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5)

통감절요(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壬午]永昌元年이라 〈趙光初五年이요 後趙四年이라
王敦 將作亂할새 謂謝鯤曰 劉隗注+[頭註]帝引劉隗等하야 欲抑王氏하니 見上庚辰이라奸邪하야 將危社稷이라
吾欲除君側之惡하노니 何如 鯤曰 隗誠始禍城狐社鼠注+[頭註]城狐不灌하고 社鼠不燻 謂其得所依憑也 指人君左右近習이라니이다
敦怒曰 君 庸才 豈達大體리오하고 遂擧兵於武昌하야 上疏罪狀劉隗한대 沈充 亦起兵於吳興하야 以應敦하다
敦至蕪湖하야 又上表罪狀刁協하니
帝大怒하야 詔曰 王敦 憑恃寵靈注+[頭註]靈亦寵也하고 敢肆狂逆하야 方朕太甲注+[頭註] 比也 敦上疏曰 昔 太甲顚覆厥度로되 幸納伊尹之忠하야 殷道復昌故云云이라하야 欲見幽囚하니 是可忍也인댄 孰不可忍이리오
今親帥六軍하야 以誅大逆호리니 有殺敦者 封五千戶侯하리라
〈敦傳〉
帝徵戴淵, 劉隗하야 入衛建康하니
隗至하야 與刁協勸帝하야 盡誅王氏어늘 帝不許하니 隗始有懼色이러라
司空導 帥其從弟中領軍邃 左衛將軍 侍中侃, 彬 及諸宗族二十餘人하고 每旦 詣臺注+[頭註]尙書 爲中臺 御史 爲憲臺待罪하다
將入할새 導呼之曰 伯仁注+[釋義]周顗字也百口累卿注+[通鑑要解] 猶托也 人謂其家之親屬曰라하니 欲使顗保護導하야 以全其家也하노라 顗直入不顧러니 旣見帝 言導忠誠하야 申救甚至하니 帝納其言하다
顗喜飮酒하야 至醉而出할새 導猶在門하야 又呼之어늘
顗不與言하고 顧左右曰 今年 殺諸賊奴하고 取金印如斗大하야 繫肘後호리라
旣出 又上表하야 明導無罪하야 言甚切至호되 導不之知하고 甚恨之러라
帝命還導朝服하고 召見之하니
導稽首曰 賊臣逆子 何代無之리오마는 不意今者 近出臣族이로소이다 帝跣而執其手하고 曰 茂弘注+[頭註]導字 方寄卿以百里之命注+[頭註]이어늘 是何言耶
○ 三月 以導 爲前鋒大都督하고 加戴淵驃騎將軍하고 詔曰 導以大義滅親하니 可以吾爲安東時節注+[釋義]懷帝時 元帝嘗爲安東將軍하야 都督揚州하니라假之라하다
以周顗 爲尙書左僕射하고 王邃 爲右僕射하다
○ 敦據石頭注+[釋義]城名이니 今建業이라하야 歎曰 吾不復得爲盛德事矣로다
帝命刁協, 劉隗, 戴淵하야 帥衆攻石頭러니 協, 隗俱敗어늘
帝令公卿百官으로 詣石頭見敦하고 以敦爲丞相, 都督中外諸軍, 錄尙書事하다
注+[頭註]敦參軍也說敦曰 周顗, 戴淵 皆有高名하야 足以惑衆이니 公不除之 恐必有再擧之憂니라
敦然之하야 從容問導호되 導不答注+[通鑑要解]敦參軍呂猗說之하니 然之하여 以問導曰 周, 戴 南北之望이니 當登三司無疑也라하야늘 導不答하고 又曰 止應令僕邪아하야늘 又不答하고 敦曰 若不爾 正當誅爾라하야늘 又不答하니 收顗及淵殺之하니라 顗被收 路經太廟하니 大言曰 賊臣王敦 傾覆社稷하고 枉殺忠臣하니 神祗有靈인댄 當速殺之리라하니 收人以戟傷其口하야 流血至踵이나 容止自若하니 觀者 皆爲流涕 幷淵殺之하다이어늘 收顗及淵하야 殺之하다
王導後 料檢注+[頭註]料理也中書故事라가 乃見顗救己之表하고 執之流涕曰 吾雖不殺伯仁이나 伯仁 由我而死注+[通鑑要解]自愧於敦三問不答之意也하니 幽冥之中 負此良友라하더라
敦竟不朝天子而還武昌하다
敦旣得志 暴慢滋甚하야 四方貢獻 多入其府하고 將相岳牧注+[頭註]舜有四岳十二牧이라 後之居方面者 謂之岳牧이라 皆出其門하니라
[新增]朱氏(黼)曰
