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7)

통감절요(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庚子]十四年이라
二月 上幸國子監하야 觀釋奠注+[附註]周禮大胥舍菜注 舞者 皆執芬香之菜 讀曰釋이라 或曰 見於師 以菜(物)[爲]贄하니 卽菜羹之菜 蘋蘩之屬이라 學記曰 皮弁祭菜 亦敬道也라한대 芹藻之屬이라 五禮新儀曰 釋奠者 設祭饌酌奠也 賈公彦曰 奠之爲言 停也 停饌具也 古釋奠 山川, 廟社, 學宮 統言之러니 自宋으로 獨先聖之祭曰 釋奠이라하니 所以別群祀也 陳祥道云 釋奠(曰)[日]用上丁者 陰火也 火象文敎宣明이라 曲禮曰 이라하니 取陰火也 鄭玄曰 始入學 止舍菜 禮先師也[通鑑要解] 按唐國子監 在安上門西 唐制 仲春, 仲秋 釋奠于文宣王호되 皆以上丁, 上戊하고 以祭酒, 司業, 博士三獻이라 할새 命祭酒孔穎達하야 講孝經하고 賜祭酒以下至諸生高第 帛有差하다
是時 大徵天下名儒하야 爲學官하고 數幸國子監하야 使之講論하야 學生 能明一大經注+[附註]唐取士 以禮記, 春秋左氏傳爲大經하고 詩, 儀禮, 周禮爲中經하고 易, 尙書, 春秋公羊, 穀梁傳爲小經하니라 已上이면 皆得補官하고
增築學舍千二百間하고 增學生하야 滿三千二百六十員이라
自屯營 亦給博士하야 使授以經하고 有能通經者 聽得貢擧하니
於是 四方學者 雲集京師하고 乃至高麗, 百濟注+[釋義]百濟之國 本扶餘王東明之後 有仇台者 篤於仁信이러니 始立國於帶方故地하야 遂爲東夷强國하니 初以百家濟〈海〉라하야 因號焉이라 其國 東極新羅, 高麗하고 西南俱限大海 其都曰居拔城이요 亦曰固麻城이니 東夷傳云 三韓凡七十八國 百濟其一也라하니라 , 新羅, 高昌注+[頭註]西域小國이니 都交河城이라 , 吐蕃諸酋長 亦遣子弟하야 請入國學하니 升講筵者 至八千餘人이러라
以師說多門하고 章句繁雜이라하야孔穎達하야 與諸儒 撰定五經疏하고 謂之正義라하야 令學者習之하다
○ 侯君集注+[頭註]交河行軍大摠管이라 滅高昌하니 以其地 爲西州하다
於是 唐地東極于海하고 西至하고 南盡하고 北抵大漠하야
皆爲州縣하니 東西九千五百一十里 南北一萬九百一十八里러라


