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
번역서
동양고전
강의
검색
상세검색
특수문자입력기
특화서비스
지식관계망
개념용어
주소 비교
Open API
?
공지사항
자료실
論語注疏(1)
논어주소(1)
범례
|
해제
|
참고문헌
현토
원문
번역
원주
나란히 보기
글자확대
글자크기 초기화
글자축소
설정저장
출력
공유하기
URL
클립보드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Ctrl+C를 눌러 클립보드로 복사하시고 Ctrl+v로 붙여넣기 하세요.
오류신고
논어주소(1)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여닫기
논어주소(1)
흠정사고전서총목 논어정의 20권
논어주소해경서 서해
여닫기
학이 제1
○정의왈:자차지요왈, 시노논어이십편지명급제차야
1. 자왈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
2. 유자왈 기위인야효제요 이호범상자 선의니
3. 자왈 교언영색은 선의인이니라
4. 증자왈 오일삼성오신하노니
5. 자왈 도천승지국호되
6. 자왈 제자입즉효하고 출즉제하며 근이신하며 범애중이친인이니 행유여력이어든 즉이학문이니라
7. 자하왈 현현역이색하며
8. 자왈 군자부중즉불위니 학즉불고니라
9. 증자왈 신종추원이면 민덕귀후의리라
10. 자금문어자공왈 부자지어시방야에 필문기정하시니 구지여아 억여지여아
11. 자왈 부재관기지요 부몰관기행이니
12. 유자왈 예지용화위귀하니 선왕지도 사위미하니라 소대유지면 유소불행이요 지화이화요 불이예절지면 역불가행야니라
13. 유자왈 신근어의면 언가복야요
14. 자왈 군자식무구포하며 거무구안하며
15. 자공왈 빈이무첨하며 부이무교면 하여니잇고 자왈 가야나
16. 자왈 불환인지불기지요 환부지인야니라
여닫기
위정 제2
[소] 정의왈:좌전왈 “학이후입정.”
1. 자왈 위정이덕이 비여북신이 거기소어든 이중성공지니라
2. 자왈 시삼백이로되 일언이폐지하니 왈사무사니라
3. 자왈 도지이정하고 제지이형이면
4. 자왈 오십유오이지우학하고 삼십이립하고
5. 맹의자문효한대 자왈 무위니다
6. 맹무백이 문효한대 자왈 부모유기질지우시니라
7. 자유문효한대 자왈 금지효자는 시위능양이니
8. 자하문효한대 자왈 색난이라
9. 자왈 오여회언종일에 불위여우러니
10. 자왈 시기소이하며 관기소유하며
11. 자왈 온고이지신이면 가이위사의니라
12. 자왈 군자불기니라
13. 자공문군자한대 자왈 선행기언이후종지니라
14. 자왈 군자는 주이불비하고
15. 자왈 학이불사즉망하고 사이불학즉태니라
16. 자왈 공호이단이면 사해야이[의] 니라
17. 자왈 유아 회녀지지호ㄴ저
18. 자장이 학간록한대
19. 애공문왈 하위즉민복이닛고
20. 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인댄 여지하닛고
21. 혹위공자왈 자해불위정이닛고
22. 자왈 인이무신이면 부지기가야케라
23. 자장이 문 십세가지야잇가
24. 자왈 비기귀이제지는 첨야요
여닫기
팔일 제3
[소]정의왈:전편논위정. 위정지선
1. 공자위계씨하사대 팔일무어정하니 시가인야ㄴ댄 숙불가인야리오
2. 삼가자이옹철하니 자왈 상유벽공이어늘 천자목목을 해취어삼가지당고
3. 자왈 인이불인이면 여례하며 인이불인이면 여악하오