王敦之反 王導不能無罪也
晉靈公 欲殺趙한대 趙盾出奔이어늘
其弟趙穿 遂弑靈公于桃園이러니 春秋書曰 趙盾 弑其君夷皐라하고
客有毁郭解注+[頭註]漢武時人이라어늘 解之客 殺之한대 公孫弘曰 解雖不知 其罪甚於解殺之라하고 遂族解하니
二事雖不同이나 原心定罪하야 推其所自來하면 盾, 解固有難辭其責者
導旣當國하니 其從父兄也
以王氏失職이라하야 致興兵犯順이어늘 導不能防之於始하고 又不能止之於今하니 雖欲辭其責이나 可乎
賊旣東下 始闔門待罪하고 石頭失守 位爵如昨하고 至行胸臆報恩怨하야 不免假手于賊이라
自我雖不殺伯仁이나 伯仁由我而死一語 推之컨대 導雖有格天之烈, 蓋世之功이나 欲免趙盾郭解之誅 終不能也니라
○ 祖逖 旣卒 後趙屢寇河南이어늘 祖約 不能禦하고 退屯壽春한대
後趙遂取陳留하니 梁, 鄭之間 復騷然矣러라
○ 十一月憂憤成疾하야하니 司空王導 受遺詔輔政하다
恭儉有餘 而明斷不足이라
大業未復하고 而禍亂內興이러라
太子卽皇帝位하다
永嘉陳氏曰
自古 爭天下者 常易하고 收天下者 常難이라
唐人有言호되 神堯注+[頭註]唐高祖李淵이라以一旅取天下어늘 이라하니 嗟夫
是亦其勢然也
夫以匹夫而爭天下 與失天下而收之者 其勢甚不相若也
凡人之情 輕於用人之所有하고 重於用己之所愛하나니
輕則勇하고 重則怯하니 此爭天下與收天下之所以異也
昔漢高帝資三尺之劍하야 五載而成帝業하니 何其銳也 蓋高帝崛起豐沛之微하야
無寸土爲之階하니 秦兵也 秦粟也 城邑 秦之城邑也
驅非己之民하고 食非己之粟하야 而收非己之城邑이라
故得以肆意而爲之하야 降數十郡而喪之 不恨也하고 捐數千里而授三將 不惜也 睢水之圍 滎陽之脫 濱於死而不衰也
以匹夫而爭天下 其幸而集注+[頭註]成也則帝王이요 不幸而不集이면 吾如彼何哉리오
高帝亦不得不勇爲之矣
晉元之南渡也 撫江都之勝하고 兼吳會注+[頭註]吳地 爲荊, 揚, 交, 廣之都會之饒하니 亦足以奮矣로되 而沒齒不能歸侵疆之咫尺者 非他也
其心 愛夫一隅之可以自託하야 惴惴然惟恐其用之而倂失之也일새라
故曰是亦其勢然也라하노라
三代之後 中興之功 莫易於光武하니 豈光武獨能也哉
蓋其勢亦高帝之勢 而光武亦以高帝之道用之也일새니라
[史略 史評]史斷曰
元帝 本牛氏之子之裔하야 遯居江表
天下士民 有思晉者 皆裹粮而歸之하야 中外勸進호되 拒而弗從이라가 及愍帝遇害 始正位號하니 亦庶乎知節者
加以天性簡儉하고 容受直言이라
初鎭江東 頗荒于酒러니 王導正色直諫한대 亟命引觴覆之하고 所幸鄭夫人 衣無文綵하고 布帳練帷하며 詳刑簡化하니 史氏稱其光啓中興 非溢美矣
이나 帝才具不優하고 志氣非遠이라
初以懷帝之命으로 來臨江左하니 國有緩急이면 固宜糾合義旅하야 入衛王室이어늘 而乃自爲封殖之謀하고 無慷慨救時之志하야
懷帝遂以蒙塵호되 迄不聞勤王之擧하며 愍帝嗣立 增重寄委하고 制詔深切하니 所宜動心이로되 顧乃坐視 戎馬縱橫하야 曾不以介意焉이라
方且陽爲出師하야 遷延不進하야 遂使河南으로 終淪左袵하니 惜哉
夫受君父之托而坐視其禍變하고 因時事之艱難而僥倖以自利하야 三綱淪矣 其能以討賊乎
此所以建國規模 亦復不競하고 亂臣賊子 如王敦者 不旋踵以起하니 豈無自而然哉


영창永昌 원년元年(임오 322) - 나라 광초光初 5년이고, 후조後趙 4년이다. -
왕돈王敦이 난을 일으키려 할 적에 사곤謝鯤에게 이르기를 “유외劉隗注+[頭註]황제가 유외劉隗 등을 나오게 하여 왕씨王氏를 억제하고자 하였으니, 앞의 경진년조庚辰年條(320)에 보인다. 가 간사하여 장차 사직社稷을 위태롭게 할 것이다.
