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1)

통감절요(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丁酉注+[通鑑要解]是歲 韓信定趙魏하니 西楚, 衡山, 燕, 齊, 韓 凡七國也〈西楚三年이요 漢三年이라
是歲 小國凡五
冬十月 韓信, 張耳 以兵數萬으로 東擊趙하니 趙王及成安君陳餘聞之하고 聚兵 井注+[釋義] 山名이니 在常山이라하야 號二十萬이라하다
廣武君李左車 說成安君曰 韓信, 張耳 乘勝遠鬪하니 其鋒 不可當이라
臣聞千里餽粮이면 士有飢色하고 樵蘇注+[釋義] 取薪也 取草也後爨
이면 師不라하니
今井陘之道 車不得方軌하고 騎不得成列하야 行數百里하니 其勢糧食 必在其後
願足下假臣奇兵三萬人하야 從間路하야 絶其輜重注+[原註]行者之資糧曰輜重이라하고
足下深溝高壘하야 勿與戰하시면 不十日하야 而兩將之頭 可致於麾下注+[釋義] 大將之旗也 所以指麾 正義曰 通作戲
否則必爲二子所擒矣리이다 成安君 常自稱義兵하야 不用詐謀奇計하다
韓信 使人間視注+[釋義]謂間諜窺視而得知하야 知其不用廣武君策하고 大喜하야
乃敢引兵遂下할새 未至井陘口三十里하야 止舍注+[釋義]止舍句絶이니 猶息也하고
夜半 傳發注+[釋義]傳令軍中하야 使發이라하야 選輕騎輕騎注+[頭註]人馬不帶甲이라二千人하야 人持一하고 從間道하야 望趙軍注+[釋義]從間道望 謂令從間道向前하야 望見陳餘軍營卽(往)[住]이라하고 誡曰
趙見我走 必空壁逐我하리니 疾入趙壁하야 拔趙幟하고 立漢赤幟하라
令裨將傳餐注+[釋義] 音皮 將之(編)[偏]副 史記 餐作飱이니 音餐이라 小飯曰飱이니 謂立駐傳飱而食하고 待破趙後 方乃大食也曰 今日 破趙會食호리라 諸將 皆莫信하고 佯應曰 諾다하다
乃使萬人으로 先行出背水陣하니 趙軍 望見大笑러라
建大將旗鼔하고 鼔行出井陘口하니 趙開壁擊之
大戰良久 信與張耳 佯棄鼓旗하고 走水上軍注+[釋義] 疾趨也 綿蔓水 一名阜將이요 一名回星이니 自幷州流入井陘界 按韓信背水陣 陷之死地 卽此水한대 趙果空壁하야 爭漢旗鼓하고 逐信, 耳
信耳已入水上軍하야 軍皆殊死戰殊死戰注+[原註] 絶也 謂決意必死하야 不可敗 所出奇兵二千 遂馳入趙壁하야 皆拔趙旗하고 立漢赤幟하다
趙軍 已不能得信等하고 還歸壁하니 壁皆漢幟
見而大驚하야 兵亂遁走어늘 漢兵 夾擊하야 大破趙軍하고 斬成安君水上注+[釋義]泜水 出恒山하니 在趙州贊皇縣界 泜音邸 按地理志 音脂爲是하고 禽(擒)趙王歇하다
○ 諸將 問信曰 兵法 右倍山陵하고 前左水澤이어늘 今者 將軍 令臣等으로 反背水陣以勝 何也잇고 信曰
此在兵法注+[通鑑要解]孫子曰 前有高山하고 後有大水 進不得하고 退有碍者이어늘 顧諸君不察耳
兵法 不曰陷之死地而後生하고 置之亡地而後存乎
且信 非得素拊循士大夫也 此所謂驅市人而戰이니
予之生地 皆走하리니 寧得而用之乎아하니
諸將 皆服이러라
募生得廣武君者 予千金하리라하더니 有縛致麾下者어늘
解其縛하고東鄕(向)坐師事之하고 問曰 僕 欲北攻燕하고 東伐齊하노니 若何而有功
廣武君曰 亡國之大夫 不可以圖存이요 敗軍之將 不可以語勇이니이다
信曰 百里奚居虞而虞亡하고 之秦而秦霸하니 非愚於虞而智於秦也
用與不用 聽與不聽爾 向使成安君 聽子計런들 僕亦禽矣리라 廣武君曰
智者千慮 必有一失이요 愚者千慮 必有一得이라
故曰 狂夫之言聖人擇焉이라하니이다
將軍 虜魏王豹하고 誅成安君하야 威振天下
이나 欲擧倦敝之兵하야 頓之燕堅城之下하시니 欲戰不得이요 攻之不拔이라
今爲將軍計컨대 莫如按甲休兵하야 鎭撫趙民하고 遣辯士하야하면 燕必聽從하리니
燕已從이어든 而東臨齊하시면 雖有智者라도 亦不知爲齊計矣리이다
韓信 從其策하야使燕注+[原註]燕王 臧荼하니 從風而靡注+[通鑑要解] 順也, 偃也 東風則草靡而西하고 西風則草靡而東하니 在風所向하야 草爲之靡러라
〈出史記信本傳〉
○ 隨何至九江하니 九江王布 奉命至漢이어늘
漢王 方踞牀(床)注+[釋義]謂伸其脚而坐于床이라洗足〈史記, 漢書 竝無足字이라가 召布入見한대 布大怒悔來하야 欲自殺이러니
及出就舍 帳御飮食從官 皆如漢王居注+[釋義]御飮食者 御用飮食也 正義曰 漢王 以布先分爲王이라하야 恐其自尊大 峻禮하야 令布折服하고 已而 美其帷帳하고 厚其飮食하고 多其從官하야 以悅其心하니 權道也 布又大喜過望이러라
益九江王兵하야 與俱屯成皐하다
〈出黥布傳〉
○ 楚數侵奪漢하니 漢軍 乏食이라
漢王 與酈食其 謀撓楚權할새 食其曰 陛下能復立六國之後하사 德義已行하시면 楚必斂衽而朝하리이다 漢王曰 善하다
趣(促)刻印하야 先生 因行佩之注+[頭註]授與六國하야 使佩之也하라하다