4. 임방이 문예지본한대 자왈 대재라 문이여
5. 자왈 이적지유군이 불여제하지무야니라
6. 계씨려어태산이어늘 자위염유왈 여불능구여아
7. 자왈 군자무소쟁이나 필야사호ㄴ저
8. 자하문왈 교소천혜며 미목변혜여 소이위현혜라하니 하위야잇고
9. 자왈 하례를 오능언지나 기부족징야며 은례를 오능언지나 송부족징야는
10. 자왈 체자기관이왕자론 오불욕관지의로라
11. 혹문체지설한대 자왈 부지야로라
12. 제여재하시며 제신여신재러시다
13. 왕손가문왈 여기미어오론 영미어조라하니 하위야오
14. 자왈 주감어이대면 욱욱호문재하니 오종주호리라
15. 자입태묘하사 매사문하신대
16. 자왈 사부주피하고 위력부동과가 고지도야니라
17. 자공욕거곡삭지희양한대
18. 자왈 사군진례를 인이위첨야라하나다
19. 정공문 군사신하고 신사군엔 여지하잇고
20. 자왈 관저는 낙이불음하고 애이불상이니라
21. 애공문사어재아한대 재아대왈 하후씨이송하고 은인이백하고 주인이률하니 왈사민전률이니이다
22. 자왈 관중지기소재ㄴ저
23. 자어노태사악왈 악기가지야니 시작에 흡여야하야
24. 의봉인청현왈 왈 군자지지어사야에 오미상부득견야라하야늘
25. 자위소하사대 진미의요 우진선야라하시고
26. 자왈 거상불관하며 위례불경하며 임상불애면 오하이관지재리오
여닫기
이인 제4
[소]정의왈:차편명인. 인자
1. 자왈 이인위미하니 택불처인이면 언득지리오
2. 자왈 불인자는 불가이구처약이며
3. 자왈 유인자야 능호인하며 능오인이니라
4. 자왈 구지어인의면 무악야리라
5. 자왈 부여귀는 시인지소욕야나 불이기도득지면 불처야하며
6. 자왈 아미견호인자와 오불인자케라 호인자는 무이상지요
7. 자왈 인지과야는 각어기당이니 관과면 사지인의니라
8. 자왈 조문도면 석사라도 가의니라
9. 자왈 사지어도오도 이치악의악식자는 미족여의야니라
10. 자왈 군자지어천하야에 무적야하며 무막야요 의지여비니라
11. 자왈 군자회덕하고 군자회형하고
12. 자왈 방어리이행이면 다원이니라
13. 자왈 능이예양위국호아 하유리오
14. 자왈 불환무위요 환소이립하며 불환막기지요 구위가지야니라
15. 자왈 삼호아 오도일이관지니라 증자왈 유라
16. 자왈 군자유어의하고 소인유어리니라
17. 자왈 견현사제언하며 견불현이내자성야니라
18. 자왈 사부모기간이니 견지부종이어든
19. 자왈 부모재어시든 불원유하며 유필유방이니라
20. 자왈 3년무개어부지도라야 가위효의니라
21. 자왈 부모지년을 불가부지야니 일즉이희하고 일즉이구니라
22. 자왈 고자언지불출은 치궁지불체야니라
23. 자왈 이약실지자 선의니라
24. 자왈 군자는 욕눌어언이민어행이니라
25. 자왈 덕불고라 필유린이니라
26. 자유왈 사군속이면 사욕의요 붕우속이면 사소의니라
여닫기
공야장 제5
[소]정의왈:차편대지, 명현인군자인지강직
1. 자위공야장하사대 가처야로다 수재유설지중이나 비기죄야라하시고 이기자처지하시다
2. 자위남용하사대 방유도에 불폐하고 방무도에 면어형륙이라하시고 이기형지자처지하시다
3. 자위자천하사대 군자재라 약인이여
4. 자공문왈 사야하여하니잇고 자왈 여는 기야니라
5. 혹왈 옹야인이불녕이로다
6. 자사칠조개사하신대 대왈 오사지미능신이로이다
7. 자왈 도불행하니 승부부우해호리라 종아자는 기유여ㄴ저
8. 맹무백문 자로인호잇가 자왈 부지야로라
9. 자위자공왈 여여회야숙유오
10. 재여주침이어늘 자왈 후목불가조야며
