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2)

안씨가훈(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 공부 안하면 武士인가?
, 乘騎, 正可稱武夫爾。今世士大夫, 但不讀書, 卽稱武夫兒, 乃也。


3. 공부 안하면 무사武士인가?
다섯 가지 무기를 익히고 말을 잘 타야지만 무사武士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사대부들은 단지 책만 읽지 않았으면 무사武士라고 하는데, 〈이들은〉 바로 밥통이고 술독이다.


역주
역주1 五兵 : 《周禮》 〈夏官 司兵〉에서 “五兵을 관장한다.”라 하였고, 注에서 鄭玄의 말을 인용하여 “갈고리 창[戈], 날 없는 창[殳], 끝이 구부러진 갈래창[戟], 자루 길이가 20자인 창[酋矛], 자루 길이가 24자인 창[夷矛]이다.”라고 했다. 이것은 戰車에 쓰는 五兵이고, 步兵의 五兵에는 夷矛 대신 弓矢가 들어간다.[趙曦明]
고대의 다섯 가지 무기이다.[역자]
역주2 便 : 잘하다. 익숙하다.[역자]
역주3 飯囊酒甕 : 《金樓子》 〈立言〉篇에서 “禰衡(예형)이 말하기를 ‘荀彧(순욱)은 억지로 함께 얘기해볼 수 있겠지만,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술독과 밥통[酒甕飯囊]이다.’라 했다.” 하였다.[盧文弨]
《意林》에서 《抱朴子》를 인용하여 “禰衡이 늘 말하기를 ‘孔融과 荀彧은 억지로나마 함께 얘기해볼 수 있겠지만, 나머지 사람들은 술독이고 밥통[酒瓮飯囊]이다.’라 했다.”라고 하였다.[鄭珍]
《抱朴子》 〈外篇 彈禰〉에서 “荀彧은 그래도 억지로나마 함께 얘기해볼 수 있지만, 이 이상은 모두가 나무토막이고 흙 인형이라서, 사람 같지만 사람의 기운이 없고 모두가 술독이고 밥통[酒瓮飯囊]일 뿐이다.”라고 했다. 《意林》에서 인용한 것은 아마 이 글일 것이다. 《論衡》 〈別通〉에서 “배는 밥 구덩이[飯坑]이고, 장은 술 주머니[酒囊]이다.”라고 한 것도 뜻이 같다.[王利器]
밥통과 술독으로,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한다.[역자]

안씨가훈(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