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1)

안씨가훈(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再婚으로 인한 不和
, 之後, 多以終家事。
蚊虻, 或未能免, 限以, 故稀鬭鬩之恥。
, 不預, 是以必須重娶, 至於三四, 母年有少於子者。
後母之弟, 與前婦之兄, 衣服飮食, 爰及婚宦, 至於士庶貴賤之隔, 俗以爲常。
身沒之後, , 謗辱彰道路, 子誣母爲妾, ,
, 暴露祖考之長短, 以求直己者, 往往而有。
悲夫!
自古姦臣佞妾, 以一言陷人者衆矣!
況夫婦之義, 曉夕移之, 婢僕, 助相
引, 積年累月, 安有孝子乎?
此不可不畏。


2. 再婚으로 인한 不和
강남江南에서는 서자庶子를 꺼리지 않아, 본부인이 죽은 후에 〈새로 부인을 맞아들이지 않고 딸려온〉 잉첩媵妾에게 집안일을 맡겨 끝까지 돌보게 하는 경우가 많다.
〈잉첩으로 인해 생기는〉 사소한 문제들까지 다 면할 수는 없겠지만, 〈본부인과 잉첩은 신분상〉 크게 구분되는 까닭에 〈자식들이〉 싸우는 부끄러운 일은 드물다.
하북河北에서는 의 소생을 천대하여 〈서자庶子는〉 사람 축에 끼지 못하였으므로 〈아내가 죽으면〉 반드시 재혼을 해야 했는데, 서너 번씩 하다 보면 후모後母의 나이가 자식보다 더 어린 경우도 있다.
후모後母 소생의 동생과 전처 소생의 형은, 의복과 음식으로부터 혼인과 벼슬, 사인士人서인庶人 같은 귀천의 격차에 이르기까지 세간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그러니〉 아버지가 죽고 나면 진정과 고소가 관청 문에 가득 넘쳐나고 비방과 욕설이 길거리에 난무하며, 자식이 후모後母를 첩이라고 모함하고 동생이 형을 머슴으로 내몬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말씀과 행실에 대해 여기저기서 떠들어대고, 할아버지의 잘잘못까지 까발리면서 자신의 정당함을 구하는 이들도 왕왕 있다.
슬프다!
예로부터 간사한 신하와 못된 첩실이 말 한마디로 사람들을 궁지에 빠뜨린 일이 많았도다!
하물며 부부간의 정의情誼는 아침저녁으로 바뀌는 것인데, 하인들이 잘 보이려고 거들고 부추기면서 〈이런 일이〉 오랜 세월 지속되면, 어떻게 효자가 남아나겠는가?
이런 일은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역주
역주1 江左 : 양자강 하류 南岸 지역이다. 남조문화의 중심지였던 江南을 가리키며, 江東이라 하기도 한다.[역자]
역주2 : 꺼리다. 싫어하다.[역자]
역주3 庶孽(얼) : 고대사회에서 첩이 낳은 자녀를 庶孽이라 하였다.[역자]
역주4 : 얼
역주5 喪室 : 아내를 잃다. 여기서 室은 본부인을 뜻한다.[역자]
역주6 妾媵(잉) : 媵妾, 즉 貴人에게 시집가는 여인이 데리고 가는 侍妾이다.[역자]
역주7 : 잉
역주8 疥癬(개선)蚊虻 : 옴이란 질환은 악창에 비해서 가볍고, 모기와 등에의 피해는 뱀이나 전갈보다 적다는 뜻으로, 설사 손실이 있다 하더라고 크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盧文弨]
《國語》 〈吳語〉의 “申胥가 諫言을 올려서 ‘비유하자면 越나라가 吳나라 안에 있는 것과 같고, 사람이 배와 가슴속에 병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齊와 魯는 비유하자면 옴을 앓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라 하였다.”에 대해 韋昭는 “옴은 바깥에 있어서 해가 적다.”라고 풀이하였는데, 이 글은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王利器]
여기서는 媵妾으로 말미암아 생겨날 수 있는 사소한 문제들을 비유한 말이다.[역자]