정관貞觀 14년(경자 640)
2월에 국자감國子監에 행차하여 석전제釋奠祭注+[附註][附註] 《주례周禮》 〈대서大胥〉의 ‘사채舍菜에 “춤을 추는 자들이 모두 향기로운 채소를 손에 쥔다. 으로 읽는다. 혹자는 이르기를 ‘스승을 뵐 적에 채소를 폐백으로 삼으니, 곧 채갱菜羹로 개구리밥과 마름 따위이다.” 하였다. 《예기禮記》 〈학기學記〉에 이르기를 “피변복皮弁服을 입고 나물로 제사함은 도예道藝를 공경함을 보이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에 “는 미나리와 마름 따위이다.” 하였다. 《오례신의五禮新儀》에 이르기를 “석전釋奠제찬祭饌을 진설하고 술을 따라 을 올리는 것이다.” 하였고, 가공언賈公彦은 말하기를 “이라는 말은 차려놓는 것이니, 〈시동尸童을 세우지 않고〉제수만 차려 놓는 것이다.” 하였다. 옛날에 석전釋奠산천山川묘사廟社학궁學宮에 지내는 것을 통틀어 말하였는데, 나라 때부터 오직 선성先聖에게 올리는 제사만을 석전釋奠이라 하였으니, 다른 제사와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진상도陳祥道가 이르기를 “석전제釋奠祭를 지내는 날짜는 상정일上丁日을 쓰니, 음화陰火이니 문교文敎가 베풀어져 밝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하였다. 《예기禮記》 〈곡례曲禮〉에 이르기를 “내사內事유일柔日을 쓴다.” 하였다. 그러므로 음화陰火를 취한 것이다. 정현鄭玄이 말하기를 “처음에 태학太學에 들어갈 때에 단지 사채舍菜에 그치는 것은 선사先師를 예우하는 것이다.” 하였다. [通鑑要解] 살펴보건대 나라의 국자감國子監안상문安上門 서쪽에 있다. 나라 제도에는 중춘仲春중추仲秋문선왕文宣王(孔子의 시호)에게 석전釋奠을 올리되 모두 상정上丁상무일上戊日에 하고 좨주祭酒사업司業박사博士삼헌三獻을 한다. 살펴볼 적에 좨주祭酒공영달孔潁達에게 명하여 《효경孝經》을 강하게 하고 좨주祭酒 이하로부터 국자감國子監제생諸生 중 성적이 우수한 자에 이르기까지 〈차등을 두어〉비단을 하사하였다.
이때 이 천하에 이름난 유자儒者를 크게 불러 학관學官으로 삼고 자주 국자감國子監에 행차해서 그들로 하여금 경학經學을 강론하게 하여, 학생 중에 대경大經 한 가지注+[附註]나라 때 선비를 뽑을 적에 《예기禮記》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대경大經으로 삼고, 《》‧《의례儀禮》‧《주례周禮》를 중경中經으로 삼고, 《》‧《상서尙書》‧《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소경小經으로 삼았다. 이상을 통달하면 모두 관직에 보임補任하게 하였다.
학사學舍 1200칸을 증축增築하였으며 학생 3260명을 증원하였다.
둔영屯營비기飛騎에게도 박사博士를 파견해서 그들로 하여금 경전經傳을 전수해 주게 하였고, 그 중에 경전을 통달한 자가 있으면 공거貢擧(科擧)를 볼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이에 사방의 배우는 자들이 경사京師로 떼 지어 모여들고, 급기야는 고구려高句麗백제百濟注+[釋義]백제국百濟國마한馬韓의 하나이니, 본래 부여왕扶餘王동명東明의 후손이다. 뒤에 구태仇台라는 자가 을 돈독히 힘썼는데, 처음으로 대방帶方의 옛 땅에 나라를 세워 마침내 동이東夷강국强國이 되었다. 처음에 백가百家가 바다를 건너왔다 하여 이로써 호칭하였다. 이 나라는 동쪽으로는 신라新羅고구려高句麗에 이르고, 서쪽과 남쪽은 모두 큰 바다와 경계하였다. 도읍을 거발성居拔城이라 하고 또한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니, 《후한서後漢書》 〈동이전東夷傳〉에 이르기를 “삼한三韓이 모두 78개국이니 백제百濟는 그 중의 하나이다.” 하였다. 新羅‧고창高昌注+[頭註]고창高昌서역西域의 작은 나라이니, 교하성交河城에 도읍하였다. 吐蕃의 여러 추장酋長에 이르기까지 또한 자제子弟를 보내어서 국학國學에 들어올 것을 청하니, 강석講席에 오른 자가 8천여 명에 이르렀다.
사문師門의 학설이 많고 장구章句가 번잡하다 하여 공영달孔潁達에게 명해서 여러 학자들과 오경五經소주疏註찬정撰定하게 하고 이를 일러 《정의正義》라 이름하여 배우는 자로 하여금 이것을 익히게 하였다.
- 《신당서新唐書》의 〈선거지選擧志〉와 〈유학전儒學傳〉序에 나옴 -
후군집侯君集注+[頭註]후군집侯君集교하행군대총관交河行軍大摠管이다. 고창高昌을 멸망시키니, 그곳을 서주西州로 만들었다.
이에 나라 영지가 동쪽으로는 동해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언기焉耆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임읍林邑에 다하고 북쪽으로는 대막大漠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모두 주현州縣을 만드니, 동서가 9510리요 남북이 1만 918리였다.


역주
역주1 內事以柔日 : 內事는 宗廟의 제사와 冠禮, 昏禮 등을 이른다. 柔日은 日辰의 天干이 乙‧丁‧己‧辛‧癸인 날인데, 陰에 해당하므로 柔日에는 집안일을 하는 것이 좋고, 剛日은 日辰의 天干이 甲‧丙‧戊‧庚‧壬인 날인데, 陽에 해당하므로 剛日에는 바깥일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역주2 飛騎 : 唐나라 때 궁궐을 지키던 禁軍의 명칭이다. 太宗은 貞觀 12년(638)에 左右屯營을 玄武門에 설치하고 이를 飛騎라 이름하였다.
역주3 馬韓之屬 : 《資治通鑑》 〈晉紀〉注에 “東夷에는 세 韓國이 있으니, 첫째는 馬韓, 둘째는 辰韓, 셋째는 弁韓이다. 馬韓은 54개국을 소유하였으니, 百濟는 그 중의 하나이다.[東夷有三韓國 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弁韓. 馬韓有五十四國, 百濟其一也]”라고 하였다.
역주4 出選擧志及儒學傳序 : 《新唐書》 〈選擧志〉와 《新唐書》 〈儒學傳〉의 〈孔穎達傳〉에 나온다.
역주5 焉耆 : 옛날 西域에 있었던 나라 이름이다.
역주6 林邑 : 중국 南海에 있었던 옛 나라 이름으로 옛터가 지금의 越南中南部에 있다. 처음에는 林邑이라 불렀는데, 唐나라 至德 이후로는 環王, 9세기 말부터는 占城이라 불렀다.

통감절요(7) 책은 2022.01.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