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1)

안씨가훈(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兄弟 관계란?
夫有人民而後有夫婦, 有夫婦而後有父子, 有父子而後有兄弟:
自玆以往, 至於, 皆本於焉, 故於人倫爲重者也, 不可不篤。
兄弟者, 之人也,
方其幼也, 父母, , 食則, 衣則, 學則, , 雖有悖亂之人, 不能不相愛也;
及其壯也, 各妻其妻, 各子其子, 雖有篤厚之人, 不能不少衰也。
之比兄弟, 則疏薄矣。
今使疏薄之人, 而親厚之恩, 猶方底而圓蓋, 必不合矣。
深至, 不爲之所移者, 免夫!


1. 兄弟 관계란?
사람이 있고 난 뒤에 부부夫婦가 있고, 부부夫婦가 있고 난 뒤에 부자父子가 있으며, 부자父子가 있고 난 뒤에 형제兄弟가 있으니, 한 집안의 친족이란 이 세 가지뿐이다.
이로부터 구족九族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삼친三親에 근본을 두고 있으니, 그래서 인륜에 있어 중요한 것이며 돈독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형제란 같은 부모로부터 육신肉身을 나누어 받고 를 이어받은 사람들이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가 좌우에서 이끌어주고, 앞뒤에서 〈부모의〉 옷깃을 끌어당기고 옷자락에 매달리며, 밥은 한 상에서 먹고 옷은 물려받아 입으며, 공부는 형이 쓰던 책을 물려받고 밖에 놀러 나갈 적에는 함께 다니므로, 아무리 못된 형제가 있더라도 서로 아끼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장성하여서 각기 아내를 얻고 자식을 갖게 되면, 비록 〈형제간의 우애가〉 두텁고 돈독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다소 시들해지지 않을 수 없다.
동서同壻 사이는 형제에 비교하면 소원하다.
이제 소원한 사람들로 하여금 가깝고 두터운 형제간의 우애를 좌지우지하게 한다면, 이는 바닥은 네모진데 뚜껑이 둥근 것과 같아서 결코 들어맞지 않는다.
오로지 우애가 아주 깊어서 옆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변치 않는 이들만이 〈이런 꼴을〉 면할 것이다.


역주
역주1 一家之親 此三而已矣 : 《老子》 〈道經〉의 王弼 注에서 “六親이란 父子, 兄弟, 夫婦이다.”라 했다.[盧文弨]
역주2 九族 : 《詩經》 〈王風 葛藟〉의 序에 “周나라 왕실이 쇠미해져, 九族을 버렸다.”라 하였고, 箋에는 “九族이란 자기 자신을 기점으로 위로는 高祖父에 이르고 아래로 玄孫에 이르기까지의 친척이다.”라고 하였다. 《正義》에서는 “이는 옛날 《尙書》의 說로서 鄭玄이 이를 채택하여 썼다. 《五經異義》에서는 “오늘날 《禮記》의 戴氏와 《尙書》의 歐陽氏의 說에 따르면, 九族은 父族 넷과 母族 셋, 그리고 妻族 둘을 가리킨다.”라고 하였다.[趙曦明]
역주3 三親 : 앞에 나온 夫婦, 父子, 兄弟를 가리킨다.[역자]
역주4 分形連氣 : 형체를 나누고 같은 氣를 이어받다.[역자]
역주5 左提右挈(설) : 《史記》 〈張耳陳餘傳〉에 ‘左提右挈’이란 표현이 나오고 《漢書》 〈張耳傳〉에도 나오는데, 顔師古의 注에서 “提挈은 거들어 잡아줌을 말한다.”라고 풀이하였다.[王利器]
역주6 : 설
역주7 前襟後裾 : 앞에서 옷깃을 잡아당기고 뒤에서 옷자락을 붙든다. 즉 형제가 함께 부모에게 매달리며 자란다는 뜻이다.[역자]
역주8 同案 : 밥상을 함께하다. 즉 함께 밥 먹다.[역자]
역주9 傳服 : 아이의 옷 중 큰 아이가 입을 수 없는 것을 남겼다가 작은 아이에게 물려주는 것을 말한다. 《晉書》 〈儒林 氾毓傳〉에 “여러 대에 걸쳐 儒學을 바탕으로 하면서 九族이 화목하였고, 靑州에서 타관살이하며 毓에 이르러 7대가 되었는데, 당시 사람들이 그의 집안을 일컬어 ‘아이들은 정해진 엄마가 없고, 옷은 일정한 주인이 없다.’라 했다.”라고 하였다. 《北史》 〈序傳〉에 “邢子才는 〈李禮之墓誌〉를 지어서 ‘음식 중에 별미가 있으면 기다렸다가 함께 먹었고, 옷은 일정한 주인이 없어 바꿔 입고 나갔다.’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王利器]
역주10 連業 : ‘業’은 經典을 필사하는 書版을 뜻하며, ‘連業’은 형이 사용하던 經書를 그 동생이 이어받아 계속 쓴다는 말이다.[王利器]
역주11 游則共方 : 《論語》 〈里仁〉에 “나가면 반드시 가는 곳을 알려야 한다.”라 하였고, 鄭玄의 注에서 “方은 일정함이다.”라고 하였으며, 《資治通鑑》 29의 胡三省 注에서는 “游는 놀러나감을 말하고, 學은 학문을 닦고 연구함을 말한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12 娣姒 : 《爾雅》에서 “큰 며느리가 작은 며느리를 일컬어 娣婦라 하고, 작은 며느리가 큰 며느리를 姒婦라고 한다.”라 하였다.[趙曦明]
아래위 동서관계를 말한다.[역자]
역주13 節量 : ‘節制하고 헤아린다[度量]’는 뜻이다.[역자]
역주14 友悌 : 형제간의 우애를 가리킨다.[역자]
역주15 旁人 : 형제들의 아내를 가리킨다.[吳訥]

안씨가훈(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