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1)

통감절요(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辛丑]五十五年이라
秦左庶長王齕 伐韓하야 攻上黨注+[釋義]地理志 河東上黨縣 屬幷州 正義曰 潞州 有上黨縣이라拔之하니 上黨民 走趙
趙廉頗軍於長平注+[釋義]在上黨滋氏縣이라하야 以按(遏)據注+[頭註] 抑也, 止也 依據也上黨民하니 王齕 因伐趙한대 趙軍不勝이라
廉頗堅壁不出이어늘 趙王 以頗失亡多而更怯不戰이라하야 怒數讓之하다
應侯使人反間曰 秦之所畏 獨畏馬服君之子趙括爲將爾 廉頗 易與 且降矣리라
趙王 遂以趙括 代頗將하니 藺相如曰 王以名使括하시니 若膠柱鼓瑟注+[頭註]鼓瑟者 絃有緩急하니 調之在於運轉其柱어늘 若膠其柱 則絃不可得以調之이로소이다
徒能讀其父書傳이요 不知合變注+[頭註] 以正合하고 以奇變이라니이다 不聽하다
○ 初 趙括 自少時 學兵法하야 以天下莫能當이라
嘗與其父奢 言兵事 奢不能難이나 然不謂善이라
括母問其故한대 奢曰 兵 死地也어늘 而括 易言之하니 趙若將括이면 破趙軍者 必括也리라하니라
及括將行 其母上書하야 言括不可使라한대 王曰 吾已決矣로라
母曰 이라도 請無隨坐注+[頭註]謂相隨而坐罪也하소서 許之하다
○ 秦王 聞括爲趙將하고 乃陰使武安君爲上將하고 而王齕爲裨將하야 令軍中호되 有敢武安君將者하리라
○ 趙括 至軍하야約束하고 易置軍吏하고 出兵擊秦이어늘
武安君 佯敗而走하고 張二奇兵注+[釋義] 謂無窮이니還相生하야 如環之無端이라하야 以劫之하다
趙括 乘勝하야 追造秦壁하니 堅拒不得入하고 奇兵 絶趙軍之後하니 趙軍 食絶四十六日 皆內陰相殺食이라
趙括 自出銳卒하야 搏戰이러니 秦人 射殺之한대 趙師大敗하야 卒四十萬人 皆降이라
武安君 乃挾詐而盡坑殺之注+[頭註] 塹也, 陷也 謂陷之於坑而殺之하고 遺其小者二百四十人하야 歸趙하다


