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9)

통감절요(9)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9)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丙申]〈唐淸泰三年十一月以後 晉高祖石敬瑭天福元年이라
○ 閔主昶通文元年이라
○ 是歲 唐亡晉興하니 凡五國, 三鎭이라
春正月 唐主以千春節置酒러니 晉國長公主上壽畢 辭歸晉陽이어늘 唐主醉하야 曰 何不且留하고 遽歸
欲與石郞反邪
石敬瑭 聞之하고 益懼러라
○ 初 唐主欲使敬瑭移鎭鄆州한대 李崧, 呂琦注+[頭註]李崧 翰林學士 呂琦 知制誥 皆力諫하야 以爲不可어늘
薛文遇注+[頭註]知制誥 曰 河東 移亦反이요 不移亦反하야 在旦暮耳 不若先事圖之니이다
唐主大喜曰 卿言 殊豁吾意하니 成敗 吾決行之호리라
卽爲하야 付學士院하야 使草制하야 以敬瑭으로 爲天平節度使하니 制出 兩班注+[頭註]文武官 爲東班西班하니라 相顧失色이러라
敬瑭 疑懼하야 謀於將佐曰 吾之再來河東也 主上 面許終身不除代러니 今忽有是命하니 得非如今年千春節與公主所言乎
我不興亂이면 朝廷發之하리니 安能束手死於道路乎
都押衙劉知遠曰 明公 久將兵하야 得士卒心하고 今據形勝之地하야 士馬精彊하니 若稱兵傳檄이면 帝業 可成하리니
奈何以一紙制書 自投虎口乎잇가
掌書記桑維翰曰 契丹主部落 近在雲, 應하니 公誠能推心하야 屈節注+[頭註]屈折肢節하야 以服事也 事之하면 萬一有急 朝呼夕至하리니 何患無成이릿고
敬瑭 意遂決하야 表唐主호되 養子注+[頭註]潞王이라 不應承祀하니 請傳位許王注+[頭註]名從益이니 明宗子 하노이다
唐主手裂其表하야 抵地하고하야 削奪敬瑭官爵하고 以張敬達 兼太原四面排陳使하야 率諸將討之하다
敬瑭 遣間使注+[頭註] 去聲이니 從間道遣使 하야 求救於契丹할새 令桑維翰으로 草表하야 稱臣於契丹主하고 且請以父禮事之하고 約事捷之日 割盧龍一道及鴈門關以北諸州하야 與之하다
劉知遠 諫曰 稱臣 可矣어니와 以父事之 太過 厚以金帛賂之라도 自足以致其兵이니 不必許以土田이니
恐異日大爲中國之患이면 悔之無及이리이다 敬瑭 不從하다
表至契丹하니 契丹主大喜하야 許俟仲秋하야 傾國赴援하다
○ 九月 契丹主將五萬騎하고 號三十萬이라하야 自楊武谷而南하니 旌旗不絶 五十餘里
至晉陽하야 屯於汾北之虎北口하야 與唐騎將高行周, 苻彦卿合戰할새 敬瑭 乃遣劉知遠하야 出兵助之하니 唐兵 大敗
敬達 遣使하야 告敗於唐한대 唐主大懼하야 下詔親征하니 諸軍 自鳳翔推戴注+[頭註]潞王 自鳳翔節度卽位하니라 以來 驕悍하야 不爲用이로되 苻彦饒注+[頭註]彰聖都指揮使 時爲後援하니라 恐其爲亂하야 不敢束之以法이러라
唐主至河陽하야 心憚北行하야 但日夕酣飮悲歌하고 群臣 或勸其北行이면 則曰 卿輩勿言하라
石郞 使我心膽墮地라하니라
○ 十一月 契丹主謂石敬瑭曰 吾三千里來赴難하니 必有成功이라
觀汝氣貌識量하니 眞中原之主也
吾欲立汝爲天子하노라
敬瑭 辭讓數四러니 將吏復勸進한대 乃許之하다
契丹主作冊書하야 命敬瑭爲大晉皇帝하니 是日 卽皇帝位하야
割幽, 薊十六州하야 以與契丹하고 仍許歲輸帛三十萬匹하고 制改長興注+[頭註]明宗年號 七年하야 爲天福元年하다
[史略 史評]胡氏曰
敬瑭之罪 在不助閔帝
苟以閔帝失國이면 則當尊奉許王이니 不爲衛州之事하야 而歸奪國弑君之惡於從珂하고 兵以義擧하야 名實皆正이면 則其德美矣리라
乃急於近利하야 稱臣契丹하고 割棄土壤하야 以父事之러니 其利不能以再世하고 其害乃及於無窮이라
以功利謀國而不本於禮義 未有不旋中其禍者也니라
○ 唐主又與宋審虔注+[頭註]馬軍都指揮使 等四將으로 議復向河陽이러니 而將校皆已飛狀하야 迎晉主하니 唐主遂携傳國寶하고 登玄武樓하야 自焚하다


병신(936) - 나라 청태淸泰 3년 11월 이후는 나라 고조高祖 석경당石敬瑭천복天福 원년元年이다.