11. 자왈 오미견강자케라 혹대왈 신정이니이다
12. 자공왈 아불욕인지가저아야하니 오역욕무가저인하노이다
13. 자공왈 부자지문장하야 가득이문야어니와
14. 자로유문이나 미지능행이면 유공유문하더라
15. 자공문왈 공문자하이위지문야잇가
16. 자위자산하사대 유군자지도사언하니
17. 자왈 안평중은 선여인교로다 구이경지온여
18. 자왈 장문중거채호대 산절조절하니
19. 자장문왈 영윤자문이 삼사위영윤호대 무희색하며
20. 계문자삼사이후행이라하니 자문지하시고 왈 재라도 사가의리라
21. 자왈 영무자가 방유도즉지하고 방무도즉우하니
22. 자재진왈 귀여ㄴ저 귀여ㄴ저 오당지소자광간하야 비연성장이요 부지소이재지니라
23. 자왈 백이숙제는 불념구악이라 원시용희니라
24. 자왈 숙위미생고직고 혹걸혜언이어늘 걸저기린이여지온여
25. 자왈 교언영색주공을 좌구명치지러니 구역치지하노라 / 주
26. 안연계로시러니 자왈 합각언이지오 자로왈 원거마의경구를 여붕우공하야 폐지이무감하노이다
27. 자왈 이의호라 오미견능견기과이내자송자야케라
28. 자왈 십실지읍에 필유충신여구자언이어니와 불여구지호학야니라
여닫기
옹야 제6
[소]정의왈:차편역논현인
1. 자왈 옹야는 가사남면이니라
2. 중궁문자상백자한대 자왈 가야간이니라
3. 애공문 제자숙위호학이닛고 공자대왈 유안회자호학하야 불천노하며 불이과하더니 불행단명사의라 금야즉무하니 미문호학자야케이다
4. 자화시어제에 염자위기모청속하니 자왈 여지부하라
5. 원사위지재라 여지속구백하신대 사어늘
6. 자위중궁왈 이우지자성차각이면 수욕물용이나 산천기사저아
7. 자왈 회야는 기심삼월불위인이요 기여즉일월지언이이의니라
8. 계강자문 중유가사종정야여잇가 자왈 유야과하니
9. 계씨사민자건위비재하니
10. 백우유질이어늘 자문지하실새 자유집기수하시고
11. 자왈 현재라 회야여 일단사와 일표음으로
12. 염구왈 비불열자지도언마는 역부족야로이다 자왈 역부족자는 중도이폐하나니라 금여획이니라
13. 자위자하왈 여위군자유요 무위소인유하라
14. 자유위무성재러니 자왈 여득인언이호아
15. 자왈 맹지반은 불벌이로다
16. 자왈 불유축타지녕이요 이유송조지미면 난호면어금지세의니라
17. 자왈 수능출불유호리오마는 하막유사도야오
18. 자왈 질승문즉야하고 문승질즉사니
19. 자왈 인지생야직이어늘 망지생야는 행이면이니라
20. 자왈 지지자불여호지자요 호지자불여낙지자니라
21. 자왈 중인이상은 가이어상야어니와 중인이하는 불가이어상야니라
22. 번지문지한대 자왈 무민지의하고
23. 자왈 지자요수하고
24. 자왈 제일변이면 지어노하고 노일변이면 지어도니라
25. 자왈 고불고면 고재고재아
26. 재아문왈 인자는 수고지왈 정유인언이면 기종지야잇가
27. 자왈 군자박학어문이요 약지이례면 역가이불반의부ㄴ저
28. 자견남자하신대 자로불열하니 부자시지왈 여소부자ㄴ댄 천염지시리라 천염지시리라
29. 자왈 중용지위덕야 기지의호ㄴ저 민선구의니라
30. 자공왈 여유박시어민이능제중인댄 하여하니잇고 가위인호잇가 자왈 하사어인이리오 필야성호ㄴ저 요순기유병저시니라
여닫기
술이 제7
[소]정의왈:차편개명공자지지행야
1. 자왈 술이부작하며 신이호고를 절비어아노팽하노라
2. 자왈 묵이지지하며 학이불염하며 회인불권이 하유오 어아재ㄴ저
3. 자왈 덕지불수와 학지불강과 문의불능사와 불선불능개가 시오우야니라
4. 자지연거에 신신여야하시며 요요여야러시다