55년(신축 B.C.260)
나라 좌서장左庶長 왕흘王齕나라를 정벌하여 상당上黨注+[釋義]상당上黨은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하동河東 상당현上黨縣병주幷州에 속한다.” 하였고, 《사기정의史記正義》에 “노주潞州상당현上黨縣이 있다.” 하였다. 을 공격해서 함락시키니, 상당上黨의 백성들이 나라로 도망하였다.
나라 장군 염파廉頗장평長平注+[釋義]장평長平상당上黨 자씨현滋氏縣에 있다. 에 군대를 주둔시켜注+[頭註]은 억제함이고 그침이며, 는 의거함이다. 상당上黨의 백성들을 보호하고 살게 하니, 왕흘王齕이 인하여 나라를 정벌하였는데, 나라 군대가 여러 번 싸웠으나 승리하지 못하였다.
염파廉頗가 성벽을 굳게 지키고 출전하지 않자, 조왕趙王염파廉頗가 망실한 것이 많고 또 겁을 내어 싸우지 않는다고 해서 노하여 여러 번 꾸짖었다.
응후應侯(范睢)가 사람을 시켜 반간反間하기를 “나라가 두려워하는 것은 오직 마복군馬服君(趙奢)의 아들 조괄趙括이 장수가 되는 것일 뿐이니, 염파廉頗는 상대하기 쉽고 장차 항복할 것이다.” 하였다.
조왕趙王이 마침내 조괄趙括염파廉頗를 대신하여 장수를 삼으니, 인상여藺相如가 간하기를 “께서 명성만 가지고 조괄趙括을 부리시니, 안족雁足을 아교풀로 붙여놓고 비파를 타는 것과 같습니다.注+[頭註]비파를 연주하는 자는 줄에 느림(풀어놓음)과 빠름(조임)이 있으니, 이것을 고름은 안족雁足을 움직임에 달려 있는데, 만약 안족雁足에 풀을 칠하여 고정시키면 줄을 고를 수가 없다.
조괄趙括은 다만 그 아비가 글로 전한 것을 읽었을 뿐이고 변화에 대응할 줄은 알지 못합니다.”注+[頭註]군대는 (정면 공격)으로써 합전合戰하고 (기습 공격)로써 변화하여 예측할 수 없게 한다. 하였으나 왕은 듣지 않았다.
처음에 조괄趙括이 어렸을 때부터 병법을 배워 천하가 자신을 당할 수 없다고 여겼다.
일찍이 그 아비 조사趙奢와 군대의 일을 말할 적에 조사趙奢가 논란하지 못하였으나 잘한다고는 말하지 않았다.
조괄趙括의 어미가 그 이유를 묻자, 조사趙奢가 말하기를 “전쟁은 죽는 곳인데 조괄趙括이 쉽게 말하니, 나라에서 만약 조괄趙括을 장수로 삼는다면 나라 군대를 패망시킬 자는 반드시 조괄趙括일 것이다.” 하였다.
조괄趙括이 장차 길을 떠나게 되자, 그 어미가 글을 올려 조괄趙括을 시켜서는 안됨을 말하니, 이 말하기를 “내 이미 결정하였다.” 하였다.
어미가 말하기를 “만일 조괄趙括이 임무를 제대로 거행하지 못함이 있더라도 첩은 따라서 연좌시키지 마소서.”注+[頭註]수좌隨坐는 서로 따라서 죄에 연좌됨을 이른다. 하니, 은 이를 허락하였다.
진왕秦王조괄趙括나라 장수가 되었다는 말을 듣고는 마침내 은밀히 무안군武安君(白起)을 상장군上將軍으로 삼고 왕흘王齕비장裨將(副將)으로 삼고서 군중에 명령하기를 “무안군武安君이 장수가 된 것을 감히 누설하는 자가 있으면 참형斬刑에 처하겠다.” 하였다.
조괄趙括이 군중에 이르러 약속(規約)을 모두 변경하고 군리軍吏를 바꾸어 두고는 군대를 내어 나라를 공격하였다.
무안군武安君이 거짓으로 패하여 달아나면서 두 기병奇兵(기습부대)을注+[釋義]는 무궁함을 이르니, 이 번갈아 상생相生하여 고리가 끝이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풀어 위협하였다.
조괄趙括이 승세를 타고 추격하여 나라 성벽에 이르렀는데, 나라에서 굳게 항거하여 들어가지 못하고 기병奇兵나라 군대의 후미를 끊으니, 나라 군대가 양식이 떨어진 지 46일 만에 모두 안으로 몰래 서로 잡아먹었다.
조괄趙括이 스스로 정예병精銳兵을 내어 육박전을 하였는데, 나라 사람이 그를 쏘아 죽이니, 나라 군대가 대패하여 병졸 40만 명이 모두 항복하였다.
무안군武安君이 마침내 속임수를 써서 모두 구덩이에 빠뜨려 죽이고,注+[頭註]은 구덩이요 빠뜨림이니, 구덩이에 빠뜨려서 죽임을 이른다. 나이 어린 자 240명을 남겨서 나라로 돌려보냈다.


역주
역주1 : 삭
역주2 [譯註]卽有不稱 : 卽은 若과 같은 뜻으로 假設하는 말이며 稱은 제대로 임무를 수행함을 이른다.
역주3 : 설
역주4 : 경
역주5 奇正 : 奇는 奇兵으로 변화무쌍하게 출몰하여 기습공격하는 군대를 이르는 반면, 정면으로 공격하는 군대를 正兵이라 한다.
동영상 재생
1 [신축] 55년 485
동영상 재생
2 [신축] 55년 264
동영상 재생
3 [신축] 55년 80
동영상 재생
4 [신축] 55년 347

통감절요(1)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