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3)

통감절요(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辛丑]十七年이라
郭后注+[頭註]大鴻臚郭況之妹也寵衰하야 數懷어늘 怒之하야 廢皇后郭氏하고 立貴人陰氏注+[頭註]光武適新野하여 聞其美而悅之하야 爲皇后하다
〈出郭后紀〉
○ 帝幸章陵注+[通鑑要解]六年 以舂陵鄕爲章陵縣이라하야 修園廟하고 祠舊宅하고 觀田廬하고 置酒作樂賞賜하니 宗室因酣悅하야 相與語曰
少時謹信하야 與人不款曲注+[釋義]周旋貌하고 唯直柔耳러니 今乃能如此로다
帝聞之하고 大笑曰 吾治天下 亦欲以柔道行之로라
〈出本紀〉
[史略 史評]胡氏曰
君道 則天而不可過於剛이라
不耀威武하고 不峻刑誅하야 謙抑以受言하고 溫恭以接下하니 所以濟其剛也 臣道 則地而不可過於柔
不爲利回하고 不爲祿徙하야 君不義則必爭하고 道不合則必去하니 所以濟其柔也
此所謂하야 이니 君臣之理 正光武之謂也로다
○ 交趾女子注+[附註]交趾 이라 雒將女子徵側 朱鳶人詩索妻 甚雄勇이라 交趾太守以法繩之한대 徵側하야 與妹徵貳叛하야 凡掠六十五城하고 自立爲王하니라 音縻 音零이라 雒將 姓名也 女弟曰妹이어늘 拜馬援爲伏波將軍하야 以擊交趾하야 大破之하다


건무建武 17년(신축 41)
곽후郭后注+[頭註]곽후郭后대홍려大鴻臚 곽황郭況의 누이이다.의 은총이 쇠하여 자주 원망하는 마음을 품자, 이 노하여 황후皇后 곽씨郭氏를 폐하고 귀인貴人 음씨陰氏注+[頭註]광무제光武帝신야新野에 가서 그녀가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서 기뻐하였다. 를 세워 황후皇后로 삼았다.
- 《후한서後漢書 광무제기光武帝紀》에 나옴 -
○ 황제가 장릉章陵注+[通鑑要解]건무建武 6년에 용릉향舂陵鄕장릉현章陵縣이라 하였다. 에 행차하여 원묘園廟를 수리하고 옛집에 제사하였으며, 옛날 토지와 집을 구경하고 술자리를 베풀어 풍악을 울리고 을 내리니, 이때 종실宗室제모諸母들이 술에 취하여 기뻐하며 서로 말하기를
문숙文叔이 젊었을 때엔 근신하고 신실하여 남과 어울리지注+[釋義]관곡款曲은 주선하는(남과 잘 어울리는) 모양이다. 않고 오직 다만 유순할 뿐이었는데, 지금 마침내 이와 같다.” 하였다.
황제가 이 말을 듣고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내가 천하를 다스림에 또한 부드러운 로 행하고자 한다.” 하였다.
- 《후한서後漢書 광무제기光武帝紀》에 나옴 -
[史略 사평史評]胡氏가 말하였다.
“군주의 는 하늘을 본받으나 지나치게 강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위엄과 무력을 밝히지 않고 형벌을 준엄하게 하지 않아서, 겸손하고 억제하여 남의 말을 받아들이고 온화하고 공손하여 아랫사람을 접하는 것이니 이는 그 강함을 구제하는 것이요, 신하의 는 땅을 본받으나 지나치게 유순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이익에 굽히지 않고 녹봉에 옮겨 가지 않아서 군주가 의롭지 않으면 반드시 간쟁하고 가 합하지 않으면 반드시 떠나가는 것이니 이는 그 유순함을 구제하는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천도天道가 아래로 사귀고 지도地道가 위로 행해서 상하上下가 사귀어 그 뜻이 통한다.’는 것이니, 군신君臣의 이치는 바로 광무제光武帝를 말함일 것이다.”
교지交趾의 여자注+[附註]교지交趾미령현麊泠縣이다. 낙장雒將의 딸인 징측徵側주연朱鳶 사람 시색詩索의 아내였는데, 매우 몸집이 크고 용감하였다. 교지태수交趾太守가 법으로 다스리자, 징측徵側이 노하여 여동생인 징이徵貳와 배반해서 모두 65개의 을 노략질하고 스스로 서서 이 되었다. 에 “이 미이고 이 령이다. 낙장雒將은 사람의 성명이다. 여동생을 라 한다.” 하였다. 가 배반하였으므로 마원馬援복파장군伏波將軍으로 임명해서 교지交趾를 공격하여 대파하였다.


역주
역주1 : 대
역주2 諸母 : 아버지의 자매들을 이른다.
역주3 文叔 : 光武帝 劉秀의 字이다.
역주4 天道下濟 地道上行 : 《周易》 謙卦 〈彖傳〉에 “天道는 아래로 交際하여 光明하고, 地道는 낮아 위로 행한다.[天道下濟而光明 地道卑而上行]”라고 보이는 바, 程伊川의 《易傳》에 “濟는 마땅히 際가 되어야 한다.” 하였다.
역주5 上下交而其志通 : 《周易》 泰卦 〈彖傳〉에 “天地가 사귀어 만물이 通泰하고, 上下가 사귀어 그 뜻이 같아진다.[天地交而萬物通也 上下交而其志同也]” 라고 보인다.
역주6 麊泠 : 미령

통감절요(3)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