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1)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歐陽公 此時亦必聞范富所條之事 恐仁宗一時不肯遽行하고 又怕群小內攻이라
故先爲頂門一針語하니 所謂 是也
臣伏聞范仲淹富弼等 自被手詔之後 已有條陳事件하니 必須裁擇施行이리라
臣聞自古帝王致治 須待同心叶力之人이요 而君臣相得 謂之千載一遇之難이어늘
今仲淹等遇陛下聖明하니 可謂難遇之會 陛下有仲淹等하니 亦可謂難得之臣이라
陛下旣已傾心待之하고 仲淹等亦又各盡心思報
上下如此하니 臣謂事無不濟 但顧行之如何
伏況仲淹弼 是陛下特出聖意自選之人이니 初用之時 天下已皆相賀
然猶竊謂陛下旣能選之 未知用之如何耳러니 及見近日特開하야 從容訪問하고 親寫手詔하야 督責丁寧하니 然後中外喧然하야 旣驚且喜
此二盛事 固已朝報京師하고 暮傳四海하야 皆謂自來未曾如此責任大臣이라
天下之人 延首拭目하야 以看陛下欲作何事하고 此二人所報陛下 果有何能하니
是陛下得失 在此一擧 生民休戚 繫此一時
以此而言인댄 則仲淹等不可不盡心展效 陛下不宜不力主而行하야 使上不玷之明하고 下不失四海之望이라
臣非不知陛下專心銳志하니 必不自怠 而中外大臣 且憂國同心하니 必不相忌而沮難이라
然臣所慮者
仲淹等所言 必須先絶僥倖因循姑息之事라야 方能救數世之積弊 如此等事
皆外招小人之怨怒하야 不免浮議之紛紜이요
而姦邪未去之人 亦須時有讒沮리니
若稍聽之 則事不成矣리라
臣謂當此事初하야 尤須上下叶力이라
凡小人怨怒하면 仲淹等自以身當浮議姦讒하리니 陛下亦須力拒하소서
待其久而漸定이면 自可日見成功이리니
伏望聖慈留意하야 終始成之하면
則社稷之福이요 天下之幸也
取進止하소서


01. 범중엄范仲淹부필富弼 등이 일을 하도록 지지해줄 것을 논한 차자箚子
구양공歐陽公은 이때 역시 범중엄范仲淹부필富弼이 조목조목 진달한 일을 들었을 터이니, 인종이 일시에 대뜸 시행하려 하지 않을까 염려했고, 또 군소배群小輩들이 안에서 공격할까 걱정하였다.
그래서 먼저 정문일침頂門一鍼의 말을 하였으니, 이른바 ‘나운수拿雲手’가 바로 이것이다.
신은 삼가 듣건대 범중엄范仲淹부필富弼 등이 손수 쓰신 조서를 받은 뒤로 이미 사건을 조목조목 진달하였다 하니, 반드시 재량하여 시행하셔야 할 것입니다.
신은 듣건대 예로부터 제왕이 선치善治를 이루려면 반드시 마음을 같이하고 힘을 함께하는 사람이 필요하고, 임금과 신하가 서로 뜻이 맞는 것을 천재일우千載一遇의 어려움이라 합니다.
그런데 지금 범중엄 등은 성명聖明하신 폐하를 만났으니 만나기 어려운 회합이라 할 만하고, 폐하께서는 범중엄 등을 가지셨으니 또한 얻기 어려운 신하라 할 만합니다.
폐하께서 이미 마음을 기울여 대우하고 범중엄 등도 저마다 마음을 다해 보답할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상하가 이와 같으니, 신은 이루지 못할 일이 없고 다만 어떻게 시행하느냐에 달렸다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범중엄范仲淹부필富弼은 폐하께서 특별히 뜻을 내어 스스로 선발하신 사람들이니, 처음 그들을 기용할 때 천하 사람들이 이미 모두 경하하였습니다.
그런데도 신은 폐하께서 이미 그들을 능히 선발하셨으나 어떻게 그들을 쓸지는 알지 못한다고 생각했었는데, 근자에 특별히 손수 지으신 글을 내려 조용히 방문하고 친히 조서를 써서 간곡히 독책하시니, 그런 뒤에 중외가 떠들썩하면서 한편으론 놀라고 한편으론 기뻐함을 보았습니다.