食其未行 張良 從外來謁이어늘 漢王 方食이라가 曰 客有爲我計撓楚權者라하고 具以酈生語 告良한대
良曰
畫此計陛下事去矣리이다
請借前箸注+[釋義]求借所食之箸하야 用以指畫也 或解云 借前世湯武箸(著)明之〈事〉하야 以籌度今時之不若也하소서
爲大王籌之호리이다
其不可者八이니 天下游士 離親戚, 棄墳墓, 去故舊하야 從陛下游者 徒欲日夜望咫尺之地어늘
今復立六國之後 天下游士各歸事其主하리니 陛下誰與取天下乎잇가
誠用客謀陛下事去矣리이다
漢王 輟食吐哺注+[釋義] 謂食在口中者하고 罵曰 竪儒幾敗迺公事注+[釋義] 近也 綱目 作而하니 迺公 漢王自謂也로다하고 令趣銷印하다
〈出留侯世家〉
荀悅論曰
張耳陳餘 說陳涉以復立六國하야 自爲樹黨하고 酈生亦說漢王이로되 而得失異者
陳涉 未能專天下之地也 所謂取非其有以與人하야 行虛惠而獲實福也
立六國 於漢王 所謂割己之有以資敵하야 設虛名而受實禍也
此同事而異形者也
曰權不可預設이요 變不可先圖 與時遷移하야 應物變化 設策之機也라하니라
○ 漢王 謂陳平曰 天下紛紛하니 何時定乎 陳平曰
項王 骨鯁注+[頭註]隨事敢刺鯁하야 不從容也 一說 直言難受 如骨之咈咽也之臣 亞父, 鍾 離注+[釋義] 次也 羽尊之次於父 猶齊威(桓)公稱管仲曰仲父 鍾離 複姓이요 名也 字從日從末하니 莫葛反이라, 龍, 周殷之屬으로 不過數人耳
大王 誠能出捐數萬斤金하야 行反間注+[頭註]以計離間敵人曰反間이라하야 間其君臣하야 以疑其心이면 項王 爲人 意(疑)忌信讒하야 必內相誅하리니 因擧兵而攻之 破楚必矣리이다
漢王曰 善타하고 乃出黃金四萬斤하야 與平하야 資所爲하고 不問其出入하다
多以金縱反間於楚하야
宣言 鍾離昩等 爲項王將하야 功多矣 然終不得裂地而王일새
欲與漢爲一하야 以滅項氏하고 而分王其地라한대
項羽果不信鍾離昩等이러라
〈出陳丞相世家〉
○ 夏 楚圍漢王於滎陽注+[釋義]縣名이라 屬河南하니 古虢國也 今鄭州是이어늘 漢王 請和하야 割滎陽以西者爲漢이러니 亞父勸羽하야 急攻滎陽하니 漢王 患之러라
〈出漢書本紀〉
○ 項王 使至漢이어늘 陳平 使爲하야 擧進注+[釋義]王氏曰 凡用牲繫養曰牢 詩傳 牛曰大牢 羊曰小牢 擧進 謂擧鼎俎來也이라가
見楚使하고 卽佯驚曰 吾以爲亞父使러니 乃項王使라하고 復持去하야 以惡草具進注+[釋義] 粗也하다
楚使歸하야 具以報項王한대 果大疑亞父러라
亞父欲急攻下滎陽城호되 項王 不聽이라
亞父聞項王疑之하고 乃怒曰 天下事大定矣로니 君王 自爲之하소서
願請骸骨注+[頭註]人臣 委身以事君하야 身非我有 故於其乞退 謂之請骸骨이라하노이다하고라가 未至彭城하야 疽發背而死하니라
〈出陳丞相世家〉
○ 將軍紀信 言於漢王曰 事急矣
臣請誑楚호리니 可以間出이리이다
於是 하니 楚因擊之어늘
紀信 乃乘王車하고 曰 食盡하야 漢王 降楚라한대 楚皆呼萬歲하고 之城東觀이라
以故 漢王 得與數十騎 出西門遁去러라
〈出漢書本紀〉
○ 漢王 出滎陽하야 至成皐注+[釋義]縣名이라 屬河南하니 戰國鄭虎牢關也 括地志 故城 在洛州汜水縣西南二里하야 入關收兵하야 欲復東이러니 轅生 說漢王호되 深壁勿戰하야 令滎陽, 成皐間으로 且得休息하라한대
漢王 從其計하야 出軍, 하야 與黥布 行收兵하다
羽聞漢王在宛하고 果引兵來어늘 漢王 堅壁不與戰하다
〈出漢書本紀〉
○ 彭越 爲漢將하야 游兵擊楚어늘 羽乃使終公守成皐하고 而自東擊彭越이러니
漢王 破終公하고 復軍成皐 羽已破走彭越하고 乃引兵西하야 拔滎陽城하고 遂圍成皐하니
漢王注+[釋義] 輕身而忽出也 又史記本紀 作漢王跳하니 跳音逃 走也하야 獨與滕公共車하야하다
〈出史記項羽紀〉
○ 北渡河하야 宿小修武注+[釋義]地志 小修武在河內修武縣이라 括地志 今懷州獲嘉 古修武也傳舍하고 自稱漢使라하고 馳入趙壁하니 張耳, 韓信 未起 卽其臥內하야 奪其印符하고 以麾 召諸將易置之러니
信, 耳起하야 乃知漢王來하고大驚이러라
漢王 旣奪兩人軍하고 卽令張耳循行하야 備守趙地하고 拜韓信爲相國하야 收趙兵未發者하야 擊齊하다
〈出史記韓信傳〉
○ 諸將 稍稍得出成皐하야 從漢王하다
楚遂拔成皐하고 欲西러니 使兵距之鞏하야 令其不得西하다
〈史記羽紀〉
○ 漢王 欲捐成皐以東하야 屯鞏, 洛注+[釋義] 縣名이라 屬河南하니 周考王 封威公子惠公之少子於鞏하고 號爲東周惠公 卽此 在今河南府洛陽縣東北하니 故城在焉이라하야 以拒楚러니 酈生曰
知天之天者 王事 可成이라
王者 以民爲天하고 以食爲天하나니 夫敖倉 天下轉輸久矣 藏粟 甚多어늘
楚人 拔滎陽하야 不堅守敖倉하고 乃引而東하니 天所以資漢也