5. 자왈 심의라 오쇠야여 구의로다 오불부몽견주공이여
6. 자왈 지어도하고 거어덕하고
7. 자왈 자행속수이상은 오미상무회언이로라
8. 자왈 불분불계하며 불비불발하며 거일우불이삼우반이면 즉불부야니라
9. 자식어유상자지측에 미상포야러시다
10. 자어시일곡이면 즉불가러시다
11. 자위안연왈 용지즉행하고 사지즉장은 유아여이유시부ㄴ저
12. 자왈 부이가구야ㄴ댄 수집편지사라도 오역위지어니와
13. 자지소신은 재전질이러시다
14. 자재제문소하시고 삼월부지육미하사
15. 염유왈 부자위위군호아
16. 자왈 반소사음수하고 곡굉이침지라도 낙역재기중의니
17. 자왈 가아수년이면 50이니 이학역이면 가이무태과의리라
18. 자소아언은 시서집례에 개아언야러시다
19. 섭공문공자어자로어늘 자로부대한대
20. 자왈 아비생이지지자라 호고민이구지자야니라
21. 자불어괴력난신이러시다
22. 자왈 삼인행이면 필유아사언하니 택기선자이종지하고 기불선자이개지니라
23. 자왈 천생덕어여시니 환퇴기여여하리오
24. 자왈 이삼자이아위은호아 오무은호이라
25. 자이사교하시니 문행충신이러시다
26. 자왈 성인을 오부득이견지의어든 득견군자자면 사가의니라
27. 자는 조이불강하시며 익불석숙이러시다
28. 자왈 개유부지이작지자로되 아무시야로라
29. 호향난여언이러니 동자현커늘 문인혹하다
30. 자왈 인원호재아 아욕인이면 사인지의리라
31. 진사패문 소공지례호잇가
32. 자여인가이선이어든 필사반지하시고 이후화지러시다
33. 자왈 문막오유인야며 궁행군자는 즉오미지유득호라
34. 자왈 약성여인은 즉오기감이리오
35. 자질병이어시늘 자로청도한대
36. 자왈 사즉불손하고 검즉고니 여기불손야론 영고니라
37. 자왈 군자탄탕탕하고 소인장척척이니라
38. 자온이려하시며 위이불맹하시며 공이안이러시다
여닫기
논어주소(2)
여닫기
泰伯 第八
[疏]正義曰 : 此篇論禮讓…
1. 子曰 泰伯은 其可…
2. 子曰 恭而無禮則勞…
3. 曾子有疾에 召門弟…
4. 曾子有疾이어시늘 …
5. 曾子曰 以能問於不能…
6. 曾子曰 可以託六尺…
7. 曾子曰 士不可以不弘毅…
8. 子曰 興於詩하고 …
9. 子曰 民可使由之어…
10. 子曰 好勇疾貧은…
11. 子曰 如有周公之…
12. 子曰 三年學이요…
13. 子曰 篤信好學하…
14. 子曰 不在其位면…
15. 子曰 師摰之始에…
16. 子曰 狂而不直하…
17. 子曰 學如不及이…
18. 子曰 巍巍乎라 …
19. 子曰 大哉라 堯…
20. 舜有臣五人而天下…
21. 子曰 禹는 吾無…
여닫기
子罕 第九
[疏]正義曰 : 此篇皆論孔…
1. 子罕言利與命與仁이…
2. 達巷黨人曰 大哉孔…
3. 子曰 麻冕이 禮也…
4. 子絶四하시니 毋意…
5. 子畏於匡에 …
6. 大宰問於子貢曰 夫…
7. 牢曰 子云 吾不試…
8. 子曰 吾有知乎哉아…
9. 子曰 鳳鳥不至하며…
10. 子見齊衰者와 冕…
11. 顔淵喟然歎曰 …
12. 子疾病하시니 …
13. 子貢曰 有美玉於…
14. 子欲居九夷하신대…
15. 子曰 吾自衛反魯…
16. 子曰 出則事公卿…
17. 子在川上曰 逝者…
18. 子曰 吾未見好德…
19. 子曰 譬如爲山에…
20. 子曰 語之而不惰…
21. 子謂顔淵曰 惜乎…
22. 子曰 苗而不秀者…
23. 子曰 後生可畏니…
24. 子曰 法語之言을…
25. 子曰 主忠信하며…
26. 子曰 三軍可奪帥…
27. 子曰 衣敝縕袍하…
28. 子曰 歲寒然後에…
29. 子曰 知者不惑하…
