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5)

통감절요(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丁丑]二十年이라 〈魏甘露二年이요 吳太平二年이라
秋九月 姜維聞魏分關中兵하야 以赴淮南하고 率數萬人하야 出駱谷하니 安西將軍鄧艾 進兵據之하야 以拒維하다
是時 維數出兵하니 蜀人 愁苦어늘 譙周作仇國論注+[通鑑要解]吾聞之하니 處大無患者 常多慢이요 處小有憂者 常思善이라하니 多慢生亂이요 思善生治 今民之疲勞하니 則騷擾之兆生이요 上慢下暴하니 則瓦解之形起 諺曰 射幸數跌 不如審發이라하니 上是論也하야 以諷之하다


연희延熙 20년(정축 257) - 나라 감로甘露 2년이고, 나라 태평太平 2년이다. -
가을 9월에 강유姜維나라가 관중關中의 병력을 나누어 회남淮南으로 달려간다는 말을 듣고는 수만 명을 거느리고 낙곡駱谷으로 진출하니, 안서장군安西將軍 등애鄧艾가 진군하여 점거하고 강유姜維를 막았다.
이때 강유姜維가 군대를 자주 출동시키니, 지방 사람들이 근심하고 괴로워하였는데, 초주譙周구국론仇國論을 지어서注+[通鑑要解]구국론仇國論에 “내가 듣건대 ‘큰 나라에 거하여 우환이 없는 자는 항상 태만함이 많고, 작은 나라에 거하여 우환이 있는 자는 항상 을 생각한다.’ 하였으니, 태만함이 많으면 이 생겨나고 을 생각하면 다스림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지금 백성들이 피로하니 소요할 조짐이 생겨나고, 윗사람은 태만하고 아랫사람은 사나우니 와해될 형세가 시작된 것이다. 속담에 이르기를 ‘활을 쏠 때에 요행을 바라다가 여러 번 빗나가는 것이 신중히 살핀 뒤에 발사하는 것만 못하다.’ 했다.” 하였으니, 이 의논을 올린 것이다. 풍자하였다.


역주
역주1 譙周作仇國論 : 譙周는 삼국 시대 蜀漢 사람으로 天文에 밝았다. 諸葛亮에 의해 천거되어 太子의 家令이 되었고 光祿大夫에 이르렀다. 그 뒤 魏나라가 쳐들어오자 後主에게 항복을 권유하니, 後主가 이를 따라 항복하였다. 仇國論은 軍旅의 利害를 논한 것으로, 당시 전쟁이 잦아 백성들이 피폐하므로 譙周가 尙書令 陳祗와 그 이해를 논하고 물러 나와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통감절요(5)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