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1)

안씨가훈(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지나친 避諱는 웃음거리
凡避諱者, 皆須得其:
무제小名아련阿練, 子孫皆呼아련爲絹, 乃, 恐乖其義。
或有諱雲者, ;有諱桐者, 呼梧桐樹爲白鐵樹, 便似戱笑耳。


4. 지나친 避諱는 웃음거리
피휘避諱는 언제나 같은 뜻을 가진 글자로 대체해야 한다.
환공桓公은 이름이 ‘’이어서 에 〈오백五白 대신〉 ‘오호五皓’라는 호칭이 있게 되었고, 회남淮南 여왕厲王은 이름이 ‘’이어서 에 〈장단長短 대신〉 ‘수단修短’이라는 항목이 있게 되었다.
포백布帛’을 ‘포호布皓’라 하고 ‘신장腎腸’을 ‘신수腎修’라 부른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
무제武帝는 어릴 적 이름이 아련阿練이어서 자손들이 ‘’자를 모두 ‘’자로 바꾸었는데, 그렇게 되면 〈쇠붙이를 뜻하는〉 ‘소련물銷鍊物’을 일컬어 〈견직물이라는 뜻의〉 ‘소견물銷絹物’이라 해야 하니, 아마 그 뜻이 어긋날 것이다.
간혹 ‘’자를 휘하는 사람이 ‘분운紛紜’을 ‘분연紛煙’이라 하고, ‘’자를 휘하는 사람이 ‘오동수梧桐樹’를 ‘백철수白鐵樹’라 하기도 하니 우스갯소리 같다.


역주
역주1 同訓以代換之 : 예를 들면, 漢代 사람들이 ‘國’자로써 ‘邦’자를, ‘滿’자로써 ‘盈’자를, ‘常’자로써 ‘恒’자를, ‘開’자로써 ‘啓’자를 대체한 것 등이 이것이다. 뒤에는 소리가 비슷한 글자로 대체하기 시작하였다.[盧文弨]
같은 뜻을 가진 글자로 대체한다는 뜻이다.[역자]
역주2 博有五皓之稱 : 春秋時代 齊 桓公은 이름이 小白이었으므로 이를 避諱하여 ‘五皓’라 하였다.[沈揆]
博은 우리나라의 윷놀이와 비슷한 중국 고대 놀이의 일종이다. 다섯 개의 木을 던져 떨어진 모양새에 따라 등급을 정하고 그걸로 판의 말을 움직여서 승부를 정했다고 한다. 이 놀이에 ‘五白’이라는 용어가 나온다.[역자]
역주3 厲王名長 琴有修短之目 : 厲王은 西漢의 淮南 厲王이다. 漢 高祖 劉邦의 아들로 이름이 長이다. 《淮南子》는 그의 아들 劉安의 저술인데, 이 책에서 ‘長’자로 쓸 부분을 모두 ‘修’자로 썼다고 한다. 역대의 주석가들은 ‘琴有修短之目’에 대해 명확한 해석을 하지 못하였는데, 王利器는 《淮南子》 〈脩務〉篇의 “사람은 타고나면서 각기 잘하는 것이 있다.[人性各有所脩]”라고 한 대목을 들어 ‘琴’자가 ‘性’자와 독음이 비슷해서 생겨난 오류가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하였지만, 명확한 근거는 없다. 또 《考工記》 〈鳧氏〉에 “鐘이 크면서 〈기장이〉 짧으면 그 소리는 빠르면서 짧게 들리고, 종이 작으면서 길면 그 소리는 느리면서 멀리 들린다.”라고 한 것과, 《爾雅》 〈釋樂〉에 “오직 종과 북의 경우만 일컬어서 길다[修]고 한다.”라고 한 것을 들어 ‘琴’도 ‘鐘’과 같은 악기의 일종이라서 ‘修’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을까 의심하였는데, 이 견해가 가장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결국 ‘修短’으로 대체된 거문고의 長短이란, 아마도 거문고 음악에서 소리의 長短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가 싶다.[역자]
역주4 謂布帛爲布皓 : 布帛을 일컬어 ‘布皓’라고 하다. 布帛은 베와 비단의 뜻으로 옷감의 총칭이다. 布帛에서 ‘帛’의 독음이 諱字인 ‘白’과 같다고 하여 ‘皓’로 바꾼 것으로, 불합리한 避諱의 사례로 든 것이다.[역자]
역주5 呼腎腸爲腎修也 : 腎腸을 일컬어 ‘腎修’라고 부르다. 콩팥을 뜻하는 腎腸은 腎臟으로도 쓴다. 腎腸에서 ‘腸’의 독음이 諱字인 ‘長’과 같다고 하여 ‘修’로 바꾼 것으로, 이 역시 불합리한 避諱의 예로 든 것이다.[역자]
역주6 謂銷鍊物爲銷絹物 : 銷鍊物은 쇠붙이를 녹여 만든 물건이다. 이것을 ‘銷絹物’로 바꾸면 ‘명주를 녹여 만든 물건’이란 뜻이 되어 사리에 어긋난다는 말이다.[역자]
역주7 呼紛紜爲紛煙 : 紛紜은 떠들썩하고 복잡하다는 뜻이다. 이것을 ‘紛煙’으로 바꾸면 ‘자욱한 연기’란 뜻이 된다.[역자]

안씨가훈(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