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1)

안씨가훈(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8. 집안 어른이 위태로운 처지에 있으면
, 非安全之道。
古者, 天子喪服以臨師,
父祖伯叔, 若在軍陣, 自居, 不宜奏樂讌會及婚冠吉慶事也。
若居圍城之中, 憔悴容色, 除去, 常爲焉。
효원제孝元강주江州, 嘗有, 世子親拜이유李猷焉。


38. 집안 어른이 위태로운 처지에 있으면
병기兵器흉기凶器이고 전쟁은 위험하며, 평안하고 온전한 길이 아니다.
옛날 천자는 상복喪服을 입고서 군사들 앞에 나섰고, 장군은 흉문凶門을 뚫어 그리로 출정했다.
만약에 아버지, 할아버지, 백부, 숙부께서 군진軍陣에 계시다면 생활을 절제해야지, 풍악風樂을 울리고 잔치를 벌이거나 혼례婚禮관례冠禮 같은 길경사吉慶事를 치러서는 안 된다.
〈집안의 어른이〉 만약 포위된 성 안에 계시다면 안색을 초췌하게 하고 장신구나 노리개 따위는 제거하며, 늘 깊은 물가에 임하고 얇은 얼음을 밟는 듯한 자세를 취해야 한다.
부모의 병이 위독하면 의원이 비록 신분이 천하고 나이가 어리다 할지라도, 눈물을 흘리고 절을 올리며 애원한다.
효원제孝元帝강주江州에 있을 때 일찍이 편찮은 적이 있었는데, 세자 방등方等이 친히 중병참군中兵參軍 이유李猷에게 절을 하였다.


역주
역주1 兵凶戰危 : 《漢書》 〈晁錯傳〉에서 “병기는 흉기이고, 전쟁은 위험한 일이다. 큰 나라를 작게 만들고 강한 나라를 약하게 만드는 것이 순식간이다.”라 하였다.[盧文弨]
역주2 將軍鑿凶門而出 : 《淮南子》 〈兵略訓〉에서 “임금이 직접 斧鉞을 가져다가 장군에게 주면, 〈장군은〉 하직을 하고 떠나면서, 손톱과 귀밑머리를 잘라 明衣(염습할 때 죽은 사람에게 맨 먼저 입히는 옷.[역자])와 함께 두고, 凶門을 뚫어 그리로 나간다.”라 하였다.[趙曦明]
許愼의 注에서 “凶門은 북쪽으로 나가는 문이다. 將軍이 출정할 때에는 喪禮에 따라 처리를 하는데, 반드시 죽을 것이기 때문이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3 貶損 : 《春秋公羊傳》 桓公 11년에서 “권한을 행사하는 데에는 길이 있으니, 스스로를 낮추고 덜어냄[貶損]으로써 행사한다.”라 하였고, 《漢書》 〈藝文志〉의 〈六藝略 春秋〉에서는 “《春秋》에서 깎아내린[貶損]大人들과 당시 君臣들은 권위가 있는 세력들이었는데, 그 사실이 모두 傳에 드러나 있다.”라 하였다.[王利器]
여기서는 생활의 수준을 낮추어, 절제하면서 산다는 뜻으로 쓰였다.[역자]
역주4 飾玩 : 장신구와 노리개이다.[역자]
玩은 앞에 나온 ‘服玩’의 玩이다. 飾玩은 裝飾하는 물품, 玩好하는 기물 등을 말한다.[王利器]
《後漢書》 〈皇后紀序論〉에서 “선별해서 들이는 물건들은 간소한 것을 좋아했고, 장식물이나 노리개[飾翫]는 화려한 것이 적었다.”라 하였고, 《南史》 〈王曇傳〉에서 “손에 황금이나 옥을 잡지 않았으니, 부녀자들도 그러한 장신구나 노리개[飾玩]를 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王利器]
역주5 臨深履薄之狀 : 《詩經》 〈小雅 小旻〉에서 “마치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하고, 마치 얇은 얼음을 밟는 듯이 한다.”라 하였고, 〈毛傳〉에서 “마치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한다는 것은 떨어질까 두려워하는 것이고, 마치 얇은 얼음을 밟는 듯이 한다는 것은 빠질까 두려워하는 것이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6 父母疾篤…以求哀也 : 《司馬溫公書儀》 4에 “《顔氏家訓》에서 ‘부모님이 병이 나면 자식은 의사에게 절을 하고 약을 구한다.’라고 하였는데, 의사란 대개 양친의 존망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어찌 소홀하게 대할 수가 있겠는가?”라 하였다.[王利器]
역주7 不豫 : 《禮記》 〈曲禮〉의 疏에 인용된 《白虎通》에서 “천자가 병이 난 것을 일컬어 不豫라고 하는데, 더 이상 정치에 참여할 수 없다는 말이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8 方等 : 《梁書》 〈世祖二子傳〉에서 “忠壯世子 方等은 字가 實相이고 世祖(즉 元帝)의 長子이며 모친은 徐妃이다.”라 하였다.[趙曦明]
역주9 中兵參軍 : 《隋書》 〈百官志〉에서 “皇弟와 皇子의 官府에는 功曹史, 錄事, 記室, 中兵 등의 參軍을 둔다.”라 하였다.[趙曦明]

안씨가훈(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