30. 子曰 可與共學이…
여닫기
鄕黨 第十
[疏]正義曰 : 此篇唯記孔…
1. 孔子於鄕黨에 恂恂…
2. 君召使擯이어시든 …
3. 入公門하실새 鞠躬…
4. 執圭에 鞠躬如也하…
5. 君子는 不以紺緅飾하…
6. 齊必變食하시며 …
7. 席不正이어든 不坐…
8. 鄕人儺에 朝服而立…
9. 問人於他邦하실새 …
10. 康子饋藥이어늘 …
11. 廐焚이어늘 子退…
12. 君賜食이어시든 …
13. 疾에 君視之어시…
14. 君命召어시든 不俟駕行矣…
15. 入太廟하사 每事…
16. 朋友死하야 無所…
17. 朋友之饋는 雖車…
18. 寢不尸하시며 …
19. 見齊衰(자최)者…
20. 升車에 必正立執…
21. 色斯擧矣하야 …
여닫기
先進 第十一
[疏]正義曰 : 前篇論夫子…
1. 子曰 先進於禮樂에…
2. 子曰 從我於陳蔡者…
3. 子曰 回也는 非助…
4. 子曰 孝哉라 閔子…
5. 南容三復白圭하니…
6. 季康子問 弟子孰爲…
7. 顔淵死에 顔路請子…
8. 顔淵死에 子曰 噫…
9. 顔淵死에 子哭之慟…
10. 顔淵死에 門人欲…
11. 季路問事鬼神한대…
12. 閔子侍側에 誾誾…
13. 魯人爲長府어늘 閔…
14. 子曰 由之瑟을 …
15. 子貢問 師與商也…
16. 季氏富於周公이어…
17. 柴也는 愚하고…
18. 子曰 回也는 其…
19. 子張問善人之道한…
20. 子路問聞斯行諸잇…
21. 子畏於匡에 顔淵…
22. 季子然問 仲由冉…
23. 子路使子羔爲費宰…
24. 子路曾晳冉有公西…
여닫기
顔淵 第十二
[疏]正義曰 : 此篇論仁政…
1. 顔淵問仁한대 子曰…
2. 仲弓問仁한대 子曰…
3. 司馬牛問仁한대 子…
4. 司馬牛問君子한대 …
5. 司馬牛憂曰 人皆有…
6. 子張問明한대 子曰…
7. 子貢問政한대 子曰…
8. 棘子成曰 君子質而…
9. 哀公問於有若曰 年…
10. 子張問崇德辨惑한…
11. 齊景公이 問政於…
12. 子曰 片言可以折…
13. 子曰 聽訟吾猶人…
14. 子張問政한대 子…
15. 子曰 博學於文이…
16. 子曰 君子成人之…
17. 季康子問政於孔子…
18. 季康子患盜하야 …
19. 季康子問政於孔子…
20. 子張問 士何如라…
21. 樊遲從遊於舞雩之…
22. 樊遲問仁한대 子…
23. 子貢問友한대 子…
24. 曾子曰 君子는 …
여닫기
子路 第十三
[疏]正義曰 : 此篇論善人…
1. 子路問政한대 子曰…
2. 仲弓爲季氏宰하야 …
3. 子路曰 衛君待子而…
4. 樊遲請學稼한대 子…
5. 子曰 誦詩三百호되…
6. 子曰 其身正이면 …
7. 子曰 魯衛之政은 …
8. 子謂衛公子荊하사대…
9. 子適衛하실새 冉有…
10. 子曰 苟有用我者…
11. 子曰 善人爲邦百…
12. 子曰 如有王者라…
13. 子曰 苟正其身矣…
14. 冉子退朝어늘…
15. 定公問一言而可以…
16. 葉(섭)公問政한…
17. 子夏爲莒父(보)…
18. 葉公語孔子曰 吾…
19. 樊遲問仁한대 子…
20. 子貢問曰 何如라…
21. 子曰 不得中行而…
22. 子曰 南人有言曰…
23. 子曰 君子는 和…
24. 子貢問曰 鄕人皆…
25. 子曰 君子는 易…
26. 子曰 君子는 泰…
27. 子曰 剛毅木訥이…
28. 子路問曰 何如라…
29. 子曰 善人이 敎…
30. 子曰 以不敎民戰…
여닫기
憲問 第十四
[疏]正義曰 : 此篇論三王…
1. 憲問恥한대 子曰 …
2. 子曰 士而懷居면 …
3. 子曰 邦有道엔 危…
4. 子曰 有德者는 必…
5. 南宮适이…
6. 子曰 君子而不仁者…
7. 子曰 愛之면 能勿…
