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3)

통감절요(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癸卯]十九年이라
郭后旣廢 太子彊 意不自安이라
郅惲 說太子曰 久處疑位 下近危殆 不如辭位하야 以奉養母氏라하야늘
太子從之하야 數因左右及諸王하야 陳其懇誠하고 願備藩國하니 不忍遲回注+[釋義]不決意貌 或遲待回避也者 數歲
六月 詔曰 春秋之義 立子以貴注+[釋義]公羊傳云 隱元年 立適以長이요 不以賢하며 立子以貴 不以長이라한대 註云 適 謂適夫人之子 尊無與敵이라 故以齒 謂左右媵及姪娣之子 位有貴賤하고 又防其同時而生이라 故以貴也라하니라하니 東海王陽 皇后之子 宜承大統이요 皇太子彊 崇執謙退하야 願備藩國하니 父子之情注+[釋義]猶難也久違之
其以彊爲東海王하고 立陽爲皇太子하고 改名莊하라
〈出本紀〉
袁宏論曰
夫建太子 所以重宗統, 一民心也 非有大惡於天下 不可移也
世祖中興漢業하니 宜遵正道하야 以爲後法이라
今太子之德 未虧於外어늘 內寵旣多하야 嫡子遷位하니 可謂失矣
이나 東海歸藩 謙恭之心彌亮하고 明帝承統 友于之情愈篤하니 雖長幼易位하고 興廢不同이나 父子兄弟 至性無間이라
夫以三代之道處之라도 亦何以過乎
[新增]胡氏曰
春秋之義 立子以長하고 不以功하며 以德하고 不以貴하니 無立子以貴之說也
借如立貴者라도 彊非后子乎
蓋不得於義故 不得於言하야 曰 春秋之義 立子以貴하니 東海王陽 皇后之子 宜承大統이라하니 則是得失之分 不待辨而自明矣니라
以桓榮爲하야 使授太子經하고 車駕幸太學하니 諸博士 論難於前할새 辨明經義하야 儒者莫之及이라
特加賞賜하다
○ 陳留董宣 爲雒陽令이러니 湖陽公主蒼頭 白日殺人하고 因匿主家하니 吏不能得이라
及主出行 以奴驂乘이어늘 於夏門亭 候之라가 駐車叩馬注+[頭註] 牽馬也 音口 持也하고 以刀畫地하야 大言數注+[釋義]計其失而一一責之主之失하고 叱奴下車하야 因格殺注+[釋義]謂不用器械而白手殺之하다
主卽還宮訴帝한대 帝大怒하야 召宣欲殺之러니 叩頭曰 願乞一言而死하노이다
帝曰 欲何言 宣曰 陛下聖德中興이어시늘 而縱奴殺人하시니 將何以治天下乎잇가
不須箠
請得自殺하노이다하고 卽以頭擊楹하야 流血被面이라
帝令小黃門으로 持之하고 使宣叩頭謝主한대 不從이어늘 彊使頓之하니 兩手據地하고 終不肯俯
主曰 文叔 爲白衣時 藏亡匿死호되 吏不敢至門이러니 今爲天子하야 威不能行一令乎
帝笑曰 天子不與白衣同이라하고 因勅彊注+[釋義]言不低屈也項令出하고 賜錢三十萬하니 悉以班諸吏하다
由是 能搏擊豪彊하니 京師莫不震慄이러라
〈出宣本傳〉