願足下 急進兵하야 收取滎陽하야 據敖倉之粟하고 塞成皐之險하고 杜太之路하고 距蜚狐之口注+[釋義] 古文飛字 地〈道〉記云 上黨郡恒山北行四百五十里하면 得恒山岌하니 號蜚狐口 今蔚州蜚狐縣 北入嬀州懷戎縣하니 卽古蜚狐口하고 守白馬之津注+[釋義]白馬津 卽黎陽津也 白馬城 衛故之曹邑也 今濬州 卽漢黎陽縣이라 州東一里五步 有黎陽津하니 亦名白馬津이라하야 以示諸侯形制注+[頭註]猶言形勝이니 得形勢之勝便이라 地形險固故 能勝人이니 以地形而制敵也之勢하시면 則天下知所歸矣리이다
王從之하야 乃復謀取敖倉하다
〈出漢書本傳〉
○ 食其又說王曰
方今燕趙已定하고 唯齊未下
諸田宗彊하야 負海, 岱하고 阻河, 濟하니 雖遣數萬師라도 未可以歲月破也
請得奉明詔說齊王하야 使爲漢而稱東藩호리이다
上曰 善타하고 乃使酈生說齊王曰
天下之事歸漢 可坐而策也
疾先下하면 齊國 可得而保어니와 不然이면 危亡 可立而待리이다
先是 齊聞韓信且東兵하고 使華無傷, 田解 將重兵하고 屯歷下하야 以距漢이러니 及納酈生之言하야 遣使하야 與漢平注+[頭註] 成也, 和也 言成其和也하고 乃罷歷下守戰備하다
〈出漢書田儋傳〉
○ 韓信 引兵東할새 未度(渡)平原하야 聞酈食其已說下齊하고 欲止러니 辯士蒯
注+[原註] 避武帝名하야 史改徹作通이라 說信曰 將軍 受詔擊齊어늘 而漢 獨發下齊하니 寧有詔止將軍乎
且酈生 一士 伏軾하야 掉三寸之舌注+[釋義]食其本傳 伏作馮하고 讀作憑하니 據也 伏亦憑也 註見周威烈王二十三年必式이라 索隱曰 舌 在口하야 長三寸이니 象斗玉衡이라하야 下齊七十餘城이어늘 將軍 以數萬衆으로 歲餘 乃下趙五十餘城하니
爲將數歲 反不如一豎儒之功乎아하니 然之러라


정유(B.C.204)注+[通鑑要解]이 해에 한신韓信를 평정하였으니, 서초西楚형산衡山을 합하여 모두 7개국이다. - 서초西楚 3년, 3년이라.
이 해에 작은 나라가 모두 5개국이었다. -
겨울 10월에 한신韓信장이張耳가 수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동쪽으로 나라를 공격하니, 조왕趙王성안군成安君 진여陳餘가 이 말을 듣고 정형井陘 어구에注+[釋義]산명山名이니, 상산常山에 있다. 군대를 집결시키고 20만 대군이라고 하였다.
광무군廣武君 이좌거李左車성안군成安君을 설득하기를 “한신韓信장이張耳가 승세를 타고 원정遠征하니, 그 예봉을 당해낼 수가 없습니다.
신이 들으니 천 리에서 군량을 수송하여 군사들을 먹이면 군사들이 굶주린 기색이 있고, 나무하고 풀을 벤 뒤에注+[釋義]는 땔나무를 채취하는 것이고, 는 풀을 채취하는 것이다. 밥을 지어 먹으면 군사들이 배가 든든하지 못하다고 하였습니다.
이제 정형井陘의 길이 좁아서 수레가 나란히 지나갈 수 없고 기병騎兵이 대열을 이룰 수 없으면서 수백 리를 가니, 형편상 양식이 반드시 그 후미에 있을 것입니다.
원컨대 족하足下께서 신에게 기병騎兵 3만 명을 빌려주시어 샛길을 따라 그 치중대輜重隊注+[原註]길 가는 자의 물자와 양식을 실은 것을 치중輜重이라고 한다. 끊게 하고,
족하足下해자垓子를 깊게 파고 보루堡壘를 높이 쌓아 저들과 더불어 싸우지 않으시면 10일이 못되어 두 장수의 머리를 휘하에 바칠 수 있을 것이요,注+[釋義]대장大將의 깃발이니, 지휘指麾하는 것이다. 《사기정의史記正義》에 “와 통용된다.” 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두 사람에게 사로잡히는 바가 될 것입니다.” 하니, 성안군成安君이 항상 스스로 의로운 군대라 칭하여 속임수와 기이한 계책을 쓰지 않았다.
한신韓信이 사람을 시켜 몰래 엿보게 하여,注+[釋義]간시間視는 간첩이 몰래 엿보고 아는 것을 이른다.광무군廣武君의 계책을 쓰지 않음을 알고는 크게 기뻐하였다.
이에 감히 병력을 인솔하고 마침내 내려갈 적에 정형井陘 어구에서 30리가 못되는 곳에 이르러 멈춰 휴식하고,注+[釋義]지사止舍에서 를 떼니, 과 같다.
한밤중에 전령을 내려注+[釋義]군중軍中에 전령을 내려 출발하게 한 것이다. 군대를 동원하여 정예 기병騎兵注+[頭註]경기輕騎는 사람과 말이 갑옷을 입지 않은 것이다. 2천 명을 뽑아 사람마다 붉은 깃발을 하나씩 잡게 하고 샛길을 따라 가서 나라 군영을 바라보고注+[釋義]종간도망從間道望은 샛길을 따라 앞으로 향하여 진여陳餘군영軍營를 바라보고 즉시 중지함을 이른다. 경계하기를
나라 군사들은 우리가 달아나는 것을 보면 반드시 성벽을 비우고 우리를 추격할 것이니, 너희들은 빨리 나라 성벽으로 들어가서 나라의 깃발을 뽑아버리고 우리 나라의 붉은 깃발을 꽂아라.” 하였다.