내가 군주 곁에 있는 악한 자를 제거하고자 하니, 어떠한가?” 하자, 사곤謝鯤이 말하기를 “유외劉隗가 진실로 의 시초이지만 안에 사는 여우와 에 사는 쥐注+[頭註]성 안에 사는 여우는 물을 대어 잡을 수가 없고 에 사는 쥐는 불을 질러 잡을 수 없다는 것은 의거할 곳을 얻었음을 이르니, 임금의 좌우에서 임금을 가까이 모시는 근신近臣을 가리킨다. 에 불과합니다.” 하였다.
왕돈王敦이 노하여 말하기를 “그대는 용렬한 재주이니, 어찌 일의 대체大體를 알겠는가.” 하고는 마침내 무창武昌에서 군대를 일으키고서 상소하여 유외劉隗의 죄상을 나열하니, 심충沈充이 또한 오흥吳興에서 군대를 일으켜 왕돈王敦에게 호응하였다.
왕돈王敦무호蕪湖에 이르러서 또다시 표문表文을 올려 조협刁協의 죄상을 아뢰니,
황제가 크게 노하여 조서를 내리기를 “왕돈王敦이 은총과 신임注+[頭註]도 역시 총애하는 것이다. 을 믿고서 감히 미치고 패역한 짓을 자행恣行하여 태갑太甲에게 비교하여注+[頭註]은 비교함이다. 왕돈王敦이 상소하여 아뢰기를 “옛날에 태갑太甲법도法度를 전복시켰으나 다행히 이윤伊尹충언忠言을 받아들여 나라의 가 다시 창성할 수 있었습니다.……” 하였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유폐幽閉하고 가두려 하니, 이것을 차마 할 수 있다면 무슨 짓을 차마 못하겠는가.
이제 육군六軍을 직접 거느리고서 대역죄大逆罪를 범한 자를 주벌할 것이니, 왕돈王敦을 죽이는 자가 있으면 오천호五千戶에 봉하겠다.” 하였다.
- 《진서晉書》 〈왕돈전王敦傳〉에 나옴 -
황제가 대연戴淵유외劉隗를 불러 들어와서 건강建康을 호위하게 하였다.
유외劉隗가 이르러서 조협刁協과 함께 황제에게 권하여 왕씨王氏를 다 죽이라고 하였으나 황제가 허락하지 않으니, 유외劉隗가 비로소 두려워하는 기색이 있었다.
사공司空 왕도王導가 그의 종제從弟 중령군中領軍 왕수王邃좌위장군左衛將軍 왕이王廙시중侍中 왕간王侃왕빈王彬 및 여러 종족宗族 20여 명을 거느리고 매일 아침마다 에 나아가注+[頭註]상서尙書중대中臺라 하고, 어사御史헌대憲臺라 한다.대죄待罪하였다.
