魏顥與陳慶之로 進拔滎城하고 卽帝位於睢陽城南하다
			                         
                        		
                        		
                        		
	                     		
			                       	
			                       	
	                     		
	                     		
		                        
                        	
                        	
                        	
                        	
                        		
                        			
                        			
			                        
			                        	○ 五月
에 魏顥克梁國
注+[頭註]今汴州也라하고 引兵西
하야 拔滎陽
하니 魏主出避顥
어늘 
                        		
                        		
                        		
	                     		
			                       	
			                       	
	                     		
	                     		
		                        
                        	
                        	
                        	
                        	
                        		
                        			
                        			
			                        
                        		
                        		
                        		
	                     		
			                       	
			                       	
	                     		
	                     		
		                        
                        	
                        	
                        	
                        	
                        		
                        			
                        			
			                        
			                        	慶之以數千之衆으로 自發銍縣으로 至洛陽히 取三十二城하고 四十七戰하야 所向皆克이라
			                         
                        		
                        		
                        		
	                     		
			                       	
			                       	
	                     		
	                     		
		                        
                        	
                        	
                        	
                        	
                        		
                        			
                        			
			                        
			                        	爾朱榮
이 聞魏主北出
하고 馳傳
하야 見魏主於長子
注+[釋義]註見周威烈王二十三年하니라하고 行且部分이라 
                        		
                        		
                        		
	                     		
			                       	
			                       	
	                     		
	                     		
		                        
                        	
                        	
                        	
                        	
                        		
                        			
                        			
			                        
			                        	卽日南還
할새 榮
이 爲前驅
하야 與爾朱兆, 賀拔勝
注+[頭註]兆는 榮之從子也요 賀拔은 複姓이니 大都督이라等
으로 進擊顥
하니 顥帥麾下數百騎
하고 南走
어늘 
                        		
                        		
                        		
	                     		
			                       	
			                       	
	                     		
	                     		
		                        
                        	
                        	
                        	
                        	
                        		
                        			
                        			
			                        
                        		
                        		
                        		
	                     		
			                       	
			                       	
	                     		
	                     		
		                        
                        	
                        	
                        	
                        	
                        		
                        			
                        			
			                        
                        		
                        		
                        		
	                     		
			                       	
			                       	
	                     		
	                     		
		                        
                        	
                        	
                        	
                        	
                        		
                        			
                        			
			                        
                        		
                        		
                        		
	                     		
			                       	
			                       	
	                     		
	                     		
		                        
                        	
                        	
                        	
                        	
                        		
                        			
                        			
			                        
			                        	釋御服, 持法衣
하고 行淸淨大捨
注+[附註]釋氏語錄에 三捨는 謂內外身心을 一時俱捨하고 隨方應物하야 能所皆忘을 是謂大捨요 行道布德하야 無所希望을 是謂中捨요 修行衆善하야 有所希望을 是謂小捨라하고 素床瓦器
하며 親爲四衆
注+[附註]釋氏經云 比丘, 尼는 出家二衆也니 比丘는 僧也요 尼는 女僧也라 梵語比丘는 華言乞士니 謂士於諸佛에 乞法하야 資益色身也라 優婆塞, 優婆夷 在家二衆也니 如今之이라 中華翻爲하니 言受戒行하야 堪近住也라하야 講
槃經
注+[附註]梵語涅槃은 華言也라 佛以人死면 其精神尙存하니 佛之死는 示寂滅而已요 非眞死也라 多心經注에 梵語涅槃은 此云無爲라하고 楞伽經云 乃不生不死之地니 一切修行之所依歸也라하니라하니 群臣
이 以錢一億萬
으로 奉贖
하고 表請還宮
이어늘 三請
에 乃許
하다 
                        		
                        		
                        		
	                     		
			                       	
			                       	
	                     		
	                     		
		                        
                        	
                        	
                        	
                        	
                        		
                        			
                        			
			                        
                        		
                        		
                        		
	                     		
			                       	
			                       	
	                     		
	                     		
		                        
                        	
                        	
                        	
                        	
                        		
                        			
                        			
			                        
                        		
                        		
                        		
	                     		
			                       	
			                       	
	                     		
	                     		
		                        
                        	
                        	
                        	
                        	
                        		
                        			
                        			
			                        
			                        	梁武爲帝王하야 享天位하야 內蓄姬妾하고 外列官師하며 富貴之崇하고 子孫之衆하고 宮室城池로 守衛之密이로되 猶以爲未足하야 又命將出兵하야 爭奪于外하야 惟恐失之하니 安在其能舍乎아
			                         