그리고 비장裨將들로 하여금 주먹밥을 전달하게 하고注+[釋義]는 음이 피(비)이니, 장수의 편부偏副(副將)이다. 《사기史記》에는 으로 되어 있으니, 에 음이 손이라고 하였다. 간단하게 밥을 먹는 것을 이라고 하니, 서서 주먹밥을 전달하여 먹고 나라를 격파하기를 기다린 뒤에 비로소 크게 먹음을 이른다. 말하기를 “오늘 조군趙軍을 격파하고 회식하겠다.” 하니, 여러 장수들이 다 믿지 않고 건성으로 그렇게 하겠다고 대답하였다.
마침내 1만 명으로 하여금 먼저 행군하여 나가 배수진을 치게 하니, 나라 군사들이 이것을 바라보고 크게 비웃었다.
새벽에 한신韓信대장군大將軍의 깃발과 북을 세우고 북을 치며 행군하여 정형井陘 어구를 나가니, 나라가 성벽을 열고 공격하였다.
한동안 크게 싸우다가 한신韓信장이張耳가 거짓으로 북과 깃발을 버리고 물가에 주둔해 있는 군대로 도망하니,注+[釋義]는 빨리 달리는 것이다. 〈물가는 면만수綿蔓水이니〉 면만수綿蔓水일명一名 부장阜將이고 일명一名 회성回星이니, 병주幷州로부터 정형井陘의 경계로 흘러 들어간다. 살펴보건대 한신韓信배수진背水陣을 쳐서 사지死地에 빠지게 한 것이 바로 이 물이다. 나라가 과연 성벽을 비우고서 나라의 북과 깃발을 다투어 취하고 한신韓信장이張耳를 추격하였다.
한신韓信장이張耳가 이미 물가에 있는 군대로 들어가서 군사들이 모두 결사적으로 싸워注+[原註]는 절대로이니, 수사전殊死戰은 반드시 죽기를 각오함을 이른다. 패배시킬 수가 없었으며, 한신韓信이 내보낸 기병奇兵 2천 명이 마침내 달려가서 나라 성벽으로 들어가 나라 깃발을 모두 뽑아버리고 나라의 붉은 깃발을 세웠다.
나라 군사들이 이미 한신韓信 등을 잡지 못하고 성벽으로 돌아가니, 성벽에는 모두 나라 깃발이 꽂혀 있었다.
이것을 보고 크게 놀라 군사들이 혼란하여 도망가자, 나라 군대가 협공하여 조군趙軍을 대파하고 성안군成安君지수泜水 가에서注+[釋義]지수泜水항산恒山에서 나오니, 조주趙州 찬황현贊皇縣 경계에 있다. 는 음이 저이다. 살펴보건대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음이 지라고 한 것이 옳다. 목 베고 조왕趙王 을 사로잡았다.
여러 장수들이 한신韓信에게 묻기를 “병법兵法에 오른쪽과 뒤에는 산과 구릉을 두고 앞과 왼쪽에는 수택水澤을 두라 하였는데, 지금 장군이 신들로 하여금 도리어 배수진背水陣을 치게 하여 승리함은 어찌된 것입니까?” 하니, 한신韓信이 말하였다.
“이는 병법에 나와 있는데,注+[通鑑要解]손자병법孫子兵法》에 “앞에 높은 산이 있고 뒤에 큰 물이 있으면 나아갈 수가 없고 물러갈 때에 장애가 된다.” 하였다. 다만 제군들이 살피지 못하였을 뿐이다.
병법에 ‘사지死地에 빠진 뒤에 살고 망할 땅에 놓인 뒤에 보존된다.’고 말하지 않았는가.
또 내(信)가 평소에 어루만져 복종하게 한 군사와 대부大夫(軍官)를 얻은 것이 아니니, 이는 이른바 ‘장꾼을 몰아서 싸운다.’는 것이다.
이들에게 살 땅을 주면 모두 달아날 것이니, 어떻게 쓰겠는가?”
여러 장수들이 모두 탄복하였다.
한신韓信현상懸賞하기를 광무군廣武君을 산 채로 잡는 자가 있으면 천금千金을 주겠다고 하였는데, 포박하여 휘하로 데려온 자가 있었다.
한신韓信은 그의 포박을 풀고 동향東向하여 앉혀 스승으로 섬기며 묻기를 “내가 북쪽으로 나라를 공격하고 동쪽으로 나라를 정벌하고자 하노니, 어떻게 하면 공이 있겠는가?” 하니,
광무군廣武君은 대답하기를 “망한 나라의 대부大夫는 보존함을 도모할 수 없고 패한 군대의 장수는 용맹을 말할 수 없습니다.” 하고 사양하였다.
한신韓信이 말하기를 “백리해百里奚나라에 있을 때에는 나라가 망하였고 나라에 가서는 나라가 패자霸者가 되었으니, 나라에서는 어리석고 나라에서는 지혜로웠던 것이 아니다.
써 주느냐 써 주지 않느냐와 들어주느냐 들어주지 않느냐일 뿐이니, 지난번에 만일 성안군成安君이 그대의 계책을 따랐더라면 나 또한 사로잡혔을 것이다.” 하니, 광무군廣武君이 말하였다.
“지혜로운 자가 천 번을 생각하면 반드시 한 번 실수할 때가 있고, 어리석은 자가 천 번 생각하면 반드시 한 번 맞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광부狂夫의 말도 성인聖人은 채택하는 것입니다.
장군이 위왕魏王 를 사로잡고 성안군成安君을 목 베어 위엄이 천하에 진동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치고 피폐한 병졸을 동원하여 나라의 견고한 성 아래에 주둔하고자 하시니, 싸우고자 하여도 될 수 없고 공격하여도 함락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제 장군을 위하여 계책을 세워보건대 군대를 주둔하고 병사들을 쉬게 하여 나라 백성들을 진무하고, 말 잘하는 변사辯士를 보내어 지척咫尺(짧은)의 글을 받들어 올리게 하는 것만 못하니, 이렇게 하면 나라가 반드시 들어 따를 것입니다.
