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1)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當時揣上下必聽其稱臣處和矣어늘 歐公特欲持重此事하야 以籠西夏
蓋由陛下至聖至明하야 不苟目前之事하고 能慮嚮去之憂하야 斷自宸衷하야 決定大議
然數日來 風聞頗有無識之人 妄陳愚見하야 不思遠患하고 欲急就和라하니 臣雖知必不能上惑聖聰이나 然亦慮萬一少生疑沮 則必壞已成之計
臣職在言責 理合辨明이라
伏自西賊請和以來 衆議頗有異同하야
多謂朝廷若許賊不稱臣이면 則慮北戎別索中國名分이라하니 此誠大患이라
然臣猶謂
縱使賊肯稱臣이라도 則北戎尙有邀功責報之患이니 是臣與不臣 皆有後害
如不得已인댄 則臣而通好 猶勝不臣이나
然於後患不免也
此有識之士憂國之人所以不願急和者也
今若不許通和라도 不過懼賊來寇耳
且數年西兵遭賊而敗하니 非是賊能善戰이요 蓋由我自繆謀
今如遣范仲淹處置邊防하야 稍不失所 賊之勝負 尙未可知
以彼驕兵으로 當吾整旅하야 使我因而獲勝이면 則善不可加어니와 但得兩不相傷이라도 亦已挫賊銳氣 縱仲淹不幸小敗라도 亦所失不至如前後之繆謀
是比於通和之後 別有大患이면 則所損猶少 此善筭之士見遠之人所以知不和害小而不懼未和也
臣謂方今不羞屈志急欲就和者 其人有五하니
一曰不忠於陛下者 欲急和하며 二曰無識之人 欲急和하며 三曰姦邪之人 欲急和하며 四曰疲兵懦將 欲急和하며 五曰陝西之民 欲急和
自用兵以來 居廟堂者勞於斡運하고 在邊鄙者勞於戎事하니
若有避此勤勞하야 苟欲陛下屈節就和하야 而自偸目下安逸하고 他時後患 任陛下獨當이면
此臣所謂不忠之臣欲急和者也
和而偸安 利在目下하고 和後大患 伏而未發하니 此臣所謂無識之人欲急和者也
自兵興以來 陛下憂勤庶政이어늘 今小人但欲苟和之後 寬陛下以太平無事하야 而望聖心怠於庶政하고 因欲進其邪佞하야 惑亂聰明이라
大抵古今人主憂勤 小人所不願也 此臣所謂姦邪之人欲急和也
屢敗之軍 不知得人則勝하고 但謂賊來常敗하니 此臣所謂懦將疲兵欲急和也
此四者皆不足聽也
惟西民困乏하니 意必望和
請因宣撫하야 使告以朝廷非不欲和而賊未遜順之意然後
深戒有司하야 寬其力役 可也
其餘一切小人無識之論 伏望聖慈絶而不聽하야
使大議不沮하고 而善算有成이면 則社稷之福也
謹具狀奏聞하고 伏候勅旨하노이다


03. 서적西賊화친和親을 맺는 것의 이해를 논한
생각해보면 당시에 상하가 필시 서하西夏칭신稱臣하고 강화하자는 요청을 들어주었을 터인데, 구양공歐陽公은 유독 이 일에 신중을 기하여 서하를 농락하고자 하였다.
신은 여정如定 등이 경사京師에 도착한 이래로 삼가 듣건대 “조정의 의논은 적이 ‘오조吾祖’라 칭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고 반드시 칭신稱臣하게 한 뒤에야 강화를 허락하고자 한다.”고 하니, 이는 바로 국가의 큰 계책이요 조정의 타당한 계책입니다.
대개 폐하께서 지극히 성명聖明하시어 목전의 일에 구차히 얽매이지 않고 과거의 우환을 생각하여 성심聖心으로 판단하여 큰 의논을 결정하셨습니다.
그러나 며칠 이래로 풍문으로 듣건대 식견 없는 사람이 어리석은 견해를 함부로 진달하여 먼 앞날의 우환을 생각하지 않고 급히 강화를 맺고자 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고 하니, 필시 위로 성상의 총명을 미혹시킬 수 없다는 것은 신이 비록 알지만 만일 조금이라도 의심하고 머뭇거리는 마음이 생기면 이미 이루어진 계책을 반드시 무너뜨릴까 또한 염려됩니다.
신은 직분이 언책言責에 있는 터라 이치상 응당 이 문제의 옳고 그름을 변별하여 밝혀야 합니다.
삼가 생각건대 서적西賊(서하)이 강화를 청한 이래로 뭇사람들의 의논이 자못 달랐습니다.
대다수 “조정이 적이 칭신稱臣하지 않는 것을 허락한다면 북융北戎(거란)이 따로 중국에 대해 명분을 찾을 것이다.” 하니, 이는 진실로 큰 근심거리입니다.
그러나 신은 외려 이렇게 생각합니다.
비록 적이 기꺼이 칭신하더라도 북융은 오히려 공로를 내세우고 보답을 요구할 우려가 있으니, 이는 칭신하거나 칭신하지 않거나 간에 모두 후환이 있는 것입니다.
만약 부득이한 경우에는 적이 칭신해서 강화를 맺는 것이 그래도 칭신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그러나 후환은 면치 못할 것입니다.