                        		
                        		
                        		
	                     		
			                       	
			                       	
	                     		
	                     		
		                        
                        	
                        	
                        	
                        	
                        		
                        			
                        			
			                        
			                        	不惟君子非之
라 爲佛之道如達磨
注+[頭註]南天竺國人이니 得般若多羅하야 傳이러니 梁武詔至金陵하야 問道라 後至于嵩山少林寺하야 面壁九年에 端坐而逝라者 亦不取也
니라 
                        		
                        		
                        		
	                     		
			                       	
			                       	
	                     		
	                     		
		                        
                        	
                        	
                        	
                        	
                        		
                        			
                        			
			                        
			                        	或曰 然則達磨之言이 不亦可取歟아 曰 爲佛之道者는 淺深精粗 雖所得不同이나 要其極致하면 歸于殄滅倫理라
			                         
                        		
                        		
                        		
	                     		
			                       	
			                       	
	                     		
	                     		
		                        
                        	
                        	
                        	
                        	
                        		
                        			
                        			
			                        
			                        	以之爲己면 則逆而不祥이요 以之爲人이면 則偏而不公이요 以之爲天下國家면 蓋無所處而得其當이니 儒者棄而絶之 可也니라
			                         
                        		
                        		
                        		
	                     		
			                       	
			                       	
	                     		
	                     		
		                        
                        	
                        	
                        	
                        	
                        		
                        			
                        			
			                        
                        		
                        		
                        		
	                     		
			                       	
			                       	
	                     		
	                     		
		                        
                        	
                        	
                        	
                        	
                        		
                        			
                        			
			                        
                        		
                        		
                        		
	                     		
			                       	
			                       	
	                     		
	                     		
		                        
                        	
                        	
                        	
                        	
                        		
                        			
                        			
			                        
			                        	人生天地間에 有此生則有此身이라 生不可滅이면 則身不可捨니
			                         
                        		
                        		
                        		
	                     		
			                       	
			                       	
	                     		
	                     		
		                        
                        	
                        	
                        	
                        	
                        		
                        			
                        			
			                        
                        		
                        		
                        		
	                     		
			                       	
			                       	
	                     		
	                     		
		                        
                        	
                        	
                        	
                        	
                        		
                        			
                        			
			                        
			                        	若以屛
注+[頭註]屛은 除也요 斥也라富貴, 棄妻子
로 爲捨耶
인댄 則是爲捨物
이요 而非曰捨身也
며 若以委其身於佛氏
로 爲捨耶
인댄 則爲佛者 當取其身而用之 可也
라 
                        		
                        		
                        		
	                     		
			                       	
			                       	
	                     		
	                     		
		                        
                        	
                        	
                        	
                        	
                        		
                        			
                        			
			                        
			                        	今旣曰捨로되 而其身猶在면 則是初未嘗捨也니 身未嘗捨而强名曰捨면 則固已昧其心於不誠矣라
			                         
                        		
                        		
                        		
	                     		
			                       	
			                       	
	                     		
	                     		
		                        
                        	
                        	
                        	
                        	
                        		
                        			
                        			
			                        
			                        	他時諸臣이 又以金而贖其身하니 不知當其捨之之時에 孰從而受之며 而贖之之時에 又孰從而歸之也오
			                         
                        		
                        		
                        		
	                     		
			                       	
			                       	
	                     		
	                     		
		                        
                        	
                        	
                        	
                        	
                        		
                        			
                        			
			                        
			                        	梁主는 身非賣僮而可捨可贖이니 此不惟愚誑其民, 愚誑其身이요 抑且愚誑其所謂佛者라
			                         
                        		
                        		
                        		
	                     		
			                       	
			                       	
	                     		
	                     		
		                        
                        	
                        	
                        	
                        	
                        		
                        			
                        			
			                        
			                        	末年荷荷之時
注+[頭註]見下己巳年이라에 又復戀戀而不能捨
는 何哉
오 
                        		
                        		
                        		
	                     		
			                       	
			                       	
	                     		
	                     		
		                        
                        	
                        	
                        	
                        	
                        		
                        			
                        			
			                        
                        		
                        		
                        		
	                     		
			                       	
			                       	
	                     		
	                     		
		                        
                        	
                        	
                        	
                        	
                        		
                        			
                        			