나라가 이미 따르거든 그때 동쪽으로 나라에 임하시면 비록 지혜로운 자가 있더라도 또한 나라를 위한 계책을 알지 못할 것입니다.”
한신韓信이 그의 계책을 따라 사자使者를 내어 나라注+[原註]연왕燕王은 이름이 장도臧荼이다. 에 보내니, 나라가 풀이 바람 부는대로 쓰러지듯이 따랐다.注+[通鑑要解]는 따르는 것이고 눕는 것으로, 동쪽에서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져 서쪽으로 눕고, 서쪽에서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져 동쪽으로 누워, 바람이 부는대로 풀이 쓰러지는 것이다.
-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옴 -
수하隨何구강九江에 이르니, 구강왕九江王 경포黥布가 명령을 받들고 나라에 이르렀다.
한왕漢王이 막 에 걸터앉아注+[釋義]거상踞牀은 다리를 펴고 평상에 앉음을 이른다. 발을 씻다가 -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에는 모두 족자足字가 없다. - 경포黥布를 불러 들어와 보게 하니, 경포黥布가 크게 노하여 온 것을 후회해서 자살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나와서 자기 관사로 나아가자, 휘장과 사용하는 물품과 음식 및 딸린 관원이 모두 한왕漢王의 거처와 같으므로注+[釋義]어음식御飮食어용御用(왕이 사용하는 물품)과 음식이다. 《사기정의史記正義》에 이르기를 “한왕漢王경포黥布가 먼저 분봉分封을 받아 왕이 되었다 해서, 그가 스스로 높은 체하고 큰 체할까 염려하였다. 그러므로 를 엄하게 하여 경포黥布로 하여금 기세를 꺾고 굴복하게 하였으며, 이윽고 유장帷帳을 아름답게 하고 음식을 후하게 하고 딸린 관원을 많게 하여 그 마음을 기쁘게 한 것이니, 권도權道이다.” 하였다. 경포黥布는 또 기대했던 것보다 더함을 크게 기뻐하였다.
나라가 구강왕九江王에게 군사를 더 주어 함께 성고成皐에 주둔하였다.
- 《사기史記 경포전黥布傳》에 나옴 -
나라가 자주 나라의 용도甬道를 침탈하니, 나라 군대가 식량이 떨어졌다.
한왕漢王역이기酈食其와 함께 나라 권력을 흔들 것을 도모하였는데, 역이기酈食其가 말하기를 “폐하께서 다시 육국六國의 후손을 세워 가 이미 행해지면 나라가 반드시 옷깃을 여미고 조회할 것입니다.” 하니, 한왕漢王이 말하기를 “좋다.
빨리 인장을 새겨 선생이 인하여 가서 육국六國에게 주어 차게 하라.”注+[頭註]패지佩之육국六國에게 인장印章을 주어서 차게 하는 것이다. 하였다.
역이기酈食其가 길을 떠나기 전에 장량張良이 밖에서 와서 뵙자, 한왕漢王이 막 밥을 먹고 있다가 말하기를 “객 중에 나를 위하여 나라 권세를 흔들 것을 계획한 자가 있다.” 하고 역생酈生의 말을 장량張良에게 자세히 고하였다.
이에 장량張良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 계책대로 하면 폐하의 일이 틀어질 것입니다.
청컨대 앞의 젓가락을 빌려주소서.注+[釋義]청차전저請借前箸는 밥을 먹고 있는 젓가락을 빌려 이것을 사용해서 지화指畫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혹자는 해석하기를 “전대前代탕왕湯王무왕武王의 밝게 드러난 일을 빌려서 지금은 그렇지 않음을 헤아린 것이다.” 한다.
대왕을 위하여 계책(계산)해 보겠습니다.
불가不可한 것이 여덟 가지이니, 천하의 유세하는 선비들이 친척과 헤어지고 조상의 산소를 버리고 고구故舊들을 버리고서 폐하를 위하여 따라다니는 것은 한갓 밤낮으로 지척의 땅을 바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제 다시 육국六國의 후손을 세우면 천하의 유세하는 선비들이 각각 돌아가 자기 군주를 섬길 것이니, 폐하께서는 누구와 더불어 천하를 취하시겠습니까?
진실로 객의 계책을 따른다면 폐하의 일은 틀어지고 말 것입니다.”
한왕漢王이 식사를 중지하고 먹던 밥을 뱉고注+[釋義]는 밥이 입속에 있음을 이른다. 꾸짖어 말하기를 “수유竪儒(못난 선비)가 하마터면 너의 (漢王)의 일을 그르칠 뻔하였다.”注+[釋義]는 거의이니 가까움이다. 는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에 로 되어 있으니, 내공迺公한왕漢王 자신을 이른다. 하고는 빨리 인장을 녹여 없애도록 하였다.
-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에 나옴 -
순열荀悅에 말하였다.
장이張耳진여陳餘진섭陳涉을 설득하여 다시 육국六國을 세워서 스스로 을 만들게 하였고 역생酈生 또한 한왕漢王을 설득하였으나 득실得失이 다른 것은,
진섭陳涉은 천하의 땅을 아직 독점하지 못하였으니 이른바 ‘자기의 소유가 아닌 것을 취하여 남에게 주어서 헛된 은혜를 행하여 실제 을 얻는다.’는 것이요,
육국六國을 세움은 한왕漢王에게 있어서 이른바 ‘자신의 소유를 떼어 적에게 주어서 헛된 이름을 베풀어 실제 를 받는다.’는 것이다.
이는 일은 같으나 일의 모양은 다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권도權道는 미리 만들 수가 없고 은 미리 도모할 수가 없고, 때에 따라 바뀌고 변해서 사물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것이 계책을 내는 기틀이다.’라고 하는 것이다.”
한왕漢王진평陳平에게 이르기를 “천하가 분분하니 어느 때에나 안정되겠는가?” 하니, 진평陳平이 말하였다.
