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7)

통감절요(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癸未]二年이라
春正月 安祿山 入朝어늘 寵待甚厚하야 謁見無時러라
〈出本傳〉
○ 李林甫領吏部尙書하야 日在政府注+[頭註]政府 政事堂이라 하고 選事 悉委侍郞宋遙, 苗晉卿하다
御史中丞張倚 新得幸於上하니 遙, 晉卿 欲附之
選人集者以萬計러니 入等者六十四人 倚子奭 爲之首하니 群議이라
祿山 入言於上한대 悉召入等人하야 面試之하니 手持試紙하고 終日不成一字
時人 謂之이라하니라
〈出本傳〉


천보天寶 2년(계미 743)
봄 정월에 안녹산安祿山이 조정에 들어오자, 이 총애하여 매우 후대해서 무시無時로 알현하게 하였다.
- 《당서唐書안녹산전安祿山傳》에 나옴 -
이임보李林甫이부상서吏部尙書를 겸임하고는 날마다 정사당政事堂에 있고,注+[頭註]정부政府정사당政事堂이다. 선비를 선발하는 일은 시랑侍郞송요宋遙묘진경苗晉卿에게 위임하였다.
어사중승御史中丞장의張倚에게 새로 총애를 받으니, 송요宋遙묘진경苗晉卿이 그에게 붙고자 하였다.
이때 선인選人(선발에 응시한 사람)으로 모인 자가 만으로 헤아릴 정도였는데, 급제한 자 64명 중에 장의張倚의 아들 이 수석을 차지하니, 여론이 분분하였다.
안녹산安祿山이 들어와 에게 아뢰자, 이 급제한 사람들을 불러 면전에서 시험하였는데, 장석張奭이 손에 시험지를 쥐고 종일토록 한 글자도 이루지 못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그를 일러 예백曳白이라 하였다.
- 《당서唐書묘진경전苗晉卿傳》에 나옴 -


역주
역주1 沸騰 : 비등
역주2 曳白 : 시험지를 白紙로 내는 것을 이른다.

통감절요(7) 책은 2022.01.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