			                        
			                        	夫魚熊掌은 二物也니 固可捨其一而取其一이어니와 若捨生取義면 則必殺身徇義而後可니 萬一其生猶在면 則亦不謂之捨矣니라
			                         
                        		
                        		
                        		
	                     		
			                       	
			                       	
	                     		
	                     		
		                        
                        	
                        	
                        	
                        	
                   			
                        	
                        	
                        	
                        	
	                       	
	                       	
	                       	
	                       	
							                       	
	                        
	                        
	                        	
	                        
	                        	
	                        
	                        	
	                        
	                        	
	                        
	                        	
	                        
	                        	
	                        
	                        	
	                        
	                        	
	                        
	                        	
	                        
	                        	
	                        
	                        	
	                        
	                        	
	                        
	                        	
	                        
	                        	
	                        
	                        	
	                        
	                        	
	                        
	                        	
	                        
	                        	
	                        
	                        	
	                        
	                        	
	                        
	                        	
	                        
	                        	
	                        
	                        	
	                        
	                        	
	                        
	                        	
	                        
	                        	
	                        
	                        	
	                        
	                        	
	                        
	                        	
	                        
	                        	
	                        
	                        	
	                        
	                        	
	                        
	                        	
	                        
	                        	
	                        
	                        	
	                        
	                        	
	                        
	                        	
	                        
	                        	
	                        
	                        	
	                        
	                        	
	                        
	                        	
	                        
	                        	
	                        
	                        	
	                        
	                        	
	                        
	                        	
	                        
	                        	
	                        
	                        	
	                        
	                        	
	                        
	                        	
	                        
	                        	
	                        
	                        	
	                        
	                        	
	                        
	                        	
	                        
	                        	
	                        
	                        	
	                        
	                        	
	                        
	                        
	                        
                        	
		                        
		                        
		                        
		                        
                        		
                        	
		                        
		                        
		                        
		                        	
		                        	
		                        
		                        
                        		
                        		
                        			
			                        
			                        	기유(529) - 양梁나라 중대통中大通 원년元年이고, 위魏나라 영안永安 2년이다. -
			                              
                        			
                        		
                        		
	                     		
			                       	
			                       	
	                     		
		                        
                        	
		                        
		                        
		                        
		                        
                        		
                        	
		                        
		                        
		                        
		                        	
		                        	
		                        
		                        
                        		
                        		
                        			
			                        
			                        	위魏나라 원호元顥가 진경지陳慶之와 함께 진격하여 형성滎城을 함락시키고 수양성睢陽城 남쪽에서 황제에 즉위하였다.
			                              
                        			
                        		
                        		
	                     		
			                       	
			                       	
	                     		
		                        
                        	
		                        
		                        
		                        
		                        
                        		
                        	
		                        
		                        
		                        
		                        	
		                        	
		                        
		                        
                        		
                        		
                        			
			                        
			                        	○ 5월에 
위魏나라 
원호元顥가 
양국梁國注+[頭註]양국梁國은 지금의 변주汴州이다. 을 점령하고는 군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가서 
형양滎陽을 함락하니, 
위주魏主가 성을 나가 
원호元顥를 피하였다. 
      
                        			
                        		
                        		
	                     		
			                       	
			                       	
	                     		
		                        
                        	
		                        
		                        
		                        
		                        
                        		
                        	
		                        
		                        
		                        
		                        	
		                        	
		                        
		                        
                        		
                        		
                        			
			                        
			                        	원호元顥가 낙양궁洛陽宮으로 들어가 건무建武로 개원하였다. 
			                              
                        			
                        		
                        		
	                     		
			                       	
			                       	
	                     		
		                        
                        	
		                        
		                        
		                        
		                        
                        		
                        	
		                        
		                        
		                        
		                        	
		                        	
		                        
		                        
                        		
                        		
                        			
			                        
			                        	진경지陳慶之가 수천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질현銍縣을 출발한 뒤로 낙양洛陽에 이르기까지 32개의 성을 취하고 47차례 싸워서 향하는 곳마다 모두 이겼다. 
			                              
                        			
                        		
                        		
	                     		
			                       	
			                       	
	                     		
		                        
                        	
		                        
		                        
		                        
		                        
                        		
                        	
		                        
		                        
		                        
		                        	
		                        	
		                        
		                        
                        		
                        		
                        			
			                        
			                        	이주영爾朱榮은 
위주魏主가 북쪽으로 나갔다는 말을 듣고 역마를 달려 
장자현長子縣注+[釋義]장자長子는 주周 위열왕威烈王 23년조年條에 주註가 보인다. 에서 
위주魏主를 뵙고 한편으로는 행군하고 한편으로는 구원 부대를 나누어 배치하였다. 
 