항왕項王의 강직한注+[頭註]골경骨鯁은 일을 따라 감히 풍자하고 바른말을 하여 조용하지 않은 것이다. 일설一說에 “직언을 받아들이기 어려움이 뼈가 목에 걸린 것과 같은 것이다.” 하였다. 신하는 아보亞父(范增)와 종리말鍾離昩注+[釋義]는 다음이니 아보亞父항우項羽가 그를 아버지에 버금가게 높인 것이니, 나라 환공桓公관중管仲을 일컬어 중부仲父라고 칭한 것과 같다. 종리鍾離복성複姓이고 은 이름이다. 글자가 일자日字를 따르고 말자末字를 따랐으니, 莫葛反(말)이다.용저龍且주은周殷 등의 몇 사람에 불과합니다.
대왕이 진실로 수만 근의 금을 내시어 반간反間注+[頭註]계책으로 적을 이간시킴을 반간反間이라 한다. 행하여 저들 군신간君臣間을 이간질해서 그 마음을 의심하게 하면 항왕項王의 사람됨이 의심하고 시기하고 참소하는 말을 믿어서 반드시 안으로 서로 죽일 것이니, 나라가 인하여 군대를 일으켜 공격하면 나라를 틀림없이 격파할 것입니다.”
한왕漢王이 “좋다.” 하고 마침내 황금 4만 근을 내어 진평陳平에게 주어서 하는 일에 이용하게 하고 그 출납을 묻지 않았다.
진평陳平이 금을 가지고 나라에 반간反間을 많이 놓아
종리말鍾離昩 등이 항왕項王의 장수가 되어 공이 많은데도 끝내 땅을 분봉分封받아 왕이 되지 못하였으므로
나라와 더불어 하나가 되어서 항씨項氏를 멸하고 그 땅을 나누어 왕 노릇 하고자 한다.’는 말을 퍼뜨리니,
항우項羽가 과연 종리말鍾離昩 등을 믿지 않았다.
- 《사기史記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에 나옴 -
여름에 나라가 한왕漢王형양滎陽에서注+[釋義]형양滎陽의 이름이다. 하남군河南郡에 속하였으니, 옛날 괵국虢國으로 지금 정주鄭州가 이곳이다. 포위하여 위급하자, 한왕漢王이 화친할 것을 청하여 〈형양滎陽 이동以東나라에게 떼어 주고〉 형양滎陽 이서以西를 떼어 나라 영토가 되게 하였는데, 아보亞父항우項羽에게 권하여 급히 형양滎陽을 공격하게 하니, 한왕漢王이 이를 걱정하였다.
- 《한서漢書 고제기高帝紀》에 나옴 -
항왕項王사자使者를 보내어 나라에 이르자, 진평陳平사자使者를 위하여 태뢰太牢를 갖추어 차려서 올리게 하다가注+[釋義]왕씨王氏가 말하였다. “무릇 희생을 묶어놓고 기르는 곳을 (우리)라고 하니, 《시전詩傳》에 소를 태뢰太牢라 하고 양을 소뢰小牢라 하였다. 거진擧進정조鼎俎(음식)를 차려 들고 올림을 이른다.
나라의 사자使者를 보고는 거짓으로 놀란 체하며 말하기를 “나는 아보亞父사자使者라고 여겼더니, 바로 항왕項王사자使者이다.” 하고는 다시 밥상을 가지고 가서 나쁜 음식 차림으로 바꾸어 올렸다.注+[釋義]는 거친 것이다.
나라 사자使者가 돌아가서 이것을 항왕項王에게 자세히 보고하니, 항왕項王이 과연 아보亞父를 크게 의심하였다.
아보亞父가 급히 형양성滎陽城을 공격하여 함락하고자 하였으나 항왕項王이 듣지 않았다.
아보亞父항왕項王이 자신을 의심한다는 말을 듣고 마침내 노하여 말하기를 “천하의 일이 크게 결정되었으니, 군왕君王께서는 스스로 하소서.
해골을 청하여注+[頭註]신하가 몸을 바쳐 군주를 섬겨서 자기 몸이 자신의 소유가 아니다. 그러므로 물러나기를 청할 때에 ‘해골을 청한다.[請骸骨]’고 이른 것이다. 돌아가고자 합니다.” 하고는 돌아가다가 팽성彭城에 도착하기 전에 등에 등창이 나서 죽었다.
- 《사기史記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에 나옴 -
장군 기신紀信한왕漢王에게 말하기를 “사태가 급박합니다.
신이 청컨대 나라를 속이겠으니, 왕께서는 이 틈을 타서 나가소서.” 하였다.
이에 진평陳平이 밤에 〈갑옷을 입은〉 여자 2천여 명을 동문東門으로 내보내니, 나라가 인하여 공격하였다.
기신紀信이 마침내 황옥黃屋을 하고 왼쪽에 독기纛旗를 매단 한왕漢王의 수레를 타고 말하기를 “양식이 다하여 한왕漢王나라에 항복한다.” 하니, 나라 군사들이 모두 만세를 부르며 성 동쪽으로 가서 구경하였다.
이 때문에 한왕漢王이 수십 명의 기병騎兵과 함께 서문西門을 나가 도망할 수 있었다.
- 《한서漢書 고제기高帝紀》에 나옴 -
한왕漢王형양滎陽을 나와 성고成皐注+[釋義]성고成皐의 이름이다. 하남군河南郡에 속하였으니 전국시대戰國時代나라의 호뢰관虎牢關이다. 《괄지지括地志》에 “옛 낙주洛州 사수현汜水縣 서남쪽 2리 지점에 있다.” 하였다. 이르러서 관문關門에 들어가 군사들을 거두어 다시 동쪽으로 가고자 하였는데, 원생轅生한왕漢王을 설득하기를 “성벽을 깊게 지키고 싸우지 말아서 형양滎陽성고成皐 사이로 하여금 우선 휴식하게 하라.”고 하였다.
한왕漢王이 그 계책을 따라 군대를 땅과 땅 사이에 출동시켜 경포黥布와 함께 지방을 순행하며 병력을 수습하였다.
항우項羽한왕漢王 땅에 있다는 말을 듣고 과연 병력을 이끌고 싸우러 왔으나 한왕漢王은 성벽을 굳게 지키고 더불어 싸우지 않았다.
