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1)

통감절요(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辛未]十九年이라
秦商鞅 築冀闕注+[釋義]王氏曰 冀 記也 記列敎令 當於此門闕也 闕在門兩旁하고 中央闕然爲道云 人臣至此 則思其所闕이라 蓋爲二臺於門外하고 作樓觀於上하니 上圓下方이라 以其縣法이라하야 謂之象魏라하니 治象也 魏者 其狀巍然高大 使民觀之라하야 因謂之觀이라 兩觀雙植하고 中不爲門하니 是觀與象魏, 闕 一物而三名이라宮庭於咸陽注+[釋義]慈湖王氏曰 咸陽 漢高更名新城이러니 漢武更名渭城하니 今長安 是也 秦孝公都咸陽 今渭城 始皇都咸陽 今城南大城 是也 山南曰陽이요 水北亦曰陽이라 其城 在渭水北하고 又在九峻諸山之南이라 故名咸陽이라하야 徙都之하고 幷諸小鄕聚注+[頭註]秦制 大曰鄕 小曰聚하야 集爲一縣하고 縣置令丞注+[頭註]萬戶以上 爲令하고 减萬戶爲長하니 皆有丞尉하니 凡三十一縣이라
廢井田하고 開阡陌注+[原註]路南北曰阡이요 東西曰陌이니 開田界道하야 使不相干이라[頭註]阡陌者 正其疆界하야 使之不相侵占也 今鞅開披之하니라하다


19년(신미 B.C.350)
나라 상앙商鞅기궐冀闕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는 기록함이니, 교령敎令을 기록하여 나열하기를 이 문궐門闕에 하는 것이다. 은 문의 양쪽 곁에 있고 중앙은 비워놓아 길을 만들었다. 최표崔豹의 《고금주古今註》에 이르기를 ‘신하가 여기(궐문)에 이르면 그 빠뜨린 것을 생각한다.’ 하였다. 문밖에 두 개의 를 만들고 위에 누관을 지으니, 위는 둥글고 아래는 네모지다. 여기에 법령을 게시한다 하여 상위象魏라 하는 바, 치상治象(政敎와 법령法令을 기재한 문자)이고 는 그 모습이 우뚝이 높고 큰 것이니, 백성들로 하여금 우러러보게 한다 하여 이름을 이라 한 것이다. 두 을 쌍으로 세우고 가운데에 문을 만들지 않으니, 이 상위象魏은 한 가지 물건이면서 명칭이 세 가지인 것이다.” 궁정宮庭함양咸陽에 건축하여注+[釋義]자호왕씨慈湖王氏가 말하였다. “함양咸陽한고조漢高祖신성新城이라고 이름을 고쳤는데 한무제漢武帝위성渭城이라고 이름을 고쳤으니, 지금의 장안長安이 이곳이다. 나라 효공孝公이 도읍한 함양咸陽은 지금의 위성渭城이 이곳이고 시황제始皇帝가 도읍한 함양咸陽은 지금의 성남城南대성大城이 이곳이다. 산의 남쪽을 이라 하고 물의 북쪽을 또한 이라 한다. 그 위수渭水 북쪽에 있고 또 구준九峻 등 여러 산의 남쪽에 있으므로 함양咸陽이라 이름한 것이다.” 옮겨 도읍하고 여러 작은 취락聚落을 아울러 모아서注+[頭註]나라 제도에 큰 고을을 이라 하고, 작은 고을을 라 하였다.을 만들고 을 두니,注+[頭註]만호萬戶 이상의 고을은 을 두고 만호萬戶가 못되는 곳은 을 두었으니, 고을에는 모두 가 있었다. 모두 31개 이었다.
정전법井田法을 폐하고 천맥阡陌을 개간하였다.注+[原註]길이 남북으로 난 것을 이라 하고 동서로 난 것을 이라 하니, 전지田地의 경계에 길을 내어 서로 침범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 [頭註]阡陌은 전지田地의 경계를 바로잡아서 서로 침범하거나 점유하지 않게 한 것이다. 그런데 지금 상앙商鞅이 이것을 모두 개간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崔豹註 : 晉나라 때 崔豹의 《古今注》를 가리킨다. 崔豹는 字가 正能이고 惠帝 때 太傅를 지냈다. 이 책은 모두 3권인데 輿服‧都邑‧音樂‧鳥獸‧魚蟲‧雜注‧問答‧釋義 8篇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五代時代 馬縞가 지은 《中華古今注》 3권이 부록되어 있다.
동영상 재생
1 [신미] 19년 157

통감절요(1)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