			                              
                        			
                        		
                        		
	                     		
			                       	
			                       	
	                     		
		                        
                        	
		                        
		                        
		                        
		                        
                        		
                        	
		                        
		                        
		                        
		                        	
		                        	
		                        
		                        
                        		
                        		
                        			
			                        
			                        	위주魏主가 당일로 남쪽으로 돌아올 적에 
이주영爾朱榮이 선두가 되어서 
이주조爾朱兆‧
하발승賀拔勝注+[頭註]爾朱兆, 하발승賀拔勝:이주조爾朱兆는 이주영爾朱榮의 종자從子이고, 하발賀拔은 복성複姓이니 하발승賀拔勝은 대도독大都督이다.  등과 함께 
원호元顥를 공격하니, 
원호元顥가 휘하의 수백 
기騎를 거느리고 남쪽으로 도망하였다. 
 
			                              
                        			
                        		
                        		
	                     		
			                       	
			                       	
	                     		
		                        
                        	
		                        
		                        
		                        
		                        
                        		
                        	
		                        
		                        
		                        
		                        	
		                        	
		                        
		                        
                        		
                        		
                        			
			                        
			                        	진경지陳慶之가 군대를 거느리고 동쪽으로 돌아오니, 진경지陳慶之가 차지했던 여러 성城이 다시 위魏나라에 항복하였다. 
			                              
                        			
                        		
                        		
	                     		
			                       	
			                       	
	                     		
		                        
                        	
		                        
		                        
		                        
		                        
                        		
                        	
		                        
		                        
		                        
		                        	
		                        	
		                        
		                        
                        		
                        		
                        			
			                        
			                        	원호元顥가 임영현臨潁縣에 이르니, 병졸 강풍江豐이 그의 목을 베어서 수급首級을 낙양洛陽에 전달하였다.
			                              
                        			
                        		
                        		
	                     		
			                       	
			                       	
	                     		
		                        
                        	
		                        
		                        
		                        
		                        
                        		
                        	
		                        
		                        
		                        
		                        	
		                        	
		                        
		                        
                        		
                        		
                        			
			                        
			                        	○ 9월에 양주梁主가 동태사同泰寺에 행차하여 사부무차대회四部無遮大會를 열었다.
			                              
                        			
                        		
                        		
	                     		
			                       	
			                       	
	                     		
		                        
                        	
		                        
		                        
		                        
		                        
                        		
                        	
		                        
		                        
		                        
		                        	
		                        	
		                        
		                        
                        		
                        		
                        			
			                        
			                        	이때 
양주梁主가 
어의御衣를 벗고 
법의法衣를 입으며, 
청정대사淸淨大捨注+[附註]석씨釋氏의 어록語錄에 “삼사三捨는 내외內外의 몸과 마음을 일시에 모두 버리고 방편에 따라 사물에 응해서 능能(인식의 주체)과 소所(인식의 대상)를 모두 잊는 것을 대사大捨라 이르고, 도道를 행하고 덕德을 펴면서 바라는 바가 없는 것을 중사中捨라 이르고, 많은 선행善行을 닦으면서 바라는 바가 있는 것을 소사小捨라 이른다.” 하였다. 를 행하고 밥을 먹을 때에 소박한 상과 질그릇을 사용하며, 친히 
사중四衆注+[附註]석씨釋氏의 경經에 이르기를 “비구比丘와 비구니比丘尼는 출가出家한 두 무리이니, 비구比丘는 승려이고 비구니比丘尼는 여승이다. 범어梵語의 비구比丘는 중국어로 걸사乞士이니, 선비가 여러 부처에게 법法을 청하여 색신色身(육신)을 유익하게 함을 이른다. 우바새優婆塞와 우바이優婆夷는 재가在家의 두 무리이니, 지금의 고행苦行과 같다. 중국어로 번역하면 근주近住라 하니, 계행戒行을 받아서 삼보三寶에 가까이 머물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을 위하여 
열반경涅槃經注+[附註]범어梵語의 열반涅槃은 중국어로 시적示寂이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그 정신은 오히려 남아 있으니, 불교의 죽음은 적멸寂滅을 보일 뿐이고 참으로 죽은 것이 아니라고 한다. 《다심경多心經》 주注에 “범어梵語의 열반涅槃은 무위無爲를 이른다.” 하였고, 《능가경楞伽經》에 “이것(涅槃)은 태어나지 않고 죽지 않는 곳이니, 일체의 수행이 의귀하는 바이다.” 하였다. 을 강하니, 여러 신하들이 
일억만전一億萬錢을 바쳐 대속하고 
표문表文을 올려 환궁할 것을 청하였는데, 세 번을 청한 뒤에야 비로소 허락하였다.
      
