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1)

안씨가훈(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관대함과 엄격함의 調和


2. 관대함과 엄격함의 調和
여기에는 관대하게 다스리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하기 어렵다는 뜻이 담겨 있다.[역자]
집안에 매와 꾸지람이 없어지면 아이들의 잘못이 금방 나타나고, 〈나라에〉 형벌이 적절하게 시행되지 않으면 백성들이 손발을 둘 데가 없어진다.
집안 다스리는 일에서 관대하고 엄격함도 나라 다스리는 일에서와 같다.


역주
역주1 笞怒廢於家 則豎(수)子之過立見(현) : 《呂氏春秋》 〈蕩兵〉에서 “집안에서 야단치고 볼기치는 일이 없으면, 아이들의 잘못이 금방 드러난다.”라 하였고, 《廣韻》에서 “豎는 冠禮를 올리지 않은 어린아이이다.”라 하였다.[盧文弨]
《抱朴子》 〈用刑〉에서 “집에서 채찍질과 매질이 없어지면, 僮僕이 게을러진다.”라 하였고, 《宋景文筆記》 下에서 “아버지가 매질을 아끼면 집안에 못된 자식이 나온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2 : 수
역주3 : 현
역주4 刑罰不中 則民無所措手足 : 《論語》 〈子路〉에서 “형벌이 적절하게 시행되지 않으면 백성은 손발을 둘 데가 없어지게 된다.”라 하였고, 邢昺의 疏에서 “형벌을 잘못 적용하거나 남용하면 백성들은 몸을 웅크리고 조심조심 걸어도 걸핏하면 형벌의 그물망에 걸리므로, 그들의 손발을 놓을 곳이 없다는 것이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5 治家之寬猛 亦猶國焉 : 《春秋左氏傳》 昭公 20년에 “鄭나라 子産이 말하였다. ‘오로지 덕이 있는 자만이 관대함으로써 백성들을 복종시킬 수가 있고, 그 다음으로는 엄하게 다루는 것만 한 것이 없소. 불은 맹렬하니 백성들이 그것을 보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불에 타죽는 일이 드물지만, 물은 유약하니 백성들이 가까이하여 함부로 대하기 때문에 물에 빠져 죽는 사람이 많다. 그러므로 관대함으로 다스리기가 어려운 것이다.’”라 하였다.[趙曦明]

안씨가훈(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