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9)

통감절요(9)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9)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戊午]〈周顯德五年이라 ○ 唐中興元年이요 南漢主鋹大寶元年이라
○ 是歲 凡五國, 三鎭이라
三月 周世宗 如迎鑾鎭注+[釋義]今眞州是 五代時 僞吳置迎鑾鎭이러니 宋改建安軍하고 眞宗時 陞眞州하니라 하야 屢至江口하야 遣水軍하야 擊唐兵破之하니
唐主聞世宗在江上하고 恐遂南渡하고 又恥降號稱藩하야 乃遣兵部侍郞陳覺하야 奉表請傳位於太子弘冀하야 使聽命於中國하니 淮南 惟廬, 舒, 鄿, 黃 未下
至迎鑾하야 見周兵之盛하고 白世宗하야 請遣人渡江取表하야 獻四州之地하고 畫江爲境하야 以求息兵호되 辭旨甚哀
世宗曰 朕本興師 止取江北이러니 今爾主能擧國內附하니 朕復何求리오
拜謝而退하야 遣其屬劉承遇注+[頭註]閤門承旨 하야 如金陵注+[頭註]唐所都 이라
世宗 賜唐主書호되 稱 皇帝恭問江南國主하노라하고 慰納之하다
唐主復遣承遇하야 奉表獻江北四州하고 歲輸貢物數十萬하니
於是 江北 悉平이라 得州十四 縣六十하다
是月 浚汴口하야 導河流하야 達于淮하니 於是 江淮舟檝(楫) 始通注+[頭註]此卽唐時運路也 自江淮爲南唐所據 運漕不通하야 水路湮塞이러니 今復浚之하니라하니라
○ 五月 唐主避周諱하야 更名景注+[通鑑要解]唐主 本名璟이니 以周太祖之高祖亦名璟이라하니라하다
○ 南漢中宗注+[頭註]漢晉王晟也 하니 長子衛王繼興 卽帝位하야 更名하다


무오(958) - 나라 현덕顯德 5년이다 ○ 남당南唐중흥中興 원년元年이고, 남한주南漢主 유창劉鋹대보大寶 원년元年이다.
○ 이해에 모두 다섯 나라이고 세 이다. -
3월에 나라 세종世宗영란진迎鑾鎭注+[釋義]영란진迎鑾鎭은 지금의 진주眞州가 이곳이다. 오대시대五代時代에 괴뢰정권인 나라가 영란진迎鑾鎭을 설치하였는데, 뒤에 나라가 건안군建安軍으로 개칭하고 진종眞宗 때에 진주眞州로 승격시켰다. 가서 여러 차례 강구江口에 이르러 수군을 보내 남당南唐의 군대를 격파하였다.
당주唐主세종世宗이 강가에 있다는 말을 듣고 마침내 남쪽으로 강을 건너올까 두렵고, 또 황제의 칭호를 폄강貶降하고 번신藩臣을 칭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마침내 병부시랑兵部侍郞 진각陳覺나라에 보내어 표문을 올려 태자太子 이홍기李弘冀에게 전위傳位할 것을 청하고 태자太子로 하여금 중원中原(周)의 명령을 듣게 하니, 이때 회수淮水 남쪽에 오직 여주廬州서주舒州기주鄿州황주黃州만이 아직 함락되지 않았다.
진각陳覺영란진迎鑾鎭에 이르러 나라 군대가 강성한 것을 보고 세종世宗에게 아뢰어서 사람을 보내 양자강을 건너가 표문表文을 가져와 네 의 땅을 바치고 을 국경으로 삼아서 전쟁을 중지할 것을 청하였는데, 내용이 매우 애처로웠다.
세종世宗이 말하기를 “이 본래 군대를 일으킨 것은 다만 강북江北을 취하려는 것이었는데, 이제 너의 군주가 온 나라를 들어 귀부歸附하니, 이 다시 무엇을 바라겠는가.” 하였다.
진각陳覺이 절하고 사례하고 물러가서 그의 관속인 유승우劉承遇注+[頭註]유승우劉承遇합문승지閤門承旨이다. 금릉金陵에 보내었다.注+[頭註]금릉金陵(南京)은 당나라가 도읍한 곳이다.
세종世宗당주唐主에게 내린 서신에 이르기를 “황제皇帝는 공손히 강남국주江南國主에게 묻노라.”라고 하여 위무하고 그를 받아들였다.
당주唐主가 다시 유승우劉承遇를 보내어 표문表文을 올려 강북江北의 네 를 바치고 해마다 공물貢物 수십만을 바치기로 하였다.
이에 강북江北이 모두 평정되어 14와 60을 얻었다.
이달에 변구汴口를 깊이 파서 황하黃河의 물을 인도하여 회수淮水에 도달하게 하니, 이에 강회江淮의 선박이 비로소 통하였다.注+[頭註]강회주즙江淮舟檝(楫) 시통始通:이는 나라 때 조운漕運하던 길이었다. 남당南唐에게 점거당한 뒤로 조운漕運이 통하지 아니하여 수로水路가 막혔는데, 지금 다시 통하게 된 것이다.
5월에 당주唐主나라의 를 피하여 이름을 으로 고쳤다.注+[通鑑要解]당주唐主는 본래 이름이 이니, 나라 태조太祖고조高祖도 이름이 이었다. 그러므로 피한 것이다.
남한南漢중종中宗이 죽으니,注+[頭註]남한南漢중종中宗나라의 진왕晉王 유성劉晟이다. 장자長子 위왕衛王 유계흥劉繼興이 황제에 즉위하여 이름을 으로 고쳤다.


역주
역주1 : 창

통감절요(9)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