8. 子曰 爲命이면 裨…
9. 或問子産한대 子曰…
10. 子曰 貧而無怨은…
11. 子曰 孟公綽爲趙…
12. 子路問成人한대 …
13. 子問公叔文子於公…
14. 子曰 臧武仲以防…
15. 子曰 晉文公은 …
16. 子路曰 桓公殺公…
17. 子貢曰 管仲은 …
18. 公叔文子之臣大夫…
19. 子言衛靈公之無道…
20. 子曰 其言之不怍…
21. 陳成子弑簡公이어…
22. 子路問事君한대 …
23. 子曰 君子는 上…
24. 子曰 古之學者는…
25. 蘧伯玉使人於孔子…
26. 子曰 不在其位하…
27. 子曰 君子는 恥…
28. 子曰 君子道者三…
29. 子貢方人이어늘 …
30. 子曰 不患人之不己知…
31. 子曰 不逆詐하며…
32. 微生畝謂孔子曰 …
33. 子曰 驥는 不稱…
34. 或曰 以德報怨이…
35. 子曰 莫我知也夫…
36. 公伯寮愬子路於季…
37. 子曰 賢者辟…
38. 子路宿於石門이러…
39. 子擊磬於衛에 有…
40. 子張曰 書云 高…
41. 子曰 上好禮면 …
42. 子路問君子한대 …
43. 原壤이 夷俟러니…
44. 闕黨童子將命이어…
여닫기
논어주소(3)
여닫기
衛靈公 第十五
[疏]正義曰 : 此章記孔子…
1. 衛靈公問陳於孔子한…
2. 子曰 賜也아 女以…
3. 子曰 由는 知德者…
4. 子曰 無為而治者는…
5. 子張問行한대 子曰…
6. 子曰 直哉라 史魚…
7. 子曰 可與言而不與…
8. 子曰 志士仁人은 …
9. 子貢問為仁한대 子…
10. 顏淵問為邦한대 …
11. 子曰 人無遠慮면…
12. 子曰 已矣乎라 …
13. 子曰 臧文仲其竊…
14. 子曰 躬自厚而薄…
15. 子曰 不曰如之何…
16. 子曰 群居終日에…
17. 子曰 (君子)義以為質하고
18. 子曰 君子病無能…
19. 子曰 君子疾沒世…
20. 子曰 君子求諸己…
21. 子曰 君子矜而不爭…
22. 子曰 君子不以言…
23. 子貢問曰 有一言…
24. 子曰 吾之於人也…
25. 子曰 吾猶及史之…
26. 子曰 巧言亂德하…
27. 子曰 衆惡之라도…
28. 子曰 人能弘道요…
29. 子曰 過而不改를…
30. 子曰 吾嘗終日不食…
31. 子曰 君子謀道不謀食…
32. 子曰 知及之오도…
33. 子曰 君子不可小…
34. 子曰 民之於仁也…
35. 子曰 當仁하얀 …
36. 子曰 君子貞而不諒…
37. 子曰 事君호되 …
38. 子曰 有敎無類니…
39. 子曰 道不同이면…
40. 子曰 辭達而已矣…
41. 師冕見이어…
여닫기
季氏 第十六
[疏]正義曰 : 此篇論天下…
1. 季氏將伐顓臾러니 …
2. 孔子曰 天下有道면…
3. 孔子曰 祿之去公室…
4. 孔子曰 益者三友요…
5. 孔子曰 益者三樂이…
6. 孔子曰 侍於君子有…
7. 孔子曰 君子有三戒…
8. 孔子曰 君子有三畏…
9. 孔子曰 生而知之者…
10. 孔子曰 君子有九…
11. 孔子曰 見善如不及…
12. 齊景公有馬千駟호…
13. 陳亢問於伯魚曰 …
여닫기
陽貨 第十七
[疏]正義曰 : 此篇論陪臣…
1. 陽貨欲見孔子나 孔…
2. 子曰 性相近也나 …
3. 子之武城하사 聞弦…
4. 公山弗擾以費畔하야…
5. 子張問仁於孔子한대…
6. 佛肸召어늘…
7. 子曰 由也아 女聞…
8. 子曰 小子아 何莫…
9. 子曰 禮云禮云이 …
10. 子曰 色厲而內荏…
11. 子曰 鄉原은 德…
12. 子曰 道聽而塗說…
13. 子曰 鄙夫可與事…
14. 子曰 古者民有三…
15. 子曰 巧言令色은…
16. 子曰 惡紫之奪朱…
17. 子曰 予欲無言하…
18. 孺悲欲見孔子어늘…
19. 宰我問 三年之喪…
