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2)

안씨가훈(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 《詩經》의 ‘灌木’
《詩》云:“。”
《傳》云:“。” 此乃《爾雅》之文, 故注曰:“木叢生曰灌。”
《爾雅》末章又云:“木族生爲灌。”
所以江南《詩》古本皆爲叢聚之叢,
字, 近世儒生, 因改爲最, 解云:“木之最高長者。”
案:衆家《爾雅》及解《詩》無言此者,
《毛詩注》, 音爲徂會反, 《詩注》, 音爲在公反, 又祖會反:
皆爲穿鑿,


12. 《시경詩經》의 ‘관목灌木
시경詩經》에 “꾀꼬리들 이리저리 날아와, 관목灌木 덤불에 모여 쉬누나.[황조우비黃鳥于飛 집우관목集于灌木]라는 시구가 있다.
모시고훈전毛詩故訓傳》에서는 “관목灌木은 무더기를 지은[] 나무”라고 하였다. 이는 바로 《이아爾雅》의 구절로, 이순李巡은 “나무가 무더기로[] 자란 것이 이다.”라고 주석하였다.
이아爾雅》의 마지막 에서도 “나무가 무리 지어[] 자란 것이 이다.”라고 하였으니, 무리 짓는다[]는 것 또한 무더기로[] 모인다[]는 뜻이다.
그래서 강남江南의 《시경詩經》 옛 판본에서는 모두 총취叢聚(무더기로 모이다)의 자로 되어 있다.
그러나 옛날에 쓰인 자는 자와 비슷해서, 근세의 유생儒生들은 이를 자로 고쳐 쓰면서, “나무 중에 가장[] 높이 자란 것이다.”라고 풀이한다.
생각건대, 여러 학자들의 《이아爾雅》 관련 서적이나 《시경詩經》의 풀이에 이를 언급한 이가 없는데도,
다만 주속지周續之의 《모시주毛詩注》에서는 독음讀音이 ‘조회반徂會反(최)’이라 하였고, 유창종劉昌宗의 《모시주毛詩注》에서는 독음讀音이 ‘재공반在公反(총)’이며 또 다른 독음讀音은 ‘조회반祖會反(최)’이라고 하였으니,
이들은 모두가 심하게 천착하여 《이아爾雅》의 풀이에서 벗어난 것이다.


역주
역주1 黃鳥于飛 集于灌木 : 《詩經》 〈周南 葛覃〉편의 시구이다.[周法高]
역주2 灌木 叢木也 : 《爾雅》 〈釋木〉편의 구절이다.[王利器]
역주3 李巡 : 《經典釋文》 〈敘錄〉에 의하면 “《爾雅》는 李巡이 그 3권을 주석하였다.”고 하였다. 李巡은 《後漢書》 〈宦者呂强傳〉에 보이며, 李巡의 이 주석도 《詩經》 〈周南 葛覃〉의 孔穎達의 《正義》에 인용된 것이 보이는데, “나무가 무더기로[叢] 자란 것이 灌木이다.”라고 하였다.[王利器]
역주4 族亦叢聚也 : 郭璞의 주석에 의하면 “族이란 무리 짓다[叢]의 뜻이다.”라고 하였다[盧文弨]
《莊子》 〈養生主〉 郭璞의 주석에 의하면 “뒤얽혀 모인 것이 族이다.”라고 하였다.[王利器]
역주5 古叢字似最 : 본문에는 最자가 㝡(최)로 되어 있으나, 趙曦明에 의하면 이는 最의 속자이며, 본문의 내용에 古叢字의 자형 또한 밝혀져 있지 않아서 굳이 最를 속자로 들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여기서는 정자 最로 옮긴 것이다. 趙曦明에 의하면 古叢字란 대개 叢, 혹은 聚와 통용해 쓰이던 冣(취)자를 가리킨 듯하다.[역자]
역주6 周續之 : 《宋書》 〈隱逸傳〉에 의하면 “周續之는 字가 道祖로 鴈門關 廣武村 사람이다. 12세에 豫章太守 范寧을 찾아가 학업을 전수받았으며 五經과 讖緯學에 능통하였다. 高祖가 등극하자 그를 위해 동쪽 郊外에 학관을 열게 하였다.”고 하였다.[趙曦明]
역주7 劉昌宗 : 《經典釋文》에는 李軌와 徐邈의 사이에 실려 있으므로 晉人임에 틀림없을 것이며, 《周禮音》과 《儀禮音》 각 1권과 《禮記音》 5권을 편찬하였다.[盧文弨]
역주8 失爾雅訓也 : 吳承仕의 《經籍舊音辨證》 1에 의하면 “《經典釋文》에서는 ‘灌木은 叢木이니, 〈叢은〉 독음이 才公反(총)으로 항간에는 藂(총)으로도 쓰이나 어떤 판본에는 最로 되어 있는데, 最는 독음이 作外反(최)이다.’라고 하였으니, 곧 《顔氏家訓》에서 말한 것이다. 段玉裁, 陳奐, 嚴元照 등은 모두 叢의 異體字는 冣(취)가 되어야 했는데 冣를 最로 잘못 썼기 때문에 徂會反(최)이나 祖會反(최) 같은 독음이 생기게 된 것이라고 여겼다. 내가 살펴보건대 여러 학자들의 주장이 옳다.”[王利器]
《說文解字》에 의하면 “冣란 쌓이다[積]의 뜻이다.”라고 하였다.[역자]

안씨가훈(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