주의周顗가 들어가려 할 적에 왕도王導가 불러 이르기를 “백인伯仁注+[釋義]백인伯仁주의周顗이다.아, 우리 집안 일족一族의 목숨을 에게 부탁한다.注+[通鑑要解]는 맡김과 같다. 사람들이 자기 집안의 친속親屬을 일러 백구百口라 하니, 주의周顗로 하여금 왕도王導를 보호하게 하여 그 집안을 온전히 하고자 한 것이다. ” 하였는데, 주의周顗가 곧바로 들어가고 돌아보지 않았으나 황제를 뵙자 왕도王導의 충성을 말하여 변명하고 구원하기를 매우 지극히 하니, 황제가 그의 말을 받아들였다.
주의周顗가 기뻐하여 술을 마시고 취해서 나오니, 왕도王導가 아직도 문 앞에 있다가 또다시 주의周顗를 불렀다.
주의周顗왕도王導와 말하지 않고 좌우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금년에 여러 역적 놈들을 죽이고서 말[斗]처럼 큰 금인金印을 취하여 팔뚝 뒤에 매달겠다.” 하였다.
이미 나온 뒤에 또다시 표문表文을 올려 왕도王導의 무죄함을 밝혀 내용이 매우 간절하고 지극하였으나 왕도王導는 이것을 알지 못하고 매우 한하였다.
황제가 명하여 왕도王導에게 조복朝服을 도로 돌려주게 하고 그를 불러서 보았다.
왕도王導가 머리를 조아리며 말하기를 “적신賊臣역자逆子가 어느 대인들 없었겠습니까마는 이번에 가까이 신의 집안에서 나올 줄은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하니, 황제가 맨발로 나와 그 손을 잡고서 말하기를 “무홍茂弘注+[頭註]무홍茂弘왕도王導이다. 아, 막 에게 백리百里정령政令注+[頭註]백리百里은 어린 군주를 부탁하고자 한 것이다. 을 맡기려 하는데, 이 무슨 말인가.” 하였다.
○ 3월에 왕도王導전봉대도독前鋒大都督으로 삼고 대연戴淵에게 표기장군驃騎將軍을 가하고 조서를 내리기를 “왕도王導대의大義를 지키기 위해 친척도 돌아보지 않았으니, 내가 안동장군安東將軍으로 있었을 때의 부절符節注+[釋義]회제懷帝 때에 원제元帝가 일찍이 안동장군安東將軍이 되어서 양주揚州도독都督하였다. 을 그에게 빌려 주겠다.” 하였다.
주의周顗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삼고, 왕수王邃우복야右僕射로 삼았다.
왕돈王敦석두성石頭城注+[釋義]석두石頭의 이름이니, 지금의 건업建業이다.를 점거하고서 한탄하기를 “내가 다시는 훌륭한 이 있는 일을 할 수 없게 되었다.” 하였다.
황제가 조협刁協유외劉隗대연戴淵에게 명하여 무리를 거느리고 석두성石頭城를 공격하게 하였는데, 조협刁協유외劉隗가 모두 패하였다.
황제가 공경公卿백관百官으로 하여금 석두성石頭城에 나아가 왕돈王敦을 만나 보게 하고 왕돈王敦승상丞相도독중외제군都督中外諸軍녹상서사錄尙書事로 삼았다.
여의呂猗注+[頭註]여의呂猗왕돈王敦참군參軍이다.왕돈王敦을 설득하기를 “주의周顗대연戴淵이 모두 높은 명망이 있어서 충분히 사람들을 현혹시킬 수 있으니, 이 이들을 제거하지 않으면 반드시 재차 군대를 일으킬 우려가 있습니다.” 하였다.