민주閔主 맹창孟昶통문通文 원년元年이다.
○ 이해에 나라가 망하고 나라가 일어나니, 모두 다섯 나라이고 세 이다. -
봄 정월에 당주唐主천춘절千春節주연酒宴을 베풀었는데, 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가 술잔을 올려 헌수獻壽를 마친 다음 하직하고 진양晉陽으로 돌아가자, 당주唐主가 술에 취하여 말하기를 “어찌하여 더 머물지 않고 빨리 돌아가는가?
석랑石郞과 함께 배반하고자 하는가?” 하였다.
석경당石敬瑭이 이 말을 듣고 더욱 두려워하였다.
처음에 당주唐主석경당石敬瑭운주鄆州으로 옮기고자 하니, 이숭李崧여기呂琦注+[頭註]이숭李崧한림학사翰林學士이고, 여기呂琦지제고知制誥이다. 등이 모두 강력히 간하여 불가하다고 하였다.
설문우薛文遇注+[頭註]설문우薛文遇지제고知制誥이다. 말하기를 “하동河東(石敬瑭)은 을 옮겨도 배반하고 을 옮기지 않아도 배반하여, 반란이 조석간에 있을 것이니, 사전에 미리 도모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였다.
당주唐主가 크게 기뻐하여 말하기를 “의 말이 나의 마음을 시원하게 하니, 성패成敗에 관계없이 내 결행하겠다.” 하였다.
즉시 제목除目을 만들어 학사원學士院에 맡겨 제서制書해서 석경당石敬瑭천평절도사天平節度使로 임명하니, 제서制書가 나오자 문반文班무반武班注+[頭註]문관文官무관武官동반東班서반西班이라 하였다. 서로 돌아보고 사색이 되었다.
석경당石敬瑭이 의심하고 두려워하여 장수‧막료들과 상의하기를 “내가 다시 하동河東에 올 때에 주상主上이 나와 대면하고서 종신토록 딴 곳으로 바꾸어 제수하지 않기로 허락하였는데, 지금 갑자기 이러한 명령이 있으니, 금년 천춘절千春節에 공주와 말씀한 바와 똑같지 않은가.
내가 난을 일으키지 않으면 조정에서 군대를 일으킬 것이니, 어찌 손을 묶고 도로에서 죽겠는가.” 하였다.
도압아都押衙유지원劉知遠이 말하기를 “명공明公은 오랫동안 군대를 거느려서 사졸들의 마음을 얻었고, 지금 지형이 유리한 곳을 점거하여 군사와 말들이 정예하고 강하니, 만약 군대를 일으키고 격문을 돌린다면 황제의 기업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어찌 한 장의 제서制書 때문에 자신을 호랑이의 입에 던진단 말입니까.” 하였다.
장서기掌書記 상유한桑維翰이 말하기를 “거란주契丹主부락部落이 가까이 운주雲州응주應州에 있으니, 이 진실로 마음을 다 바쳐 복종하여 섬긴다면注+[頭註]사지의 관절을 굽혀 복종하여 섬기는 것이다. 만에 하나 위급한 일이 있을 경우 아침에 부르면 저녁에 올 것이니, 어찌 성공하지 못함을 근심하겠습니까.” 하였다.
석경당石敬瑭이 마침내 결심하고 당주唐主에게 표문表文를 올리기를 “양자養子注+[頭註]양자養子노왕潞王이다. 제위帝位를 계승해서는 안 되니, 허왕許王에게 전위할 것을 청합니다.” 하였다.注+[頭註]허왕許王은 이름이 종익從益이니, 명종明宗의 아들이다.
당주唐主석경당石敬瑭표문表文을 손수 찢어 땅에 내던지고 제서制書를 내려서 석경당石敬瑭의 관직을 삭탈하고 장경달張敬達을 임명하여 태원사면배진사太原四面排陳使를 겸임하게 하여 제장諸將을 거느리고 토벌하게 하였다.
석경당石敬瑭이 은밀히 간사間使를 보내어注+[頭註]거성去聲이니, 사잇길을 따라 은밀히 사신을 보내는 것이다. 거란契丹에 구원을 요청할 적에 상유한桑維翰으로 하여금 표문表文하게 하여, 거란주契丹主에게 이라 칭하고 또 아버지를 섬기는 예로 섬길 것을 청하였으며, 일이 성공하는 날에 노룡盧龍의 한 안문관鴈門關 이북의 여러 를 떼어줄 것을 약속하였다.
유지원劉知遠이 간하기를 “신을 칭하는 것은 가하나 아버지를 섬기는 예로 섬기는 것은 너무 지나치며, 금과 비단을 후하게 주어도 충분히 그 군대를 부를 수 있으니, 굳이 토지를 떼어줄 것을 허락할 필요가 없습니다.
