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2)

안씨가훈(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7. 《後漢書》 〈楊震傳〉의 ‘鱓’과 ‘鱣’
《後漢書》云: 多假借爲之鱣。
俗之學士, 因謂之爲鱣魚。
案::“鱣魚大如五斗, 長一丈。”
郭璞注《爾雅》:“。”
安有鸛雀能勝一者, 況三乎?
鱣又純灰色, 無文章也。
鱓魚長者不過三尺, 大者不過三指, 黃地黑文。
亦說此事, 皆作“鱓”字。
孫卿云:“。”
皆曰:“鱣似蛇, 蠶似蠋。” 並作“鱣”字。


27. 《후한서後漢書》 〈양진전楊震傳〉의 ‘’과 ‘
후한서後漢書》에서 “황새[관작鸛雀]가 두렁허리[선어鱓魚] 세 마리를 물었다.”고 한 구절에는 〈자 대신〉 전유鱣鮪(철갑상어와 다랑어)의 자를 빌려 쓴 것이 많다.
세간의 학자들은 이 때문에 두렁허리[선어鱓魚]를 전어鱣魚라고 부른다.
생각건대, 《위무사시식제魏武四時食制》에서는 “철갑상어[전어鱣魚]는 크기가 닷 말들이 함만 하고 길이가 한 길이다.”라고 하였고,
곽박郭璞은 《이아爾雅》를 주석하면서 “철갑상어[]는 길이가 두세 길이다.”라고 하였으니,
어찌 황새[관작鸛雀]가 철갑상어를 한 마리인들 이겨낼 수가 있을까 싶은데, 하물며 세 마리씩이라니?
철갑상어[]는 게다가 순회색 바탕에 아무런 무늬가 없다.
두렁허리[선어鱓魚]는 긴 것도 세 자를 넘지 않고 큰 것도 손가락 세 개를 넘지 못하는 데다 황색 바탕에 검정 무늬가 있다.
그러므로 도강都講이 “뱀과 두렁허리[사선蛇鱓]는 경대부卿大夫가 입는 의복衣服의 상징입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속한서續漢書》와 《수신기搜神記》 역시 이 일을 언급하면서 모두가 ‘’자를 쓰고 있다.
〈그런데도〉 손경孫卿은 “물고기, 자라, 미꾸라지, 두렁허리[]”라고 하고,
한비자韓非子》와 《설원說苑》은 모두가 “두렁허리[]는 뱀 같고, 누에는 나비 애벌레 같다.”고 하여 한결같이 ‘’자를 쓰고 있으므로, ‘’자를 빌려 ‘’자로 쓴 일은 그 유래가 이미 오래되었다.