                        			
                        		
                        		
	                     		
			                       	
			                       	
	                     		
		                        
                        	
		                        
		                        
		                        
		                        
                        		
                        	
		                        
		                        
		                        
		                        	
		                        	
		                        
		                        
                        		
                        		
                        			
			                             
                        			
                        		
                        		
	                     		
			                       	
			                       	
	                     		
		                        
                        	
		                        
		                        
		                        
		                        
                        		
                        	
		                        
		                        
		                        
		                        	
		                        	
		                        
		                        
                        		
                        		
                        			
			                        
			                        	“호씨胡氏가 이르기를 ‘부처의 행실에는 오요五要가 있으니, 사신捨身(육신을 버림)이 그중 하나이다. 
			                              
                        			
                        		
                        		
	                     		
			                       	
			                       	
	                     		
		                        
                        	
		                        
		                        
		                        
		                        
                        		
                        	
		                        
		                        
		                        
		                        	
		                        	
		                        
		                        
                        		
                        		
                        			
			                        
			                        	양梁 무제武帝가 제왕帝王이 되어 천자天子의 지위를 누려서 안으로는 희첩姬妾을 기르고 밖으로는 백관을 나열하며, 부귀가 높고 자손들이 많고 궁실宮室과 성지城池로 호위하기를 치밀하게 하였으나 오히려 부족하게 여겨 또다시 장수에게 명하여 군대를 출동시켜 밖에서 다투고 빼앗아 행여 잃을까 두려워하였으니, 사신捨身이라는 것이 어디에 있는가.
			                              
                        			
                        		
                        		
	                     		
			                       	
			                       	
	                     		
		                        
                        	
		                        
		                        
		                        
		                        
                        		
                        	
		                        
		                        
		                        
		                        	
		                        	
		                        
		                        
                        		
                        		
                        			
			                        
			                        	이는 
군자君子들이 비난할 뿐만 아니라 
불법佛法을 행하는 
달마達磨注+[頭註]달마達磨는 남인도南印度 사람이니 반야다라존자般若多羅尊者의 제자가 되어 정법正法을 전수받았는데, 양梁나라 무제武帝가 명령을 내려 금릉金陵에 이르게 하여 도道에 대해 물었다. 뒤에 숭산嵩山의 소림사少林寺에 이르러 면벽面壁한 지 9년 만에 단정히 앉아서 죽었다.  같은 자도 또한 취하지 않을 것이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그렇다면 달마達磨의 말도 취할 만하지 않습니까?’ 하니, 대답하기를 ‘불법佛法을 행하는 자들은 깊고 얕음과 정밀하고 거친 것이 비록 얻은 바가 똑같지 않으나 그 극치를 요약해 보면 윤리를 없애는 데로 귀결된다.
			                              
                        			
                        		
                        		
	                     		
			                       	
			                       	
	                     		
		                        
                        	
		                        
		                        
		                        
		                        
                        		
                        	
		                        
		                        
		                        
		                        	
		                        	
		                        
		                        
                        		
                        		
                        			
			                        
			                        	이것을 자신에게 행하면 역逆이어서 상서롭지 못하고 이것을 남에게 베풀면 편벽되어 공평하지 못하며 이것으로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면 처하는 곳마다 마땅함을 얻지 못하니, 유자儒者는 버리고 끊는 것이 옳다.’ 하였다.”
			                              
                        			
                        		
                        		
	                     		
			                       	
			                       	
	                     		
		                        
                        	
		                        
		                        
		                        
		                        
                        		
                        	
		                        
		                        
		                        
		                        	
		                        	
		                        
		                        
                        		
                        		
                        			
			                             
                        			
                        		
                        		
	                     		
			                       	
			                       	
	                     		
		                        
                        	
		                        
		                        
		                        
		                        
                        		
                        	
		                        
		                        
		                        
		                        	
		                        	
		                        
		                        
                        		
                        		
                        			
			                             
                        			
                        		
                        		
	                     		
			                       	
			                       	
	                     		
		                        
                        	
		                        
		                        
		                        
		                        
                        		
                        	
		                        
		                        
		                        
		                        	
		                        	
		                        
		                        
                        		
                        		
                        			
			                        
			                        	사람이 천지 사이에 태어남에 이 생명生命이 있으면 이 육신이 있으니, 생명生命을 없앨 수 없다면 육신도 버릴 수 없는 것이다. 
			                              
