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2)

안씨가훈(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7. 활쏘기
, 先王所以, 亦之急務也。
江南謂世之常射, 以爲兵射, 冠冕儒生, 多不習此。
別有, 弱弓長箭, 施於準的, 揖讓昇降, 以行禮焉。
防禦寇難, 所益, 亂離之後, 此術遂亡。
河北文士, 率曉兵射, 非直, 讌集,
雖然, , 不願汝輩爲之。


7. 활쏘기
활쏘기의 효용은 천하를 위압하는 것이니, 선왕先王들에게는 〈이를 통해〉 덕을 살펴 어진 사람을 가려 뽑는 수단이었고, 또한 자신을 지키는 요긴한 일이기도 하였다.
강남江南에서는 세간의 일반적인 활쏘기를 일컬어 군사적인 활쏘기라고 하면서, 관리나 유생들 대부분은 이것을 익히지 않는다.
내기로 하는 활쏘기가 따로 있어, 약한 활에 긴 화살을 표적에 쏘고 손을 모아 인사하고 양보를 하며 〈사대射臺를〉 오르내리면서 예를 행한다.
그러나 적의 침범을 막는 데에는 전혀 보탬이 되지 않아, 난리 이후로는 이 방법이 마침내 없어졌다.
하북河北문사文士들은 다들 군사적인 활쏘기를 잘 알아서, 갈홍葛洪이 화살 하나로 추격병을 따돌렸을 뿐만 아니라, 삼공三公구경九卿이 모인 연회에서도 늘 영예와 상을 나눈다.
비록 그러하나 가벼운 새를 쏘아 맞히고 날랜 짐승을 쏘아 꿰뚫는 일을, 너희들은 하지 말았으면 싶다.


역주
역주1 弧矢之利 以威天下 : 《周易》 〈繫辭傳 下〉에서 “나무를 구부려 활[弧]을 만들고 나무를 깎아 화살[矢]을 만드는데, 활쏘기의 이점[弧矢之利]은 천하를 제압하는 것이니 대체로 睽(규)卦에서 취하였다.”라 하였다.[趙曦明]
역주2 觀德擇賢 : 《禮記》 〈射義〉에서 “활쏘기란 무엇인가? 활쏘기로 〈활 쏘는 사람의〉 德을 살피자는 것[觀德]이다. 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활쏘기는 무엇을 가지고 쏘고 무엇을 듣는가? 소리를 따라서 발사하고, 발사하여 정곡을 잃지 않는 것은 오로지 賢者뿐이리!’라 했다.” 하였다.[趙曦明]
역주3 濟身 : 자신을 위험에서 구제하다.[역자]
역주4 博射 : 무엇을 걸고 도박으로 하는 활쏘기를 말한다.[역자]
역주5 了無 : 《梁書》 〈庾肩吾傳〉에 인용된 梁 簡文帝의 〈與湘東王書〉에서 “전혀 비슷하지 않고[了不相似], ……전혀 문학작품으로서의 아름다움이 없다.[了無篇什之美]”라고 한 데 사용된 ‘了’자의 用法이 이와 같다. 《廣雅》 〈釋詁〉에서 “了는 모두[訖]의 뜻이다.”라 했다.[王利器]
전혀 ……이 없다.[역자]
역주6 葛洪一箭 已解追兵 : 《抱朴子》 〈自敍〉에서 “옛날 군대에 있을 때 쫓아오는 기병을 활로 쏜 적이 있었는데, 시위가 울리자마자 자빠져 적 둘과 말 한 필을 죽임으로써, 마침내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라 하였다.[盧文弨]
葛洪은 본서 제9 〈文章〉편 5 주 14) 참조.[역자]
역주7 三九 : 三公과 九卿을 말한다. 본서 제8 〈勉學〉편 2 주 13) 참조.[역자]
역주8 常縻(미)榮賜 : 늘 영광과 상을 나누어 받다. 여기서 縻는 나눈다는 뜻이다.[역자]
역주9 要輕禽 截(절)狡獸 : 要는 邀와 같은 뜻이다. 枚乘의 〈七發〉에서 “날랜 짐승을 좇고, 가벼운 새를 모은다.[逐狡獸 集輕禽]”라 했다.[盧文弨]
《三國志》 〈魏書 文紀〉의 注에 인용된 魏 文帝의 〈典論自敍〉에서 “要狡獸 截輕禽”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이 문장을 사용한 것이다.[王利器]
가벼운 새를 기다려 맞히고, 날랜 짐승을 쏘아 꿰뚫다.[역자]

안씨가훈(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