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1)

안씨가훈(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훌륭한 사람을 가까이하라
言聖賢之難得, 疏闊如此。
儻遭不世明達君子, 安可不之乎?
吾生於亂世, 長於戎馬, , 聞見已多, 所値名賢, 未嘗不, 魂迷向慕之也。
人在少年, 神情未定, 所與, 陶染, 言笑擧動, 無心於學, 潛移暗化, 自然似之。
何況藝能, 較明易習者也?
是以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久而自芳也;與惡人居,
, 是之謂矣。君子必愼交遊焉。
但優於我, 便足貴之。


1. 훌륭한 사람을 가까이하라
옛사람이 말하기를 “천 년에 성인聖人 한 분이 나와도 마치 아침저녁 사이 같고, 오백 년에 현인賢人 한 분이 나와도 마치 어깨를 나란히 하여 연이어 나오는 것 같다.”라고 하였다.
이는 성현聖賢을 만나기가 어렵고 뜸하기가 이와 같다는 말이다.
만약 세상에서 보기 힘든 뛰어난 인물을 만나게 된다면 어찌 그를 따르며 흠모하지 않겠는가?
나는 난세에 태어나 전쟁 속에서 자랐고 정처 없이 떠돌고 피난 다니며 보고 들은 일들이 많았지만, 일찍이 만났던 훌륭한 인물들에게 심취心醉하고 마음을 빼앗겨 경모景慕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사람이 어릴 적에는 심성이 채 정해지기 전이라 가까이 지내는 이들에게 물들고 감화를 받아서, 말하고 웃고 행동하는 방식들을 〈굳이〉 배우려고 하지 않아도 점차 닮아가고 모르는 사이에 동화되어 절로 비슷해진다.
하물며 품행品行이나 예능藝能처럼 비교적 분명하고 쉽게 익힐 수 있는 것들이야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그러므로 선한 사람과 함께 지내게 되면 마치 〈향기로운〉 지초芝草난초蘭草가 있는 방에 들어간 것처럼 오래되면 절로 자신의 몸에서 향기香氣가 풍기게 되고, 악한 사람과 함께 지내면 마치 절인 생선을 파는 가게에 들어간 것처럼 오래되면 절로 악취惡臭가 풍기게 된다.
묵적墨翟(墨子)이 실을 염색하는 일을 보고 슬퍼하였다는 것은 이를 두고 한 말이니, 군자君子는 반드시 남들과의 교유에 신중해야 한다.
공자孔子께서 “자신만 못한 이를 친구 삼지 말라.”고 하셨지만, 안연顔淵이나 민자건閔子騫 같은 분을 어떻게 세상에서 얻을 수 있겠는가!
단지 나보나 낫기만 하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존중할 만하다.


역주
역주1 千載一聖…猶比髆(박)也 : 《孟子外書》 〈性善辨〉에서 “천 년에 성인 한 사람을 만나도 아침저녁 사이 같다.”라 하였다.(鮑照의 〈河淸頌序〉에 孟子의 이 글이 인용되어 있다.) 《鬻子》 第4에서는 “성인이 위에 있으면 賢士가 百里에 한 사람씩 있어도 있는 것 같지 않고, 王道가 쇠미하여 난폭한 군주가 위에 있으면 賢士가 千里에 한 사람만 있어도 마치 어깨를 나란히 한 듯하다.”라 하였다.[盧文弨]
比髆은 어깨를 나란히 하여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진다는 말이다.[역자]
역주2 : 박
역주3 攀附景仰 : 추종하여 매달리고 우러러 흠모하다.[역자]
역주4 流離 : 《詩經》 〈邶風 旄丘〉의 “초라하고 보잘것없음이, 떠도는 사람들[流離之子]이로다.”에 대한 《集傳》의 해설에서 “流離는 이리저리 흩어져 떠도는 것이다.”라고 했다.[王利器]
역주5 播越 : 《春秋左氏傳》 昭公 26년에서 “지금 나는 지위가 흔들려 피난을 와서[播越], 荊州의 오랑캐 땅에 숨어 있소.”라 하였다.[王利器]
도성을 떠나 피난하다. 播遷과 같다.[역자]
역주6 心醉 : 《莊子》 〈應帝王〉에 “鄭나라에 季咸이라는 신들린 무당이 있었는데, 列子가 그를 보고서 마음을 빼앗겼다.[心醉]”라 하였고, 또 《列子》 〈黃帝〉에도 이 鄭나라 무당의 일을 기록하면서 역시 ‘心醉’라는 표현을 썼다.[李詳]
역주7 款狎 : 사이좋게 가까이 지냄[款洽狎習]을 말한다. 《南史》 〈梁武紀〉에서 “齊나라 高帝와 어려서부터 가깝게 지냈다.[款狎]”라 하였고, 또 〈袁顗傳〉에서 “袁顗는 鄧琬과 가깝게 지냈다.[款狎]”라 하였다.[王利器]
역주8 熏漬(지)陶染 : 연기에 그을려 점차 젖어들고, 연마하여 물든다는 말이다. 梁 昭明太子의 〈講席將畢賦三十韻詩依次用〉에서 “슬기와 의리는 옥과 구슬에 견주고, 감화를 받아 물드는 것[薰染]은 마치 난초와 국화 같다.”라 했다.[王利器]
역주9 : 지
역주10 操履 : 志操와 행동거지, 즉 品行을 말한다.[역자]
역주11 如入鮑魚之肆 久而自臭也 : 《說苑》 〈雜言〉에서 “孔子께서 ‘착한 사람과 함께 지내게 되면 마치 蘭草와 芝草가 있는 방에 들어간 것과 같아 오래 지나면 그 향기를 맡을 수가 없으나 곧 그 향기와 동화되고, 악한 사람과 함께 지내면 마치 절인 생선 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 오래 지나면 그 악취를 맡을 수가 없으나 또한 악취와 동화된다.’라고 말씀하셨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12 墨翟悲於染絲 : 《墨子》 〈所染〉에서 “묵자께서 실 물들이는 것을 보고 탄식하며 ‘푸르게 물들이면 푸르게 되고 노랗게 물들이면 노랗게 되며, 들어가는 데가 바뀌면 그 빛깔도 바뀌어, 다섯 가지에 들어가면 五色이 된다. 그러므로 물들이는 데에 신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말씀하셨다.”라 하였다.[王利器]
역주13 無友不如己者 : 《論語》 〈學而〉에 나온다.[王利器]
역주14 顔閔之徒 : 《史記》 〈仲尼弟子列傳〉에서 “顔回는 魯나라 사람으로 字가 子淵이며, 孔子보다 30세 적다. 閔損은 字가 子騫이고 孔子보다 15세 적다.”라 하였고, 集解에서 “鄭玄이 ‘《孔子弟子目錄》에 魯나라 사람으로 되어 있다.’고 했다.”라 하였다.[王利器]

안씨가훈(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