이른 것이다.
如俾晝作夜, 不能休已, 滅亡在近.
예컨대 낮을 밤으로 삼아 〈즐기기를〉 그치지 않으면 멸망이 가까이 있는 것이다.
‘有渝 无咎’者, 渝, 變也.
[有渝 无咎] ‘’는 변함이다.
若能自思改變, 不爲冥豫, 乃得无咎也.
만약 능히 스스로 고치고 변할 것을 생각하여 어두운 즐거움을 하지 않으면 마침내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象曰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冥豫在上하니 何可長也리오
“어두운 즐거움으로 위에 있으니 어찌 장구할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 열
역주2 [動] : 저본에는 ‘動’이 없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院刻本 참조]
역주3 (監)[濫] : 저본에는 ‘監’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濫’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4 然歎卦有三體……是也 : 〈彖傳〉에서 ‘大矣哉’라고 하여 卦를 탄미한 것은 총 12卦이고, 탄미하는 내용은 時, 時用, 時義 세 가지이다. 정리하면, 時만을 말한 것은 頤卦‧大過卦‧解卦‧革卦이고, 時用을 말한 것은 坎卦‧睽卦‧蹇卦이고, 時義를 말한 것은 豫卦‧遯卦‧姤卦‧旅卦‧隨卦이다.
역주5 (又)[文] : 저본에는 ‘又’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文’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6 以配祖考者……故云以配祖考也 : ‘靈威仰’은 五帝의 하나인 靑帝로, 東方의 神이며 봄의 神이라 한다. 赤帝는 赤熛怒로 南方의 神이자 여름의 神이며, 白帝는 白招拒로 西方의 神이자 가을의 神이며, 黑帝는 汁光紀로 北方의 神이자 겨울의 神이며, 黃帝는 含樞紐로 중앙의 神이다.
《禮記》 〈大傳〉에 “禮에 王者가 아니면 禘제사를 지내지 않으니, 王者는 그 始祖가 부터 나온 조상을 禘제사하고 그 先祖로써 배향한다.[禮 不王 不禘 王者禘其祖之所自出 以其祖配之]” 하였는데, 鄭玄의 注에 “蒼帝(靑帝)는 靈威仰이고 赤帝는 赤熛怒이고 黄帝는 含樞紐이고 白帝는 白招拒이고 黑帝는 汁光紀이니, 모두 正歲의 正月을 사용하여 이들에게 郊祭를 지내는바, 특별히 높이는 것이다. 《孝經》에 ‘郊祀에 后稷을 하늘에 배향한다.’는 것은 靈威仰에 배향한 것이고, ‘文王을 明堂에 제사하여 上帝에 배향한다.’는 것은 무릇 五帝에 배향한 것이다.[蒼則靈威仰 赤則赤熛怒 黃則含樞紐 白則白招拒 黑則汁光紀 皆用正歲之正月郊祭之 蓋特尊焉 孝經曰 郊祀後稷以配天 配靈威仰也 宗祀文王於明堂 以配上帝 泛配五帝也]” 하였다. 그러나 茶山은 鄭玄의 說을 일축하고 五帝는 伏羲, 神農, 黃帝, 堯, 舜이라고 하였다.
역주7 上交不諂……不待終竟一日 : 〈繫辭傳 下〉에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幾微를 앎이 그 神妙하다. 君子는 윗사람과 사귈 적에 아첨하지 않고 아랫사람과 사귈 적에 煩瀆하지 않으니, 기미를 아는 것이다. 幾는 動함의 은미함으로 吉이 먼저 나타난 것이니, 君子는 기미를 보고 떠나가서 하루가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 《易》에 이르기를 「절개가 돌과 같다. 하루를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貞하여 길하다.」 하였다. 절개가 돌과 같으니, 어찌 하루를 마치겠는가. 결단함을 알 수 있다.’” 한 내용을 원용한 것이다.
역주8 (相)[恒] : 저본에는 ‘相’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恒’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9 : 휴
역주10 盱豫悔者……亦有悔也 : 王弼과 孔穎達은 ‘盱豫’의 ‘盱’를 睢盱, 즉 눈웃음치는 것으로 보았는데, 程伊川과 朱子는 올려다봄의 의미로 풀이하여 ‘盱豫’를 六三이 九四를 올려다보고 기뻐함의 뜻으로 해석하였다.
‘遲 有悔’를 王弼과 孔穎達은 더디게 나아가면 후회가 있음으로 보았는바, 六三이 正位를 잃고 動豫의 주체인 九四를 받들고 있어 제자리를 얻지 못했으므로 나아가거나 물러남에 모두 후회가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이러한 해석은 程伊川도 비슷하다.
이에 반해 朱子는 ‘遲’를 나아감에 더딤의 의미가 아니라 뉘우침에 더딤으로 보고, “그 占(占卦)은 일을 함에 속히 뉘우쳐야 하니, 만약 뉘우치기를 더디게 하면 반드시 후회가 있을 것이다.[其占爲事當速悔 若悔之遲 則必有悔也]” 하였다.
역주11 朋盍簪 : 합잠
역주12 簪疾也……則衆陰群朋合聚而疾來也 : 王弼과 孔穎達은 ‘簪’을 빠름으로 해석하여, ‘朋盍簪’을 ‘벗들이 모여 빨리 옴’으로 풀이하였다. 그러나 程伊川은 簪도 盍과 마찬가지로 ‘모임’으로 풀이하고, 그 이유로, “簪은 모임이니, 簪을 비녀라고 이름한 것은 머리털을 모음을 취한 것이다.[簪 聚也 簪之名簪 取聚髮也]”라고 설명하였다. 한편 朱子는 “簪은 모임이요, 또 빠름이다.[簪 聚也 又速也]” 하여, 두 說을 모두 취하였다.
역주13 四以剛動爲豫之主……恒得不死而已 : 王弼과 孔穎達이 經文의 ‘貞疾’과 ‘恒不死’의 관계를 역접으로 보았는지 확실하지 않아 經文을 위와 같이 懸吐‧飜譯하였다. 朱子는 “豫의 때를 당하여 柔로서 尊位에 거해서 즐거움에 빠지고, 또 九四의 剛을 타서 무리가 따르지 않아 처한 형세가 위태롭다. 그러므로 貞疾의 象이 된다. 그러나 中을 얻었기 때문에 또 항상 죽지 않는 象이 되니, 象을 가지고 관찰하면 占이 이 가운데 들어 있다.[當豫之時 以柔居尊 沈溺於豫 又乘九四之剛 衆不附而處勢危 故爲貞疾之象 然以其得中 故又爲恒不死之象 卽象而觀 占在其中矣]”고 하여, ‘貞疾’과 ‘恒不死’의 역접관계를 분명하게 밝혔다.
반면 程伊川은 貞에서 句를 떼고, “거함이 君位를 얻음은 貞이며, 아래에게 제재를 받음은 疾苦가 있는 것이다. 六이 尊位에 거하여 비록 권력을 잃었으나 지위는 잃지 않았기 때문에 ‘貞疾恒不死’라고 말한 것이니, 貞하되 병이 있으나 항상 앓고 죽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居得君位 貞也 受制於下 有疾苦也 六居尊位 權雖失 而位未亡也 故云貞疾恒不死 言貞而有疾 常疾而不死]” 하였다.
목록 맨위로 맨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