역주
역주1 鸛(관)雀銜三鱓(선)魚 : 《後漢書》 〈楊震傳〉의 글이다. 그러나 今本에서는 ‘鸛雀’이 ‘冠雀’으로, ‘鱓魚’가 ‘鱣魚’로 되어 있다. 관작은 황새이다. 선어는 두렁허리로, 뱀장어[鰻鱺] 같으나 보다 가늘고 길며, 뱀 같으나 비늘이 없으며, 赤黃色에 갈색 얼룩점이 있고 배는 흰색 바탕에 잿빛과 갈색의 얼룩점이 있다. 몸길이는 40㎝ 내외로, 34㎝ 이하인 개체들은 모두 암컷이고 그 이상인 것들은 모두 수컷인데 물가 진흙에 굴을 파고 살며 많이 먹으면 설사나 복통을 일으킨다.[역자]
역주2 鱣鮪(전유) : 철갑상어와 다랑어이다. 《詩經》 〈衞風 碩人〉에 “철갑상어와 다랑어 펄떡거린다.[鱣鮪發發]”고 하였다. 崔豹(晉)가 《古今注》에서 “잉어가 큰 것을 鱣이라 한다.[鯉大者爲鱣]”고 하자, 〈碩人〉의 이 구절을 “커다란 잉어와 두렁허리 펄떡거린다.[鱣鮪發發]”고 새기기도 하나, 顔之推는 〈碩人〉의 이 구절에서 鱣을 철갑상어로 푸는 것이 옳다고 여긴 것이다. 다랑어[鮪]와 함께 쓰였기 때문에 그렇게 여겼을 것이다.[역자]
역주3 魏武四時食制 : 〈曹操에게 假託된 것으로 보이는〉 《魏武四时食制》는 唐代人의 類書에는 인용된 것이 많으나 《隋書》 〈經籍志〉나 《唐書》 〈藝文志〉에는 전혀 실려 있지 않으며, 《唐書》 〈藝文志〉에 보이는 趙武의 《四時食法》 1권은 이 책이 아니다.[盧文弨]
《和名類聚鈔》 4에 인용된 《四時食制經》이 곧 이 책이다.[王利器]
역주4 匳(렴) : 함[匣]이나 상자이다.[역자]
역주5 鱣長二三丈 : 《爾雅》의 郭璞 주석에 의하면 “철갑상어[鱣]는 큰 물고기로 두렁허리 같지만 코가 짧고 입이 턱 아래에 있으며, 몸에는 비스듬히 난 딱딱한 껍질이 있다. 비늘이 없고 살빛은 누르며 큰 것은 길이가 두세 길(약 3m)인데, 지금 江東에서는 黃魚라고 부른다.”라고 하였다.[趙曦明]
역주6 都講 : 수제자. 《後漢書》 〈楊震傳〉에 의하면 “나중에 황새[冠雀(鸛雀)]가 두렁허리[鱣魚(鱓魚)] 세 마리를 물고 강당 앞으로 날아와 모이자 都講이 물고기를 들고 들어와서 ‘뱀과 두렁허리[蛇鱓]는 卿大夫가 입는 衣服의 상징입니다…….’라고 하였다.” 하였다.[趙曦明]
역주7 蛇鱓 : 뱀과 두렁허리이다. 蛇鱣으로 되어 있기도 한데, 鱣자가 예로부터 鱓자와 통용되었기 때문이다.[趙曦明]
역주8 卿大夫服之象也 : 上玄下黄의 冕服 제도를 말한 것이다. 上衣는 하늘을 상징하므로 하늘이 채 밝지 않았을 때의 빛깔로 玄色을 입으며, 下裳은 땅을 상징하므로 땅의 빛깔로 黄色을 입은 것은 天地崇拜에서 유래한 복장의 빛깔이다.[역자]
역주9 續漢書及搜神記 : 《隋書》 〈經籍志〉에 의하면 “《續漢書》 83권은 晉의 祕書監 司馬彪가 지었고, 《搜神記》 30권은 晉의 干寶가 지었다.”라고 하였다.[趙曦明]
지금의 《搜神記》에는 이 구절이 없다. 吳曾의 《能改齋漫錄》 4에서 《靖康緗素雜記》에 실린 이 글을 인용할 때, 《搜神記》가 謝承의 《後漢書》[謝承書]로 되어 있으며, 《後漢書》 〈楊震傳〉의 李賢의 주석에서도 “《續漢書》와 謝承의 《後漢書》를 살펴보면[案續漢及謝承書]”이라고 하였는데, 《太平御覽》 937에 인용된 謝承의 《後漢書》에 바로 이 구절이 있으므로, 마땅히 ‘謝承書’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王利器]
역주10 魚鱉鰌鱣 : 《荀子》 〈富國篇〉에 의하면 “거북, 악어, 물고기, 자라, 미꾸라지, 두렁허리〈의 치어〉들이 때를 맞추어 〈모체를〉 떠나 저마다 무리를 이룬다.”고 하였다.[盧文弨]
盧文弨의 인용문 중 ‘以別一而成群’은 ‘以時別一而成群’의 잘못이므로 바로잡았다.[역자]
역주11 韓非 : 《隋書》 〈經籍志〉에 의하면 “《韓非子》 20권은, 韓의 公子 非가 지었다.”라고 하였다.[趙曦明]
《韓非子》 〈說林 下〉에 의하면 “두렁허리[鱣]는 뱀 같은데, 사람들은 뱀을 보면 놀라지만 어부는 두렁허리[鱣]를 손으로 쥔다.”고 하였다.[盧文弨]
“두렁허리[鱣]는 뱀 같고, 누에는 나비 애벌레 같다.”고 하는 말은 《韓非子》 〈內儲說 上〉에 보이는데, 盧文弨가 대충 〈說林 下〉를 인용하여 증거로 삼은 것은 옳지 않다. 《淮南子》 〈說林〉편에도 보이는데, 鱣이 鱓으로 되어 있다.[王利器]
역주12 說苑 : 《隋書》 〈經籍志〉에 의하면 “《說苑》 20권은 漢나라 劉向이 지었다.”라고 하였다.[趙曦明]
《說苑》 〈談叢〉편에 의하면 “두렁허리[鱓]는 뱀과 흡사하다.”고 하였으나, 今本에는 鱣으로 되어 있지 않다.[盧文弨]
역주13 假鱣爲鱓 其來久矣 : 《太平御覽》 936 〈鱣類〉에서는 《後漢書》 〈楊震傳〉의 일을 인용하여 ‘두렁허리 세 마리[三鱣]’라고 쓰고 있으니, 아마도 顔之推가 말한 “假鱣爲鱓 其來久矣”에 해당할 것이다. 《佩觿》 上에서는 “楊震이 말한 鱓은 철갑상어[鱣]가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그 原注에 의하면 “鱓은 독음이 善이니, 옳다. 鱣이라고 쓰고 陟連反(전)으로 독음한 것은 옳지 않다.”라고 하였으니, 곧 顔之推의 이 글에 근거하였을 것이다.[王利器]

안씨가훈(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