이 두 가지 성대한 일은 진실로 이미 아침에 경사京師에 알려졌고 저녁에 사해에 전해져서, 사람들은 모두 종래에 이와 같이 큰 위임을 받은 대신이 없었다고들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천하 사람들이 목을 빼고 눈을 비비고서 폐하께서 무슨 일을 하고자 하시며, 이 두 사람이 폐하께 보답함에 과연 무슨 능력이 있는지 보고 있습니다.
이는 폐하의 득실이 이 한 가지 일에 있고 백성들의 고락이 이 한때에 달린 것입니다.
이로써 말한다면 범중엄 등은 마음을 다해 힘써 보답하지 않을 수 없고 폐하께서는 힘써 그들을 지지하여 시행하게 하여, 위로는 사람을 알아보는 밝음을 더럽히지 마시고 아래로는 사해 신민의 바람을 잃지 마소서.
폐하께서 마음을 모으시고 뜻을 가다듬으시니 필시 스스로 태만하지 않으실 것이고, 중외의 대신들은 또 나라를 걱정하여 마음을 합쳤으니 필시 서로 시기하고 저해하지 않을 것임을 신이 알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신이 염려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범중엄范仲淹 등이 말한, “요행으로 벼슬을 얻거나 고식적인 방식으로 그럭저럭 해나가는 일을 반드시 먼저 끊어야 비로소 몇 대에 걸친 적폐를 고칠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일들은
모두 밖으로 소인들의 원망과 분노를 초래해 근거 없는 비방이 시끄럽게 일어남을 면치 못할 것이고,
아직 제거되지 않은 간사한 자들도 때를 기다려 참소하고 방해할 터이니,
만약 조금이라도 그들의 말을 들어주면 일이 이루어지지 못할 것입니다.
신은 생각건대 지금 일의 처음을 만나 더욱 상하가 협력하여야 합니다.
무릇 소인들이 원망하고 분노하면 범중엄 등이 스스로 나서서 근거 없는 비방과 간사한 참소를 떠맡을 것이니, 폐하께서도 힘써 막으소서.
오래 지나서 점차 진정되면 절로 나날이 성공을 보게 될 것입니다.
삼가 바라건대 성상께서는 유의하시어 시종始終을 이루어주소서.
그렇게 하시면 사직의 복이요 천하의 다행일 것입니다.
성상께서 결정하소서.


역주
역주1 論乞主張范仲淹富弼等行事箚子 : 이 글은 仁宗 慶曆 3년(1043)에 지은 것이다. 당시 歐陽脩는 太常寺와 諫院에 있었다. 인종이 이해에 정치를 일신하기 위해 韓琦, 富弼, 范仲淹 등을 불렀다. 8월에 범중엄은 參知政事가 되었고, 부필은 樞密副使가 되었다. 歐陽脩가 이때 누차 上書하여 범중엄과 부필 두 사람은 재상의 자질이 있으므로 정치를 맡길 것을 건의하였다. 인종이 이 의견을 채납하여 ‘慶曆新政’을 열었다. 범중엄은 宋나라 吳縣 사람이고, 字는 希文, 諡號는 文正이다. 정치에 역량이 있어 치적이 많고 문장에도 뛰어났으며, 將才도 있어 西夏를 방어하여 이름이 당시에 울렸다. 富弼은 낙양 사람으로 자는 彦國, 시호는 文忠이다. 역시 정치에 뛰어나 知制誥, 樞密使, 中書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하였다.
역주2 拿雲手 : 구름을 잡는 손이란 말로, 솜씨가 매우 뛰어남을 뜻한다.
역주3 天章 : 군주가 지은 시문을 말한다. 南朝 陳나라 徐陵의 〈丹陌上庸路碑〉에 “御紙가 바람에 날리니, 바다가 출렁이듯 天章이 양양하다.[御紙風飛 天章海溢]” 하였다.
역주4 知人 : 제왕이 인재를 알아보는 밝은 지혜를 말한다. 禹가 皐陶와 정사의 요체를 말하면서 “인재를 알면 지혜가 밝은 것이니, 능히 사람을 관직에 임용할 수 있다.[知人則哲 能官人]” 한 데서 온 말이다. 《書經 虞書 皐陶謨》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