후일에 크게 중국의 후환거리가 되면 후회막급일까 두렵습니다.” 하였으나 석경당石敬瑭이 따르지 않았다.
표문表文거란契丹에 이르자, 거란주契丹主가 크게 기뻐하여 중추仲秋(8월)를 기다려 국력을 기울여 달려가 구원할 것을 허락하였다.
9월에 거란주契丹主가 5만의 기병을 거느리고 30만 대군이라 이름하면서 양무곡楊武谷으로부터 남진하니, 정기旌旗가 50여 리에 끊이지 않았다.
진양晉陽에 이르러서 분수汾水의 북쪽인 호북구虎北口에 주둔하고서 나라 기병장騎兵將고행주高行周부언경苻彦卿과 교전할 적에 석경당石敬瑭이 마침내 유지원劉知遠을 보내 출병하여 돕게 하니, 당군唐軍이 크게 패하였다.
장경달張敬達이 사자를 보내어 나라에 패전을 알리자, 당주唐主가 크게 두려워하여 조서를 내리고 친히 정벌하니, 봉상鳳翔에서 노왕潞王을 황제로 추대한注+[頭註]노왕潞王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로 있다가 즉위하였다. 이래로 제군諸軍들이 교만하고 사나워져서 부릴 수가 없었으나 부언요苻彦饒注+[頭註]부언요苻彦饒창성도지휘사彰聖都指揮使이니, 당시 대군大軍의 후원이 되었다. 이들이 반란할까 두려워하여 감히 군법으로 단속하지 못하였다.
당주唐主하양河陽에 이르러서 마음속에 북쪽으로 출정하는 것을 두려워하여 다만 밤낮으로 술을 마시고 슬피 노래하며, 신하들이 혹 북쪽으로 출동할 것을 권하면 말하기를 “경들은 말하지 말라.
석랑石郞이 나로 하여금 억장이 무너지게 한다.” 하였다.
11월에 거란주契丹主석경당石敬瑭에게 이르기를 “내가 3천 리 밖에서 난리에 달려왔으니,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너의 기풍과 모습, 지식과 도량을 보니, 참으로 중원의 주인이다.
내 너를 세워 천자로 삼고자 한다.” 하였다.
석경당石敬瑭이 서너 차례 사양하였는데, 장수와 관리들이 다시 황제의 자리에 오를 것을 권하자, 마침내 허락하였다.
거란주契丹主가 책봉하는 글을 만들어 석경당石敬瑭대진황제大晉皇帝로 임명하니, 석경당石敬瑭이 이날 황제에 즉위하였다.
그리하여 유주幽州계주薊州 등 16주를 떼어서 거란契丹에게 주고 인하여 해마다 비단 30만 필을 바칠 것을 허락하였으며, 제서制書를 내려 장흥長興注+[頭註]장흥長興명종明宗의 연호이다. 7년을 고쳐 천복天福 원년元年이라고 하였다.
[史略 사평史評]胡氏가 말하였다.
석경당石敬瑭의 죄는 민제閔帝를 돕지 않은 데에 있다.
만일 민제閔帝가 나라를 잃었으면 마땅히 허왕許王을 높이 받들었어야 하니, 위주衛州의 일을 하지 아니하여 나라를 찬탈하고 군주를 시해한 죄를 이종가李從珂에게 돌리고, 의리에 입각하여 군대를 일으켜서 이 모두 바르게 되었다면 그 이 아름다웠을 것이다.
그런데 마침내 눈앞의 이익에 급급하여 거란契丹에게 신하를 칭하고 영토를 떼어주어 거란契丹의 군주를 아버지로 섬겼는데, 그 이익이 두 를 가지 못하였고 그 폐해가 마침내 무궁한 후세에 미쳤다.
그러므로 공리功利로 나라를 도모하고 예의禮義에 근본하지 않으면 곧바로 를 당하지 않는 자가 있지 않은 것이다.”
당주唐主가 또 송심건宋審虔注+[頭註]송심건宋審虔마군도지휘사馬軍都指揮使이다. 등 네 장수와 함께 다시 하양河陽으로 향할 것을 의논하였는데, 장교將校들이 모두 이미 항서降書를 바쳐 진주晉主를 맞이하니, 당주唐主가 마침내 전국보傳國寶를 가지고 현무루玄武樓에 올라가서 스스로 불타 죽었다.


역주
역주1 除目 : 관리를 제수하는 명단을 이른다. 胡三省의 注에 이르기를 “황제가 御筆로 직접 제수하는 것을 除目이라 하고, 宰相의 上奏로 제수하는 것도 除目이라 한다.” 하였다.
역주2 大軍 : 晉安寨의 군대를 이른다.

통감절요(9)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