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1)

안씨가훈(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 썰렁한 시어머니 밥상
婦人之性, 率寵而虐
寵壻, 則兄弟之怨生焉;虐婦, 則姊妹之讒行焉。
然則女之, 母實爲之。
至有諺云:“餐。” 此其相報也。
家之常弊, 可不誡哉!


13. 썰렁한 시어머니 밥상
여자들의 본성本性이 대개 사위는 총애하지만 며느리는 구박한다.
사위를 총애하면 아들 형제들의 원망이 생겨나고, 며느리를 구박하면 딸 자매들의 중상中傷이 일어난다.
그렇다면 딸이 출가를 했건 하지 않았건 그 집안에 누가 되는 것은, 사실 모두 그 어미가 그렇게 만든 것이다.
‘썰렁한 시어머니 밥상’이라는 속담까지 나오게 되었는데, 이는 그에 대한 응보應報이다.
집집마다 늘 있는 문제이니 조심하지 않을 수 있으랴!


역주
역주1 子壻 : 사위이다. 때로는 아들과 사위의 複稱으로 쓸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사위를 뜻하는 單稱으로 쓰였다.[역자]
역주2 兒婦 : 며느리, 자식의 아내라는 뜻이다. 息婦라고도 한다.[역자]
역주3 行留 皆得罪於其家者 : 시집을 가거나 가지 않거나 모두 그 집안에 누가 되다. 여기서 行은 시집을 가는 것을, 留는 시집가지 않고 집에 머물러 있는 것을 가리킨다. 즉 시집가기 전에는 올케를 중상함으로써, 또 시집가서는 시어머니에게 구박을 받음으로써 집안에 누가 된다는 뜻이다.[역자]
역주4 落索(삭) : 당시의 용어로써 대체로 외롭고 쓸쓸하다[冷落蕭索]는 뜻이다.[盧文弨]
《爾雅》 〈釋詁 下〉의 “貉縮은 줄[綸]이다.”에 대한 郝懿行의 《義疏》에서 《顔氏家訓》에 인용된 이 속담을 인용하면서, 落索을 “끊이지 않고 계속 이어지다.[綿聯不斷]” 혹은 “여전하다.[猶然]”라는 의미로 풀이하였고 실제로 朱熹의 文集 중에도 이런 용례가 있기는 하지만, 王利器는 전체 문맥으로 보아 이 속담 중 落索의 의미는 盧文弨의 풀이가 옳다고 보았다.
또 陶憲曾의 《廣方言》에서 “원수로서 미워하는 것[讎怨]을 일컬어 落索이라고 한다.”라 하였다. 宇都宮淸吉은 “끊이지 않고 계속 이어지다.”라고 한 郝懿行의 풀이를 따랐고, 김종완도 이에 의거하여 “시어머니는 잔소리를 반찬 삼아 밥을 먹는다.”로 번역하였으나, 이 경우 뒤에 나오는 ‘此其相報也’에서 ‘報’자의 의미가 애매해진다. ‘썰렁한 시어머니 밥상’이라는 말로 보고, 구박만 하는 시어머니에 대한 며느리의 보복이라는 뜻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역자]
역주5 : 삭
역주6 阿姑 : 시어머니이다. 阿는 친인척 관계에 있는 사람의 호칭 앞에 쓰는 접두어이다.[역자]

안씨가훈(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