왕돈王敦이 그 말을 옳게 여겨 조용히 왕도王導에게 물었으나 왕도王導가 대답하지 않자,注+[通鑑要解]왕돈王敦참군參軍여의呂猗왕돈王敦을 설득하니, 왕돈王敦이 그 말을 옳게 여겨 왕도王導에게 묻기를 “주의周顗대연戴淵남방南方북방北方의 명망 있는 사람이니, 이들이 삼공三公의 지위에 올라야 함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하였으나 왕도王導가 대답하지 않았다. 왕돈王敦이 또 말하기를 “삼공三公이 못 된다면 상서령尙書令이나 상서좌尙書左우복야右僕射에 그쳐야 하겠는가?” 하였으나 또 대답하지 않았다. 왕돈王敦이 말하기를 “만약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다만 그들을 죽일 뿐이다.” 하였으나 왕도王導가 또 대답하지 않으니, 왕돈王敦주의周顗대연戴淵을 체포하여 죽였다. 주의周顗가 체포당할 때 도중에 태묘太廟를 지나게 되자, 큰 소리로 말하기를 “적신賊臣왕돈王敦사직社稷을 전복하고 충신忠臣을 억울하게 죽이니, 천지신명天地神明이 계신다면 속히 그를 죽일 것이다.” 하였다. 체포해 가는 사람이 창으로 그의 입을 찔러 피가 흘러서 발꿈치에까지 이르렀으나 행동거지가 태연자약하니, 구경하는 자들이 모두 그를 위하여 눈물을 흘렸다. 주의周顗대연戴淵과 함께 죽였다. 주의周顗대연戴淵을 체포하여 죽였다.
왕도王導가 뒤에 중서성中書省의 옛일을 정리注+[頭註]요검料檢은 헤아려서 정리하는 것이다. 하다가 마침내 주의周顗가 자신을 구원해 준 표문表文을 보고는 표문을 잡고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내가 비록 백인伯仁을 죽이지는 않았으나 백인伯仁이 나 때문에 죽었으니,注+[通鑑要解]왕돈王敦이 세 번 물었을 때에 대답하지 않은 것을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뜻이다. 이러한 좋은 벗을 저버려서 마침내 죽게 만들었다.” 하였다.
왕돈王敦이 끝내 천자에게 조회하지 않고 무창武昌으로 돌아갔다.
왕돈王敦은 이미 뜻을 얻고 나자, 포악하고 태만함이 더욱 심하여 사방의 공헌貢獻을 대부분 자기의 창고로 들이고 장상將相악목岳牧(牧伯)注+[頭註]임금은 사악四岳십이목十二牧이 있었다. 그러므로 후에 방면方面을 다스리는 자를 일러 악목岳牧이라 한다. 이 모두 그 문하에서 나왔다.
[新增]朱氏(朱黼)가 말하였다.
왕돈王敦이 배반한 것에 대해 왕도王導도 죄가 없지 못하다.
나라 영공靈公조돈趙盾을 죽이려고 하자 조돈趙盾이 도망갔다.
그 아우 조천趙穿이 마침내 영공靈公도원桃園에서 시해하였는데, 《춘추春秋》에 쓰기를 ‘조돈趙盾이 그 군주 이고夷皐를 시해했다.’ 하였다.
그리고 어떤 사람이 곽해郭解注+[頭註]곽해郭解나라 무제武帝 때 사람(俠客)이다.를 헐뜯자 곽해郭解의 문객이 그를 죽였는데, 공손홍公孫弘이 말하기를 ‘곽해郭解가 비록 그러한 사실을 알지 못하였으나 죄는 곽해郭解가 직접 죽인 것보다 심하다.’ 하고 마침내 곽해郭解삼족三族을 멸하였다.
이 두 가지 일은 비록 똑같지 않으나 마음을 근원하여 죄를 확정해서 그 유래由來한 바를 미루어 본다면 조돈趙盾곽해郭解가 진실로 그 책임을 회피하기 어렵다.
왕도王導가 이미 국정을 담당하였으니, 왕돈王敦은 그의 종형從兄이었다.
왕씨王氏가 직책을 잃었다 하여 왕돈王敦이 군대를 일으켜 순리順理를 범하였는데 왕도王導가 처음에 이것을 막지 못하였고 또 지금에 저지하지 못하였으니, 비록 책임을 면하고자 하나 될 수 있겠는가.
역적인 왕돈王敦이 이미 동쪽으로 내려온 뒤에야 비로소 합문闔門에서 대죄待罪하였고, 석두성石頭城을 빼앗겼으나 지위와 관작이 예전과 똑같았으며, 심지어는 자기 감정대로 은혜와 원수를 갚아서 적에게 손을 빌려 줌을 면치 못하였다.
‘내가 비록 백인伯仁을 죽이지 않았으나 백인伯仁이 나 때문에 죽었다.’는 한 마디 말을 가지고 미루어 본다면, 왕도王導가 비록 하늘을 감동시킬 만한 정성과 세상을 뒤덮을 만한 공로가 있다 해도 조돈趙盾곽해郭解의 벌을 면하고자 한다면 끝내 면할 수가 없을 것이다.”