                        			
                        		
                        		
	                     		
			                       	
			                       	
	                     		
		                        
                        	
		                        
		                        
		                        
		                        
                        		
                        	
		                        
		                        
		                        
		                        	
		                        	
		                        
		                        
                        		
                        		
                        			
			                        
			                        	양梁 무제武帝의 이른바 ‘사捨’라는 것은 무엇을 사捨라고 한 것인지 알지 못하겠다.
			                              
                        			
                        		
                        		
	                     		
			                       	
			                       	
	                     		
		                        
                        	
		                        
		                        
		                        
		                        
                        		
                        	
		                        
		                        
		                        
		                        	
		                        	
		                        
		                        
                        		
                        		
                        			
			                        
			                        	만약 
부귀富貴를 물리치고
注+[頭註]병屛은 제거하는 것이고 물리치는 것이다. 처자妻子를 버리는 것을 
사捨라고 했다면 이는 물건을 버리는 것이요 육신을 버리는 것이 아니며, 만약 자기 육신을 
불씨佛氏에게 바치는 것을 
사捨라고 했다면 부처가 그 육신을 취하여 써야 할 것이다.
      
                        			
                        		
                        		
	                     		
			                       	
			                       	
	                     		
		                        
                        	
		                        
		                        
		                        
		                        
                        		
                        	
		                        
		                        
		                        
		                        	
		                        	
		                        
		                        
                        		
                        		
                        			
			                        
			                        	이제 이미 사捨라고 말하였으나 육신이 그대로 남아 있다면 이는 애당초 육신을 버리지 않은 것이니, 육신을 일찍이 버리지 않았는데도 억지로 사捨라고 이름한다면 참으로 이미 그 마음을 진실하지 못함으로 어둡게 한 것이다.
			                              
                        			
                        		
                        		
	                     		
			                       	
			                       	
	                     		
		                        
                        	
		                        
		                        
		                        
		                        
                        		
                        	
		                        
		                        
		                        
		                        	
		                        	
		                        
		                        
                        		
                        		
                        			
			                        
			                        	후일 여러 신하들이 또 돈으로 속신贖身하였으니, 사신捨身할 때에는 이 육신을 누가 받았으며 속신贖身할 때에는 이 육신을 또 누가 돌려주는 것인지 알지 못하겠다. 
			                              
                        			
                        		
                        		
	                     		
			                       	
			                       	
	                     		
		                        
                        	
		                        
		                        
		                        
		                        
                        		
                        	
		                        
		                        
		                        
		                        	
		                        	
		                        
		                        
                        		
                        		
                        			
			                        
			                        	양梁나라 군주의 육신은 팔려간 하인처럼 사신捨身하거나 속신贖身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이는 백성들을 우롱하고 속이며 자신을 우롱하고 속였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부처를 우롱하고 속인 것이다.
			                              
                        			
                        		
                        		
	                     		
			                       	
			                       	
	                     		
		                        
                        	
		                        
		                        
		                        
		                        
                        		
                        	
		                        
		                        
		                        
		                        	
		                        	
		                        
		                        
                        		
                        		
                        			
			                        
			                        	말년에 한탄하고 죽을 때에
注+[頭註]하하荷荷는 해설이 뒤의 기사년조己巳年條(549)에 보인다.  다시 연연해하며 
사신捨身하지 못함은 어째서인가?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어물魚物을 버리고 웅장熊掌을 취하며, 생명을 버리고 의義를 취한다.’ 하였다.
			                              
                        			
                        		
                        		
	                     		
			                       	
			                       	
	                     		
		                        
                        	
		                        
		                        
		                        
		                        
                        		
                        	
		                        
		                        
		                        
		                        	
		                        	
		                        
		                        
                        		
                        		
                        			
			                        
			                        	어물과 웅장은 두 가지 물건이어서 진실로 하나를 버리고 다른 하나를 취할 수 있지만, 만약 생명을 버리고 의義를 취해야 한다면 반드시 몸을 죽이고 의義를 따른 뒤에야 가능하니, 만일 생명이 그대로 있다면 또한 이것을 사捨라고 이르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