건무建武 19년(계묘 43)
곽후郭后가 폐위되자 태자太子 은 마음이 스스로 편안하지 못하였다.
질운郅惲태자太子를 설득하기를 “오랫동안 의심스러운 자리에 있으면 위로는 효도에 어긋나고 아래로는 위태로움에 가까우니, 태자太子의 지위를 사양하여 어머니를 봉양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였다.
태자太子가 그의 말을 따라 자주 황제의 좌우 신하들과 제왕諸王들을 통하여 자신의 간곡한 정성을 아뢰고 번국藩國에 갖추어지기를 원하니, 이 차마 태자太子를 폐위하지 못하여 머뭇거리고 지체한注+[釋義]지회遲回는 뜻을 결정하지 않는 모양이다. 혹은 늦춰 기다리고 회피하는 것이다. 지가 여러 해였다.
6월에 조서詔書를 내리기를 “《춘추春秋》의 의리義理에 아들을 세울 때에는 신분의 귀함으로써 하였으니,注+[釋義]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 이르기를 “은공隱公 원년元年적자適子(嫡子)를 세울 때에는 연장자로써 하고 어진 자로써 하지 않으며, 아들(庶子)을 세울 때에는 귀함으로써 하고 연장자로써 하지 않는다.” 하였는데, 에 이르기를 “적부인適夫人의 아들을 이르니 높음이 대적할 자가 없으므로 연치年齒로써 하는 것이요, 아들은 좌우의 잉첩媵妾과 황후의 조카와 여동생의 아들을 이르니 지위에 귀천이 있고 또 동시에 태어났을 경우 발생하는 우환을 막으려 하기 때문에 귀함으로써 하는 것이다.” 하였다. 동해왕東海王 은 황후의 아들이어서 마땅히 대통大統을 이어야 할 것이요, 황태자皇太子 은 겸손함을 높여 지켜서 번국藩國에 갖추어지기를 원하니, 부자父子정리상情理上 오랫동안 그 뜻을 어기기가 어렵다.注+[釋義](어렵게 여김)과 같다.
동해왕東海王으로 삼고 을 세워 황태자로 삼고 이름을 으로 고친다.” 하였다.
- 《후한서後漢書 광무제기光武帝紀》에 나옴 -
원굉袁宏의 《후한기後漢紀》 〈광무황제기光武皇帝紀에 말하였다.
태자太子를 세움은 종통宗統을 중히 여기고 민심民心을 통일하는 것이니, 천하에 큰 악행이 있지 않으면 바꿀 수가 없다.
세조世祖나라의 기업을 중흥하였으니, 정도正道를 따라서 후세의 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제 태자太子이 밖에 훼손됨이 없는데 안에 총애받는 자가 이미 많아서 적자嫡子가 지위를 옮겼으니, 잘못이라고 이를 만하다.
그러나 동해왕東海王번병藩屛으로 돌아갈 때에 겸손하고 공손한 마음이 더욱 드러났고 명제明帝대통大統을 이을 때에 형제간에 우애하는 이 더욱 돈독하였으니, 비록 장유長幼의 자리가 뒤바뀌고 흥폐興廢가 똑같지 않으나 부자간과 형제간의 지극한 성품이 간극間隙이 없었다.
삼대三代로써 대처한다 하더라도 또한 어찌 이보다 더하겠는가.”
[新增]胡氏가 말하였다.
“《춘추春秋》의 의리義理에 아들을 세울 때에는 연장年長으로써 하고 으로써 하지 않으며 으로써 하고 귀함으로써 하지 않으니, 아들을 세울 때에 귀함으로써 한다는 말이 없다.
가령 귀한 자를 세운다 하더라도 후비后妃의 아들이 아닌가.
에 맞지 않기 때문에 말을 제대로 할 수가 없어서 말하기를 ‘《춘추春秋》의 의리義理태자太子를 세울 때에는 신분의 귀함으로써 하였으니, 동해왕東海王 은 황후의 아들이어서 마땅히 대통大統을 이어야 한다.’ 하였으니, 이는 잘잘못의 구분이 변론하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저절로 분명해진다.”
환영桓榮의랑議郞으로 삼아서 태자太子에게 경서經書를 가르치게 하고 어가御駕태학太學에 행차하니, 마침 여러 박사博士들이 임금의 앞에서 논난論難하였는데 환영桓榮경서經書의 뜻을 분명하게 밝혀서 학자들 중에 그를 따라갈 자가 없었다.
이에 특별히 그에게 상사賞賜를 가하였다.
진류陳留동선董宣낙양령雒陽令이 되었는데, 호양공주湖陽公主의 종이 백주白晝에 사람을 죽이고는 인하여 공주의 집에 숨으니, 관리가 체포하지 못하였다.
공주가 출행出行할 때에 그 종으로 하여금 참승驂乘을 하게 하였는데, 동선董宣하문정夏門亭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수레를 멈추고 말고삐를 잡고는注+[頭註]는 말을 끄는 것이다. 음이 구이니 붙잡는 것이다. 칼로 땅을 그으며 큰 소리로 공주의 잘못을 수죄數罪注+[釋義]는 그 잘못을 따져서 하나하나 꾸짖는 것이다. 하고, 종을 꾸짖어 수레에서 내리게 한 다음 인하여 맨손으로 쳐서 죽였다.注+[釋義]격살格殺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죽임을 이른다.
공주가 즉시 궁중으로 돌아와 황제에게 하소연하자, 황제가 크게 노하여 동선董宣을 불러 매를 때려 죽이려고 하였는데, 동선董宣이 머리를 조아리며 아뢰기를 “한마디 말씀을 올리고 죽기를 원합니다.” 하였다.
황제가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가?” 하니, 동선董宣이 아뢰기를 “폐하께서 성덕聖德으로 중흥하셨는데 종을 풀어놓아 사람을 죽이시니, 장차 어떻게 천하를 다스리려 하십니까?
신은 굳이 매를 때리실 필요가 없습니다.
청컨대 스스로 죽겠습니다.” 하고는 즉시 머리를 기둥에 부딪쳐서 피가 흘러 얼굴을 뒤덮었다.
황제가 소황문小黃門(宦官)으로 하여금 그를 붙잡게 하고 동선董宣으로 하여금 머리를 조아려 공주에게 사죄하게 하였는데, 동선董宣이 따르지 않으므로 억지로 머리를 조아리게 하니, 동선董宣이 양손으로 땅을 짚고 버티어 끝내 고개를 숙이려 하지 않았다.
공주가 말하기를 “문숙文叔(光武帝의 )이 백의白衣(평민)로 있었을 때에는 도망온 자를 감추어 주고 죽을 죄를 지은 자를 숨겨 주었으나 관리들이 감히 집에 이르지 못하였는데, 지금 천자天子가 되어서는 위엄이 한 현령縣令에게도 행해지지 못한단 말인가?” 하였다.
황제가 웃으며 말하기를 “천자天子백의白衣와 같지 않다.” 하고는 인하여 목을 뻣뻣이 펴고注+[釋義]은 고개를 숙이지 않음을 말한다. 나가도록 명하고 30만 을 하사하니, 동선董宣이 이것을 모두 여러 관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로 말미암아 호걸스럽고 강한 자들을 마음대로 공격하게 되니 경사京師에 두려워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 《후한서後漢書 동선전董宣傳》에 나옴 -


역주
역주1 上違孝道 : 母后인 郭后가 폐위되었는데 太子 彊이 그대로 태자의 지위에 있으면 이는 孝養의 도리에 어긋나는 것이다.
역주2 議郞 : 漢代에 설치한 官名으로 光祿勳에 소속된 郞官의 하나이다. 품계가 六百石에 이르렀는데, 賢良하고 方正한 선비를 뽑아 임용하였다.
역주3 : 추

통감절요(3)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