20. 子曰 飽食終日하…
21. 子路曰 君子尙勇…
22. 子貢曰 君子亦有…
23. 子曰 唯女子與小…
24. 子曰 年四十而見…
여닫기
微子 第十八
[疏]正義曰 : 此篇論天下…
1. 微子去之하고 箕子…
2. 柳下惠為士師하야…
3. 齊景公待孔子曰 若…
4. 齊人歸女樂하니 季…
5. 楚狂接輿歌而過孔子…
6. 長沮桀溺耦而耕이어…
7. 子路從而後러니 遇…
8. 逸民은 伯夷, 叔…
9. 大師摯適齊하…
10. 周公謂魯公…
11. 周有八士하니 伯…
여닫기
子張 第十九
[疏]正義曰 : 此篇記士行…
1. 子張曰 士見危致命…
2. 子張曰 執德不弘하…
3. 子夏之門人問交於子…
4. 子夏曰 雖小道라도…
5. 子夏曰 日知其所亡…
6. 子夏曰 博學而篤志…
7. 子夏曰 百工居肆以…
8. 子夏曰 小人之過也…
9. 子夏曰 君子有三變…
10. 子夏曰 君子信而…
11. 子夏曰 大德不踰…
12. 子游曰 子夏之門…
13. 子夏曰 仕而優則…
14. 子游曰 喪致乎哀…
15. 子游曰 吾友張也…
16. 曾子曰 堂堂乎張…
17. 曾子曰 吾聞諸夫…
18. 曾子曰 吾聞諸夫…
19. 孟氏使陽膚為士師…
20. 子貢曰 紂之不善…
21. 子貢曰 君子之過…
22. 衛公孫朝…
23. 叔孫武叔語大夫於…
24. 叔孫武叔毀仲尼어…
25. 陳子禽謂子貢曰 …
여닫기
堯曰 第二十
[疏]正義曰 : 此篇記二帝…
1. 堯曰 咨 爾舜아 …
2. 子張問[政]於孔子…
3. 孔子曰 不知命이면…
왼쪽메뉴 닫기
왼쪽메뉴 열기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30.
자
子
曰
仁遠乎哉
아
我欲仁
이면
斯仁至矣
리라
注
[注]包曰 仁道不遠
하니
行之卽是
라
疏
[疏]‘子曰 仁遠乎哉 我欲仁 斯仁至矣’
○正義曰:此章言仁道不遠, 行之卽是,
故曰 “仁道豈遠乎哉,
我欲行仁, 卽斯仁至矣.” 是不遠也.
자
子
께서 말씀하셨다.
“
인
仁
이 멀리 있겠는가.
내가
인
仁
을 하고자 하면
인
仁
이 이른다.”
注
포왈
包曰
:
인
仁
의 길이 멀리 있지 않으니, 이 길을 가는 것이 바로 인이다.
疏
경
經
의 [子曰 仁遠乎哉 我欲仁 斯仁至矣]
○正義曰:이
장
章
은
인
仁
의 길이 멀리 있지 않으니 이 길을 가는 것이 바로
인
仁
임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
인
仁
의 길이 어찌 멀리 있겠는가.
내가
인
仁
을 하고자 하면
인
仁
이 이른다.”고 하였으니,
인
仁
이 멀리 있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我欲仁 斯仁至矣
: 斯는 則과 같으니, 我欲仁則仁至矣라는 말이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방침
저작권안내
업무제휴문의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Open API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19 By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전페이지
목록
다음페이지
맨위로
맨아래로
이메일
번역 및 의견
평가
★★★★★
★★★★
★★★
★★
★
명문장 추천하기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