- 《한서漢書 고제기高帝紀》에 나옴 -
팽월彭越나라 장수가 되어서 유병遊兵(유격병)으로 나라를 공격하니, 항우項羽가 마침내 종공終公으로 하여금 성고成皐를 지키게 하고 자신은 동쪽으로 팽월彭越을 공격하였다.
한왕漢王종공終公을 격파하고 다시 성고成皐에 주둔하였는데, 항우項羽가 이미 팽월彭越을 패주시킨 다음 군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와서 형양성滎陽城을 함락하고 마침내 성고成皐를 포위하였다.
한왕漢王이 도망하여注+[釋義]는 몸을 가볍게 하여 갑자기 나가는 것이다. 또 《사기史記》 〈고조본기高祖本紀〉에 ‘한왕도漢王跳’로 되어 있는데, 에 “는 음이 도이니, 달아남이다.” 하였다. 홀로 등공滕公(夏侯嬰)과 함께 수레를 타고 성고成皐옥문玉門을 나왔다.
-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옴 -
북쪽으로 황하黃河를 건너 소수무小修武注+[釋義]소수무小修武는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소수무小修武하내河內수무현修武縣에 있다.” 하였고, 《괄지지括地志》에 “지금 회주懷州 획가獲嘉가 옛날 수무修武이다.” 하였다. 전사傳舍(역사)에서 유숙하고는 새벽에 나라 사신이라 자칭하고 나라 성벽으로 달려 들어가니, 장이張耳한신韓信이 아직 잠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았는데, 그들이 누워 있는 방 안으로 나아가서 그 인부印符(印章과 병부兵符)를 빼앗고 깃발로 여러 장수들을 불러 바꾸어 배치하였다.
한신韓信장이張耳가 일어나 비로소 한왕漢王이 온 것을 알고 크게 놀랐다.
한왕漢王은 두 사람의 군대를 빼앗은 다음 즉시 장이張耳로 하여금 순행하여 나라 땅을 수비하게 하고, 한신韓信상국相國으로 임명하여 나라 군사 중에 아직 징발하지 않은 자를 거두어서 나라를 공격하게 하였다.
-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옴 -
여러 장수들이 차츰 성고成皐를 탈출하여 한왕漢王을 따랐다.
나라가 마침내 성고成皐를 함락하고 서쪽으로 공격해 오려 하였는데, 나라가 군사들로 하여금 땅에서 막아 서쪽으로 오지 못하게 하였다.
-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옴 -
한왕漢王성고成皐 이동以東을 떼어 주고 공현鞏縣낙읍洛邑注+[釋義]의 이름이다. 하남군河南郡에 속하였으니, 나라 고왕考王위공威公의 아들인 혜공惠公소자少子에 봉하고 동주東周 혜공惠公이라고 이름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은 지금 하남부河南府 낙양현洛陽縣 동북쪽에 있으니, 옛 이 남아 있다. 주둔하여 나라를 막고자 하니, 역생酈生이 말하였다.
“하늘의 하늘을 아는 자는 왕자王者의 일을 이룰 수 있습니다.
왕자王者는 백성을 하늘로 삼고 백성은 식량을 하늘로 삼으니, 오창敖倉은 천하에서 곡식을 수송해 저축한 지가 오래되었으므로 보관된 곡식이 매우 많습니다.
그런데 나라 사람들이 형양滎陽을 함락하였으면서 오창敖倉을 굳게 지키지 않고 마침내 병력을 이끌고 동쪽으로 갔으니, 이는 하늘이 나라에게 이용하게 한 것입니다.
원컨대 족하足下는 급히 진군進軍하여 형양滎陽을 거두어 취한 다음 오창敖倉의 곡식을 점거하고 성고成皐의 험한 요새를 막으며, 태행太行의 길을 차단하고 비호蜚狐의 어구를注+[釋義]고자古字이다. 비호구蜚狐口는 《지도기地道記》에 이르기를 “상당군上黨郡 항산恒山에서 북쪽으로 450리를 가면 항산恒山의 산마루가 나오니 비호구蜚狐口라고 부른다.” 하였다. 지금 울주蔚州 비호현蜚狐縣이 북쪽으로 규주嬀州 회융현懷戎縣으로 들어가 있으니, 바로 옛날 비호구蜚狐口이다. 막고 백마白馬의 나루를注+[釋義]백마진白馬津은 곧 여양진黎陽津이다. 백마성白馬城나라의 옛 조읍曹邑이니, 지금 준주濬州가 바로 나라의 여양현黎陽縣이다. 에서 동쪽으로 1리 5보 떨어진 곳에 여양진黎陽津이 있으니, 또한 백마진白馬津이라 이름한다. 지켜서 제후들에게 지형으로 제압할 수 있는 형세를注+[頭註]형제形制형승形勝이라는 말과 같으니, 형세의 좋음을 얻는 것이다. 지형이 험고하기 때문에 남(적)을 이길 수 있으니, 지형을 따라 적을 제압하는 것이다. 보이시면 천하가 돌아갈 바를 알 것입니다.”
왕이 그의 말을 따라 마침내 다시 오창敖倉을 도모하여 취하였다.
- 《한서漢書 역이기전酈食其傳》에 나옴 -
역이기酈食其가 또다시 한왕漢王을 설득하였다.
“방금 나라와 나라가 이미 평정되었고 유독 나라만 아직 항복하지 않았습니다.
여러 전씨田氏들은 종족이 강하여 바다와 대산岱山을 의지하고 황하黃河제수濟水로 막고 있으니, 비록 수만 명의 군대를 보내더라도 일 년이나 몇 달 이내에 격파할 수 없을 것입니다.
신이 청컨대 밝으신 임금의 조명詔命을 받들어 제왕齊王을 설득하여 나라를 위해 동쪽 번병藩屛을 칭하게 하겠습니다.”
이 “좋다.” 하고 마침내 역생酈生으로 하여금 다음과 같이 제왕齊王을 설득하게 하였다.
“천하의 일이 나라로 돌아올 것임을 앉아서도 미루어 알 수 있습니다.
