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2)

안씨가훈(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昇進도 때가 되어야
君子當守道崇德, 待時, 爵祿不登, 信由天命。
須求, 不顧羞慚, 比較材能, , 厲色揚聲, 東怨西怒。
或有宰相瑕疵, 而;或有, 求見
以此得官, 謂爲才力, 何異盜食致飽, 竊衣取溫哉!
世見得官者, , 不知時運之來, 不求亦至也;
未遇者, 便謂, 不知, 徒求無益也。
凡不求而自得, 求而不得者, 焉可勝算乎!


4. 승진昇進도 때가 되어야
군자君子는 마땅히 정도正道를 지키고 덕을 숭상하며 명망을 쌓으면서 때를 기다려야 하나니, 작위나 녹봉이 오르지 않는 것은 분명 천명天命 때문이다.
모름지기 남보다 앞서려고만 하면서 창피한 줄도 모르고 재주를 견주고 공적을 헤아리며, 성난 얼굴로 목소리 높여 여기저기서 화를 내고 원망을 쏟아낸다.
어떤 이는 재상의 약점을 쥐고 협박해서 대가를 받아내기도 하고, 어떤 이는 당시 사람들이 보고 듣지 못하게 시끄럽게 떠들어댐으로써 발령받으려 하기도 한다.
이렇게 벼슬을 얻어놓고서는 〈자기〉 재주 덕이라고 하지만, 양식을 도적질해서 배를 불리고, 옷을 훔쳐서 따스함을 얻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세상에서는 조급하게 다투어 벼슬을 얻은 사람을 보고서 그냥, “구하지 않았으면 어떻게 얻었겠나?”라고 하지만, 시운時運이 〈언제〉 올지는 모르는 것이며 구하지 않아도 〈벼슬자리는〉 온다.
조용히 물러나 있으며 때를 아직 못 만난 사람을 보고서 그냥, “하지 않으면 어찌 이루겠나?”라고 하지만, 좋은 운세運勢가 따르는지 모르면서 그저 구하기만 해서는 보탬이 되지 않는다.
무릇 구하지 않았는데도 절로 얻고, 구했는데도 얻지 못한 경우를, 어찌 이루 다 헤아릴 수 있으랴!


역주
역주1 蓄價 : 좋은 평판, 즉 名望을 쌓는다는 말이다.[역자]
역주2 趨競 : 《晉書》 〈庾峻傳〉에서 “풍속이 다들 다투어 경쟁을 하니[趨競], 예의와 사양은 쇠퇴하였다.”라 하였고, 《南史》 〈王峻傳〉에서는 “王峻은 성격이 자상하고 조촐해서, 남을 이기려는 마음[趨競心]이 없었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3 斟量功伐 : 伐 역시 功의 뜻이다. 《春秋左氏傳》 莊公 28년에서 “장차 군주의 공적[君伐]을 드러낼 것이다.”라 했다.[盧文弨]
공적을 짐작하여 헤아리다. 斟量은 斟酌과 같은 뜻이고, 功伐은 功績과 같다.[역자]
역주4 劫持 : 협박하다.[역자]
역주5 獲酬謝 : 사례를 받다. 대가를 얻다.[역자]
역주6 諠聒(훤괄)時人視聽 : 당시 사람들이 보고 듣는 것에 대해 시끄럽게 떠들어댐으로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하다.[역자]
역주7 發遣 : 오늘날 선발되어 吏部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이, 따로 먼저 발령되어 나가기를 구하는 것과 같다.[盧文弨]
역주8 躁競 : 조급하게 다툰다는 뜻이다.[역자]
역주9 便謂弗索何獲 : 《春秋左氏傳》 昭公 27년에서, 吳나라 公子 光에게 “큰 나라의 말 중에 ‘구하지 않으면 무엇을 얻겠는가?[不索何獲]’라고 한 말이 있다.”라 하였다.[趙曦明]
역주10 靜退 : 《晉書》 〈潘尼傳〉에서 “성격이 고요히 뒤로 물러나고[靜退] 〈남들과〉 다투지 않았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11 弗爲胡成 : 《書經》 〈商書 太甲 下〉에서 “생각지 않으면 무엇을 얻을 것이며, 하지 않으면 무엇을 이루겠나?[弗爲胡成]”라 하였다.[趙曦明]
弗은 不, 胡는 何와 같은 뜻이다.[역자]
역주12 風雲不與 : 《周易》 乾卦 〈文言傳〉에서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범을 따른다.[雲從龍 風從虎]”라 하였다. 《後漢書》 〈劉聖公傳〉 贊에서 “聖公이 아직 알려지지 않았을 때, 나의 운세를 빌렸다.[假我風雲]”라고 했고, 또 〈二十八將傳〉에서는 “모두 능히 운세를 느끼고 모을 수 있어[咸能感會風雲], 그 지혜와 용기를 떨쳤다.”라 했다.[趙曦明]
좋은 운세가 함께해주지 않다, 즉 운이 따르지 않는다는 말이다.[역자]

안씨가훈(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