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7)

통감절요(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甲午]八年이라
正月 上欲分遣大臣하야 爲諸道黜陟大使호되 未得其人이러니 李靖 薦魏徵한대
上曰 徵 箴規朕失하니 不可一日離左右라하고
乃命靖하야 與太常卿蕭瑀等凡十三人으로 分行注+[頭註] 去聲이니 巡視也 天下하야賢不肖하고 問民間疾苦하며
禮高年, 賑窮乏하고 褒善良, 起滯淹하야 俾使者所至 如朕親覩하라
○ 中牟丞皇甫德參 上言호되 修洛陽宮하야 勞人하고 收地租厚斂하며 하니宮中所化니이다
上怒하야 謂房玄齡等曰 德參 欲國家不役一人하고 不收斗租하고 宮人皆無髮이라야 乃可其意耶아하고
自古 上書不激切이면 不能動人主之心이니이다
所謂狂夫之言 聖人擇焉이니 惟陛下裁察하소서 上曰 朕罪斯人이면 則誰敢復言이리오하고 乃賜絹二十匹하다
他日 奏言호되 陛下近日 不好直言하고
勉彊含容이나 非曩時之豁如니이다 乃更加優賜하고 拜監察御史하다
〈竝出徵本傳〉


정관貞觀 8년(갑오 634)
정월正月대신大臣들을 나누어 보내서 제도諸道출척대사黜陟大使로 삼고자 하였으나 그 합당한 사람을 얻지 못하였는데, 이정李靖위징魏徵을 천거하였다.
이 이르기를 “위징魏徵의 과실을 경계하고 바로잡으니, 하루라도 짐의 곁을 떠날 수 없다.” 하고,
마침내 이정李靖에게 명하여 태상경太常卿소우蕭瑀 등 13인과 함께 천하를 나누어注+[頭註]거성去聲이니, 분행分行은 순시함이다.순행巡行해서 “장리長吏들의 어짊과 불초함을 살피고 민간의 고통을 물으며,
나이 많은 노인을 예우하고 궁핍한 자들을 구휼하며, 선량한 자를 표창하고 침체된 자들을 일으켜서, 사자使者가 이른 곳에는 이 직접 본 것처럼 하라.” 하였다.
중모현中牟縣황보덕참皇甫德參상언上言하기를 “낙양洛陽의 궁궐을 수리하여 백성들을 수고롭게 하고 조세를 많이 거두어 들이며 세속의 풍속이 높게 틀어 올린 상투를 좋아하니, 이는 궁중宮中에서 교화시킨 것입니다.” 하니,
이 노하여 방현령房玄齡 등에게 이르기를 “황보덕참皇甫德參국가國家에서 한 사람도 부역시키지 말고 한 말의 조세도 거두지 말고 궁인宮人들이 모두 머리를 틀어 올리지 말아야 그의 뜻에 만족스럽단 말인가.” 하였다.
그가 조정을 비방하고 꾸짖는 죄를 다스리려고 하자, 위징魏徵이 간하기를 “가의賈誼나라 문제文帝 때 올린 상서上書에 ‘통곡할 만한 것이 한 가지요, 눈물을 흘릴 만한 것이 두 가지입니다.’ 하였으니,
예로부터 글을 올릴 적에 격렬하고 간절하지 않으면 군주의 마음을 감동시킬 수가 없습니다.
이른바 광부狂夫의 말도 성인聖人은 선택한다는 것이니, 폐하께서는 재량裁量하여 살피소서.” 하니, 이 이르기를 “이 이 사람을 죄준다면 누가 감히 다시 말을 하겠는가.” 하고는 마침내 그에게 비단 20필을 하사하였다.
후일에 위징魏徵이 아뢰기를 “폐하께서는 근래에 직언直言을 좋아하지 않으십니다.
억지로 포용하시나 예전처럼 활달하지는 않습니다.” 하니, 이 마침내 황보덕참皇甫德參을 다시 더 우대하여 물건을 하사하고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제수하였다.
- 모두 《신당서新唐書위징전魏徵傳》에 나옴 -


역주
역주1 長吏 : 州縣을 맡은 長官을 가리키는 바,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른다.
역주2 俗好高髻 蓋宮中所化 : 윗사람이 무엇을 좋아하면 아랫사람들이 무조건적으로 그것을 흉내 내어 나쁜 풍속이 이뤄짐을 이르는 바, 《後漢書》 〈馬廖傳〉에 “도성 안에서 높게 틀어 올린 상투를 좋아하자 사방(지방)에서 덩달아 흉내 내어 상투 높이가 한 자나 되었고, 도성 안에서 눈썹이 넓은 것을 좋아하자 사방에서는 눈썹이 이마의 거의 절반이나 되었고, 도성 안에서 소매가 넓은 옷을 좋아하자 사방에서는 비단 한 필을 온전히 다 썼다.[城中好高髻 四方高一尺 城中好廣眉 四方且半額 城中好大袖 四方全匹帛]”라고 보인다. 馬廖는 馬援의 아들이다.
역주3 : 계
역주4 賈誼當漢文帝時……可爲流涕者二 : 이는 漢나라 文帝 6년(B.C. 174)에 賈誼가 文帝에게 상소한 내용으로, 《前漢書》 〈賈誼傳〉과 《通鑑節要》 〈漢紀〉文帝條에 보인다.

통감절요(7) 책은 2022.01.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