왕이 빨리 먼저 항복하면 나라를 보전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위태로움과 멸망을 당장 기다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보다 먼저 나라는 한신韓信이 장차 동쪽으로 군대를 이끌고 오려 한다는 말을 듣고, 화무상華無傷전해田解로 하여금 많은 병력을 거느리고 역하歷下에 주둔하여 나라를 막게 했었는데, 역생酈生의 말을 받아들이게 되자 사자使者를 보내어 나라와 화평하고注+[頭註]은 이룸이요 화친함이니, 화친을 이룸을 말한 것이다. 마침내 역하歷下의 지키고 전투하는 대비를 파하였다.
- 《한서漢書 전담전田儋傳》에 나옴 -
한신韓信이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갈 때 평원平原 나루를 건너기 전에 역이기酈食其가 이미 나라를 설득하여 항복받았다는 말을 듣고 중지하려 하였다.
이때 변사辯士괴철蒯徹注+[原註]무제武帝의 이름을 피하여 사서史書을 고쳐 으로 썼다. 한신韓信을 설득하기를 “장군이 조명詔命을 받고 나라를 공격하는데, 나라가 단독으로 중간에 사자使者를 보내어 나라를 항복시켰으니, 어찌 조명詔命으로 장군을 중지시킨 일이 있었습니까?
역생酈生은 한낱 선비로 수레의 에 기대어 세 치 혀를 놀려서注+[釋義]역이기酈食其 본전本傳에는 으로 되어 있고 으로 읽으니 기대는 것이다. 또한 기댐이다. 나라 위열왕威烈王 23년조의 “반드시 하였다.[必式]”라고 한 데에 보인다. 《사기색은史記索隱》에 이르기를 “혀는 입속에 있어 길이가 세 치이니, 북두성北斗星옥형玉衡과 비슷하다.” 하였다. 나라의 70여 성을 항복시켰는데, 장군은 수만 명의 병력으로 1년이 넘어서야 비로소 나라의 50여 성을 함락하였으니,
장수가 된 지 여러 해에 도리어 한 수유竪儒의 공만도 못하단 말입니까?” 하니, 한신韓信이 그 말을 옳게 여겼다.


역주
역주1 : 형
역주2 : 찬
역주3 [譯註]宿飽 : 시속의 隔夜飽라는 말과 같으니, 저녁밥을 배불리 먹어 이튿날 아침까지도 배가 고프지 않음을 이른다.
역주4 [譯註]赤幟 : 漢나라의 깃발은 모두 적색이므로 赤幟라고 한 것이다.
역주5 [譯註]平朝(旦) : 원문에는 平旦으로 되어 있는데, 太祖 李成桂의 改諱가 旦이므로 旦자를 휘하여 朝자로 바꾼 것이다.
역주6 : 지
역주7 [譯註]咫尺之書 : 顔師古가 말하기를 “8寸을 咫라 하니, 咫尺은 그 簡牘의 길이가 혹 咫이거나 尺임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역주8 使 : 시
역주9 : 용
역주10 迺公 : 너의 아버지란 뜻으로 본래 아버지가 자식에 대해 자신을 칭하는 말인데, 인하여 상대방을 경멸하는 말로 썼는 바, 乃公과 같다.
역주11 迺公 : 너의 아버지란 뜻으로 본래 아버지가 자식에 대해 자신을 칭하는 말인데, 인하여 상대방을 경멸하는 말로 썼는 바, 乃公과 같다.
역주12 : 말
역주13 : 저
역주14 使 : 시
역주15 [譯註]太牢 : 소와 양과 돼지 세 가지 희생을 이른다.
역주16 : 경
역주17 [譯註]陳平 夜出女子東門二千餘人 : 《史記》에는 ‘二千餘人’ 뒤에 ‘被甲’ 두 글자가 있다. 王先愼이 말하기를 “《史記》에 被甲 두 글자가 있는 것이 옳다. 아래 글에 楚나라가 인하여 공격하였다고 하였으니, 갑옷을 입었기 때문에 병사라고 의심하여 공격한 것이다. 班氏(班固)가 삭제하였으니 그 本旨를 잃은 것이다.” 하였다.
역주18 [譯註]黃屋左纛 : 纛은 纛旗로 황제의 수레를 꾸미는 물건인 바, 검정색 들소의 꼬리로 만드는데 크기가 말[斗]만 하며, 왼쪽 곁말의 멍에 위에 매단다. 황제의 수레는 노란 비단으로 수레의 덮개를 만들고 纛旗를 왼쪽에 달므로 黃屋左纛은 제왕의 수레를 일컫는 말로 쓰인다.
역주19 : 독
역주20 : 원
역주21 : 섭
역주22 [譯註]成皐玉門 : 成皐 北門의 명칭이다.
역주23 小修武 : 修武는 大와 小 두 城이 있으니, 小修武는 大修武城의 동쪽에 있다.
역주24 小修武 : 修武는 大와 小 두 城이 있으니, 小修武는 大修武城의 동쪽에 있다.
역주25 : 항
역주26 : 괴
역주27 [譯註]間使 : 중간에 은밀히 보낸 使者를 이른다.
동영상 재생
1 [정유] 서초3년, 한3년 535
동영상 재생
2 [정유] 서초3년, 한3년 228
동영상 재생
3 [정유] 서초3년, 한3년 529
동영상 재생
4 [정유] 서초3년, 한3년 240
동영상 재생
5 [정유] 서초3년, 한3년 436
동영상 재생
6 [정유] 서초3년, 한3년 323
동영상 재생
7 [정유] 서초3년, 한3년 156
동영상 재생
8 [정유] 서초3년, 한3년 317
동영상 재생
9 [정유] 서초3년, 한3년 227
동영상 재생
10 [정유] 서초3년, 한3년 207
동영상 재생
11 [정유] 서초3년, 한3년 153
동영상 재생
12 [정유] 서초3년, 한3년 198
동영상 재생
13 [정유] 서초3년, 한3년 80
동영상 재생
14 [정유] 서초3년, 한3년 355
동영상 재생
15 [정유] 서초3년, 한3년 454
동영상 재생
16 [정유] 서초3년, 한3년 242

통감절요(1)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