조적祖逖이 죽은 뒤에 후조後趙가 자주 하남河南을 침략하였는데, 〈조적祖逖의 아우인〉 조약祖約이 막지 못하고 후퇴하여 주둔하였다.
후조後趙가 마침내 진류陳留를 점령하니, 지방이 다시 소란하였다.
○ 11월에 황제가 근심하고 분하여 병이 되어 하니, 사공司空 왕도王導유조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였다.
황제가 공손함과 검소함은 유여有餘하였으나 총명함과 결단성은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대업大業을 회복하지 못하고 화란禍亂이 안으로부터 일어났다.
태자가 황제에 즉위하였다.
영가진씨永嘉陳氏가 말하였다.
“예로부터 천하를 다투는 것은 항상 쉽고, 천하를 잃었다가 수복收復하는 것은 항상 어려웠다.
나라 사람이 말하기를 ‘신요神堯注+[頭註]신요神堯나라 고조高祖 이연李淵이다. 는 1(500명)로 천하를 취하였으나 자손들은 천하를 가지고도 하북河北을 취하지 못했다.’ 하였으니, 아! 슬프다.
이는 또한 형세가 그러한 것이다.
필부匹夫로서 천하를 다투는 것과 천하를 잃었다가 수복하는 것은 그 형세가 매우 다르다.
무릇 사람의 은 남이 소유한 것을 쓰는 것은 가볍게 여기고, 자신이 아끼는 것을 쓰는 것은 중하게 여기는 법이다.
가볍게 여기면 용감하고 중하게 여기면 겁을 내니, 이는 천하를 다투는 것과 천하를 잃었다가 수복하는 것이 다른 까닭이다.
옛날 나라 고제高帝삼척검三尺劍을 잡고 5년 만에 제업帝業을 이룩하였으니, 어쩌면 그렇게도 빨랐는가.
고제高帝풍패豐沛의 미천한 신분으로 일어나서 한 자의 땅도 소유하지 못하였으니, 군대는 나라 군대였고 곡식은 나라 곡식이었고 성읍은 나라의 성읍城邑이었다.
자기 백성이 아닌 자들을 부리고 자기의 곡식이 아닌 것을 먹고 자기 성읍城邑이 아닌 곳을 거두었다.
그러므로 자기 마음대로 행할 수 있어서 수십 개의 을 적에게 내주고도 이것을 잃는 것을 안타까워하지 않고, 수천 리의 땅을 떼어서 세 명의 장수에게 주는 것을 아까워하지 않았으며, 수수睢水에서 포위당하고 형양滎陽에서 탈출할 때에 거의 죽을 뻔했는데도 쇠하지 않은 것이다.
필부匹夫로서 천하를 다툴 때에 다행히도 성공注+[頭註]은 이룸이다. 하면 제왕帝王이 될 것이요, 불행히도 성공하지 못한다면 내가 저 천운天運을 어찌하겠는가.
고제高帝는 또한 용감하게 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나라 원제元帝가 남쪽으로 건너올 때에 강도江都의 아름다운 경치를 어루만지고 오회吳會注+[頭註]오지吳地형주荊州양주揚州교주交州광주廣州도회지都會地(모두 모이는 곳)이다. 지방의 풍요로움을 겸하였으니, 또한 충분히 분발할 수 있었으나 죽을 때까지 침략당한 강토를 지척咫尺도 돌려받지 못한 것은 다른 이유가 없다.
그 마음속으로 한 귀퉁이에 스스로 의탁할 수 있음을 아까워해서 벌벌 떨며 행여 이것을 쓰다가 아울러 그것마저 잃을까 두려워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가 말하기를 ‘이는 또한 형세가 그러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삼대三代 이후에 중흥中興광무제光武帝보다 더 쉬운 사람이 없었으니, 어째서 광무제光武帝만 홀로 능하였겠는가.
이는 그 형세가 또한 고제高帝의 형세였고 광무제光武帝가 또한 고제高帝의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史略 사평史評]史斷에 말하였다.
