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6)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李守貞 河陽人也 晉高祖鎭河陽할새 以爲客將하고 其後常從高祖라가 高祖卽位 拜客省使하다 하다
出帝卽位 楊光遠反하야 召契丹入寇하니 守貞領義成軍節度使하야 爲侍衛親軍都虞候하야 從出帝幸澶州
以奇兵入鄆州하야하야 柵於河東이어늘 守貞馳往破之하니 契丹兵多溺死하고 獲馬數百匹裨將七十餘人이라
徙領泰寧軍節度使하야 以兵二萬討之하니 光遠降이어늘 其故吏宋顔悉取光遠寶貨名姬善馬하야 獻之守貞이라 守貞德之하야 陰置顔麾下
是時 凡出師破賊 必有德音하야 赦其餘類한대 而光遠黨與十餘人皆亡命하야 捕之甚急이라 樞密使桑維翰緩其制書하야 久而不下러니
言事者告顔匿守貞所하야 詔取顔殺之 守貞大怒하야 乃與維翰有隙하다
賊平行賞 守貞悉以黦茶給之하니 軍中大怒하야 以帛裹之하야 爲人首하야 梟於木間曰 守貞首也라하다
守貞以功拜同平章事하고 賜以光遠舊第어늘 守貞取旁官民舍하야 大治之하야 爲京師之甲이라 出帝臨幸하야 燕錫恩禮 出於諸將하다
契丹入寇하야 出帝再幸澶州할새 杜重威爲北面招討使하고 守貞爲都監이라 晉兵素驕어늘 而守貞重威爲將하야 皆無節制하니 行營所至 居民豢圉一空하고 至於草木皆盡이라
이라하야 出入之費 常不下三十萬하니 由此 晉之公私重困이라
守貞與重威等으로 攻下秦州하고 破滿城하야 殺二千餘人이라 爲侍衛親軍都指揮使하고 領天平軍節度使하고 又領歸德하다
是時 이어늘 延壽詐言思歸하니 願得晉兵爲應하며 而契丹亦詐以瀛州降하니 出帝以爲然하야 命杜重威等將兵應之하다
晉大臣皆言重威不忠하야 有怨望之心하니 不可用이라하야늘 乃用守貞이라
是時 重威鎭魏州한대 守貞嘗將兵往來過魏 重威待之甚厚하야 多以戈甲金帛奉之
出帝嘗謂守貞曰 卿嘗以家財散士卒하니 可謂忠於國者乎인저라하야늘 守貞謝曰 皆重威與臣者라하고 因請與重威俱北이라
於是 卒以重威爲招討使하고 守貞爲都監하야 屯于하다 契丹寇鎭定하니 守貞等軍于中渡라가 遂與重威降于契丹이라
契丹以守貞爲司徒하고 拜守貞天平軍節度使하다
守貞來朝하니 拜太保河中節度使하다
하니 守貞懼不自安하야 以謂漢室新造하고 隱帝初立하니 天下易以圖
而門下僧總倫以方術陰干守貞하야 爲言有非常之相이라하야늘 守貞乃決計反이라
而趙思綰先以京兆反하야 遣人以遺守貞하니 守貞大喜하야 以爲天人皆應이라하고 乃發兵하야 西據潼關하야 招誘草寇하니 所在竊發이라
漢遣白文珂常思等하야 出軍擊之한대 已而 王景崇又以鳳翔反이라 景崇與思綰으로 遣人推守貞爲秦王하니 守貞拜景崇等官爵하고 又遣人間以遺吳蜀契丹하야 使出兵以牽漢이라
文珂等攻景崇思綰하야 久無功이어늘 隱帝乃遣樞密使郭威하야 率禁兵將文珂等하야 督攻之 諸將皆請先擊思綰景崇이어늘 威計未知所向이라
行至華州 節度使扈彥珂謂威曰 三叛連衡하야 以守貞爲主하니 守貞先敗 則思綰景崇可傳聲而破矣 若捨近圖遠하야 使守貞出兵于後하고 思綰景崇拒戰于前이면 則漢兵屈矣라하야늘 威以爲然하야 遂先擊守貞하다
是時 馮道罷相하야 居河陽한대 威初出兵 過道家問策이라 道曰 君知博乎아라하야늘 威少無賴하야 好蒲博이라 以爲道譏之하야 艴然而怒
道曰 凡博者錢多則多勝하고 錢少則多敗하나니 非其不善博이라 所以敗者 勢也니라 今合諸將之兵하야 以攻一城하니 較其多少 勝敗可知라하니 威意大悟하야 謀以遲久困之하야