이것이 식견 있는 선비와 국가를 근심하는 사람이 급히 강화하는 것을 원치 않는 까닭입니다.
지금 만약 강화를 맺는 것을 허락하지 않더라도 적이 와서 침략할까 지나치게 두려워할 것은 없습니다.
게다가 몇 해 동안 서쪽 변방의 우리 군사들이 적을 만나서 패하였으니, 이는 적이 잘 싸워서가 아니라 대개 우리가 계책을 잘못 세웠기 때문이었습니다.
지금 만약 범중엄范仲淹을 보내 변방의 방어를 처리하게 하여 조금도 실수하지 않으면 적과의 승부는 오히려 알 수 없습니다.
저들의 교만한 병사로 우리의 정돈된 군대를 만나서 가사 우리가 승리를 거둔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단지 양쪽이 모두 피해를 입지 않더라도 이미 적의 예기를 꺾을 것이고, 비록 범중엄이 불행히 조금 패전하더라도 그 손실은 그동안 잘못된 계책과 같은 데 이르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는 강화를 맺은 뒤에 따로 큰 우환이 있는 것에 비하면 손실은 오히려 적을 터이니, 이것은 계책을 잘 세우는 선비와 식견이 원대한 사람이 강화하지 않는 것이 해가 작음을 알아서 강화하지 않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까닭입니다.
신은 생각건대 지금 뜻을 굽힘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서둘러 강화를 맺고자 하는 자는 다섯 부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첫째는 폐하께 불충한 자가 강화를 서두르고자 하며, 둘째는 식견 없는 사람이 강화를 서두르고자 하며, 셋째는 간사한 사람이 강화를 서두르고자 하며, 넷째는 피로한 병졸과 나약한 장수가 강화를 서두르고자 하며, 다섯째는 섬서陝西 지방 사람들이 강화를 서두르고자 합니다.
군사를 동원한 이래로 묘당廟堂에 있는 사람은 계책을 운용하느라 수고하고 변방에 있는 사람은 전투를 하느라 수고하였으니,
만약 이 수고를 회피하여 폐하로 하여금 절개를 굽혀 강화를 맺게 하여 자신은 목전의 안일만을 잠시 누리고 뒷날의 후환은 폐하께서 홀로 책임지건 말건 아랑곳하지 않는다면,
이는 신이 말한 ‘불충한 신하가 강화를 서두르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강화하여 잠시 안일한 것은 이익이 목전에 있고 강화한 뒤 큰 우환은 숨어서 나타나지 않으니, 이것이 신이 말한 ‘식견 없는 사람이 강화를 서두르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병란이 일어난 이래로 폐하께서는 온갖 정무를 보느라 근심하고 근면하시거늘, 지금 소인들은 단지 구차히 강화한 뒤에는 태평무사한 시대라는 말로 폐하의 마음을 느긋하게 풀어놓아 폐하의 마음이 정무에 태만하기를 바라고, 이어서 간사한 말을 올려 폐하의 총명을 어지럽히려 하고 있습니다.
대저 고금에 임금이 정무를 보느라 근심하고 근면한 것은 소인이 바라지 않는 바이니, 이것이 신이 말한 ‘간사한 사람이 강화를 서두르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누차 패전한 군사는 좋은 인재를 얻으면 승리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단지 적이 오면 늘 패한다고만 하니, 이것이 신이 말한 ‘나약한 장수와 피로한 병졸이 강화를 서두르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이 네 가지는 모두 들으실 만한 것이 못 됩니다.
오직 서쪽 변방 사람들이 시달리고 궁핍하니, 생각건대 필시 강화를 바랄 것입니다.
청컨대 선무宣撫하시는 차제에 ‘조정이 강화하고자 하지 않는 게 아니라 적이 공순恭順하지 못하다.’는 뜻을 일러주소서.
그런 뒤에 유사有司를 깊이 경계시켜 그 역역力役의 부담을 느슨히 줄여주도록 해야만 할 것입니다.
그 나머지 일체 소인들의 식견 없는 말들은 삼가 바라옵건대 성상께서 끊어버리고 듣지 마소서.
그리하여 큰 논의가 저지되지 않고 좋은 계책이 성공을 거두게 된다면 사직의 복일 것입니다.
삼가 을 갖추어 아뢰고 엎드려 칙지勅旨를 기다립니다.


역주
역주1 論西賊議和利害狀 : 이 글은 仁宗 慶曆 3년(1043)에 지어진 것이다.
역주2 右臣伏自如定等到京以來…許和 : 慶曆 3년(1043)에 西夏의 임금인 趙元昊가 사신을 보내 강화를 청하면서 “남방 泥定國 兀卒은 부친 대송황제께 글을 올립니다.[男邦泥定國兀卒 上書父大宋皇帝]” 하고 조원호란 이름을 曩霄로 고치고 칭신하지 않았다. 兀卒은 바로 吾祖란 뜻으로 可汗이란 호칭과 같다. 송나라 조정에서는 “吾祖를 올졸로 고친 것은 송나라 조정을 모독하는 것이니, 허락할 수 없다.” 하였다. 올졸은 옛날 羌族의 한 부족인 黨項의 말로 서하 임금의 자칭이다. 《宋史 外國傳 夏國 上》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