원제元帝는 본래 우씨牛氏의 아들인데 거짓으로 전오典午(司馬氏)의 후예後裔라 하고 강표江表(江南)에 도망가 있었다.
천하天下의 선비와 백성 중에 나라를 그리워하는 자들이 모두 양식을 싸 가지고 그에게 돌아가서 중외中外에서 제위帝位에 오를 것을 권하였으나 거절하고 따르지 않다가 민제愍帝가 살해당하자 비로소 천자天子의 지위와 칭호를 바로잡았으니, 또한 충절忠節을 아는 자에 가까웠다.
더구나 천성天性이 간소하고 검약하며 직언直言을 받아들였다.
처음 강동江東진주鎭駐했을 때에 한창 술에 빠졌는데, 왕도王導정색正色하고 직간直諫하자 급히 술잔을 가져다 엎어 버리도록 명하였으며, 총애하는 정부인鄭夫人은 옷에 문채가 없었고 삼베 장막에 마전한 삼베로 휘장을 만들었으며, 형벌을 자세히 살피고 교화를 간략히 하였으니, 사관史官중흥中興을 크게 열었다고 칭찬한 것이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러나 원제元帝재구才具(재능)가 넉넉하지 못하고 지기志氣가 원대하지 못하였다.
처음에 회제懷帝의 명령으로 강좌江左(江東)에 와서 임하였으니, 나라에 위급한 일이 있으면 진실로 의병義兵을 규합하여 들어가서 왕실王室을 호위했어야 할 터인데, 마침내 자신이 제후諸侯에 봉해질 계책만 세우고 강개慷慨하여 세상을 구제할 뜻이 없었다.
그리하여 회제懷帝가 마침내 몽진蒙塵하였으나 끝내 근왕勤王하는 일을 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으며, 민제愍帝가 뒤를 이어 즉위하자 더욱 중하게 위임하고 조서詔書의 내용이 깊고 간절하였으니 마땅히 마음을 움직였어야 할 터인데, 도리어 신주神州(中國)가 외적에게 망하고 오랑캐의 군마軍馬가 종횡으로 치달리는 것을 앉아서 보기만 하고 일찍이 개의介意치 않았다.
그리고 또 겉으로 출병하는 체하면서 지체하고 전진하지 않아서 마침내 하남河南 지방으로 하여금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는 오랑캐의 풍속에 빠지게 하였으니, 애석하다.
군부君父의 부탁을 받았으면서 화변禍變을 앉아서 보기만 하고 시사時事의 어려움을 이용하여 요행을 바라 자신에게 이롭게 하여 삼강三綱이 매몰되었으니, 어찌 역적逆賊을 토벌할 수 있었겠는가.
이 때문에 건국建國규모規模가 또한 다시 떨쳐지지 못하였고 난신적자亂臣賊子 중에 왕돈王敦과 같은 자가 미처 발길을 돌리기도 전에 나왔으니, 어찌 유래한 바가 없이 그러했겠는가.”


역주
역주1 : 이
역주2 : 의
역주3 百口 : 백 명의 식구라는 뜻으로, 全家 또는 近親 一族을 이르는 말이다.
역주4 托孤 : 《論語》 〈泰伯〉에 “六尺의 어린 군주를 맡길 만하고 百里(諸侯國)의 政令을 부탁할 만하며 大節에 임해서 그 절개를 빼앗을 수 없다면 君子다운 사람인가? 君子다운 사람이다.[可以託六尺之孤 可以寄百里之命 臨大節而不可奪也 君子人與 君子人也]”라고 보이는 바, 어린 군주를 보필하여 國政을 대행하게 함을 이른다.
역주5 : 의
역주6 : 돈
역주7 唐人有言……而子孫不能以天下取河北 : 이 내용은 歐陽脩의 〈讀李翶文〉에 보이며, 唐人은 李翶를 말한다.
역주8 典午 : 司馬氏를 가리킨다. 典은 맡는다는 뜻으로 司와 같고, 午는 十二支 중에 말[馬]에 해당하므로 이렇게 칭한 것이다.
역주9 神州陸沈 : 神州는 赤縣神州의 줄임말로 中國을 가리키며, 陸沈은 나라가 외적에게 함몰당함을 이른다.

통감절요(5)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