역주9 疥癬 : 개선
역주10 大分 : 큰 차이이다. 여기서는 본부인과 첩이라는 신분상의 큰 차이를 말한다.[역자]
역주11 河北鄙於側出 : 河北에서는 첩의 소생을 천하게 여겼다. 河北은 黃河 일대의 北朝 지역을 가리키고, 側出은 첩의 소생, 즉 庶子를 말한다.[역자]
역주12 人流 : 《人物志》 〈流業〉에서 “사람의 분파별 직업으로는 열두 가지가 있는데, 淸節家, 法家, 術家, …”라 하였다. ‘人流’에서의 ‘流’는 ‘士流’, ‘學流’, ‘文流’, ‘某家者流’ 등에서의 ‘流’와 뜻이 같다.[王利器]
역주13 辭訟盈公門 : 진정과 고소가 관련 기관의 문에 가득하다.[宇都宮淸吉]
역주14 身沒之後…往往而有 : 《北史》 〈崔亮傳〉에 “崔亮의 祖父가 修之이고 修之의 동생이 道固였는데, 그의 모친이 출신이 비천하다고 하여 嫡母 형인 攸之와 目蓮 등이 그를 깔보고 업신여겼다. 아버지 緝이 그를 위해 타일러보았지만 더욱 그를 업신여기자, 이에 그를 독립시켜 남쪽으로 가서 벼슬하게 하였다. 당시 宋 孝武帝는 徐州와 兗州 두 州의 刺史를 맡고 있었는데, 그를 從事로 삼았다. 道固는 잘 생긴데다가 행동거지도 훌륭하였고, 군사에 관한 일도 잘하였다. 마침 靑州刺史가 새로 임명되어 彭城을 지나게 되었는데, 孝武帝가 그에게 말하기를 ‘崔道固는 사람이 이렇게 훌륭한데, 세상 사람들이 오직 庶出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를 업신여기니 탄식할 만한 일이오.’라 하였다. 目蓮의 아들 僧深은 靑州刺史까지 지냈는데, 본처 房氏에게 아들 伯麟과 伯驥가 있었음에도 뒤에 또 平原 杜氏를 맞아들여 伯鳳, 祖龍, 祖螭, 祖芑 등 아들 넷을 더 낳았다. 僧深은 杜氏와 네 아들과 함께 靑州에서 살았고 房氏 모자는 冀州에서 살았다. 僧深이 죽어서 伯驥가 부고를 받고 달려가자 祖龍이 그와 嫡庶의 자리를 놓고 송사를 벌였는데, 둘 다 칼을 들고 스스로를 지키는 것이 마치 원수 사이 같았다.”라 하였다.[趙曦明]
《魏書》 〈楊大眼傳〉에는 “大眼의 처 潘氏는 말 타고 활쏘기를 잘했는데, 장남 甑生과 차남 領軍, 막내 征南 등 세 아들을 낳았다. 〈大眼은〉 뒤에 元氏를 후처로 들였다. 大眼이 죽고서 甑生 등이 印綬가 어디 있는지 묻자, 당시 아이를 배고 있었던 元氏는 자신의 배를 가리키며 ‘開國을 하면 당연히 내 아이가 물려받아야지, 너희 종년의 자식들은 바라지도 말아라.’라고 하였다. 甑生은 깊이 원한을 품었다.”라 하였다.
또 《魏書》 〈酷吏 李洪之傳〉에서는 “洪之가 미천할 때 아내 張氏는 洪之가 재산을 경영하는 것을 거들어, 가난할 때부터 부귀하게 될 때까지 돕고 보탠 것이 많았는데, 남녀 식솔이 수십 명이나 되었다. 뒤에 劉氏를 새로 얻더니, 洪之는 그녀만 존중하고 張氏에 대해서는 소원하고 야박하게 굴면서, 두 집이 따로 살게 하였다. 이로부터 두 아내는 질투하고 다투며 송사를 벌이고 저주를 하였으며, 두 집 母子가 왕래하는 것이 마치 원수와 같았다.”라고 하였다.
《北齊書》 〈薛琡傳〉에서는 “魏의 東平王 元匡의 첩이었던 張氏는 음란하고 방자하였는데, 琡이 그녀를 받아들여 아내로 삼고는 그녀의 거짓말에 미혹되어, 전처 于氏를 내쫓고 그 자식들도 구박하였다. 집안 식구들이 원망하며 끝내 이별을 고하게 되었으니, 세상 사람들로부터 비난과 욕을 많이 먹었다.”라고 했다.[李慈銘]
역주15 弟黜兄爲傭 : 아우가 형을 머슴으로 내몰다. 黜은 물리치다, 내몰다. 傭은 품팔이이다.[역자]
역주16 播揚先人之辭迹 : 先親의 말과 행동을 마구 퍼뜨려 알린다. 播揚은 조심성 없이 여기저기 퍼뜨린다는 뜻이다.[역자]
역주17 求容 : 잘 보이려고 하다. 영합하다.[역자]
역주18 說(세)引 : 유인하다.[王利器]
역주19 : 세

안씨가훈(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