乃與諸將으로 分爲三柵하야 柵其城三面하되 而闕其南하고 發五縣丁夫하야 築長城以連三柵이라
守貞出兵하야 壞長城하니 威輒補其所壞하고 守貞輒出爭之어늘 守貞兵常失十三四
如此逾年 守貞城中兵無幾而食又盡하야 殺人而食하니 威曰 可矣라하고 乃爲期日하야 督兵四面攻而破之하다
守貞召總倫하야 問以濟否하니 總倫曰 王當自有天下方災하니 俟殺人垂盡이면 則王事濟矣라하야늘 守貞以爲然이라
及城破 守貞與妻子自焚한대 漢軍入城하야 於煙燼中 斬其首하야 傳送京師하야 梟於南市하고 하다


05. 이수정李守貞전기傳記
이수정李守貞하양河陽 사람이다. 고조高祖가 하양을 진수鎭守할 때 객장客將으로 삼았고 그 뒤에도 늘 고조를 따르다가 고조가 즉위하자 객성사客省使에 배수되었다. 안주安州에서 마전절馬全節이금전李金全을 격파하는 것을 감군監軍하여 그 공로로 선휘사宣徽使에 배수되었다.
출제出帝가 즉위하자 양광원楊光遠이 반란을 일으켜 거란契丹을 불러들여 침공하도록 하니, 이수정이 의성군절도사義成軍節度使를 맡고 시위친군도우후侍衛親軍都虞候가 되어 출제를 따라 전주澶州로 갔다.
마답麻答기병奇兵으로 운주鄆州로 들어와 마가구馬家口를 건너 하동河東에 영채를 세우자 이수정이 급히 가서 격파하니 거란 병사 대부분이 물에 빠져 죽었고 말 수백 필을 얻고 거란의 비장裨將 70여 명을 사로잡았다.
태령군절도사泰寧軍節度使로 자리를 옮겨 2만의 병사로 양광원을 토벌하니 양광원이 항복하였는데 양광원의 옛 관속官屬 송안宋顔이 양광원의 보화寶貨와 아름다운 여인과 좋은 말을 모두 가져다 이수정에게 바쳤다. 그러자 이수정이 고맙게 여겨 송안을 몰래 휘하에 두었다.
이때 군대가 출정하여 적을 격파하면 반드시 덕음德音을 내려 나머지 당여黨與들의 죄를 사면해주었는데, 양광원의 당여 10여 명이 모두 도주하여 이들을 체포하기 위해 긴급하게 수색을 하던 중이었으므로 추밀사樞密使 상유한桑維翰이 잔당들의 죄를 사면하는 제서制書의 시행을 늦추어 오랫동안 하달下達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정사政事를 논하는 관원이 이수정의 처소에 송안을 숨긴 사실을 고발하여 조서詔書를 내려 송안을 잡아다 주살誅殺하니 이수정이 크게 노하여 마침내 상유한과 틈이 벌어졌다.
적을 평정하고 논공행상論功行賞할 때 이수정이 장사將士들에게 모두 검게 변질된 염목染木을 지급하니 군중軍中이 크게 노하여 명주를 싸서 말아 사람머리 모양으로 만들어 나무 사이에 효시梟示하고서 말하기를 “이수정의 머리이다.”라고 하였다.
이수정은 전공戰功으로 동평장사同平章事에 배수되고 양광원의 옛 저택을 하사받았는데 이수정이 주위의 관사官舍민가民家를 빼앗아 크게 저택을 수리하여 경사京師에서 으뜸가는 집이 되었다. 출제가 이수정의 저택에 거둥하여 연회를 열어 은례恩禮를 베푼 것이 다른 장수들보다 월등하였다.
거란契丹이 침공하여 출제出帝가 다시 전주澶州로 거둥할 때 두중위杜重威북면초토사北面招討使가 되고 이수정李守貞도감都監이 되었다. 나라 병사들은 본래 교만방자하였는데 이수정과 두중위가 장수가 되어 모두 단속을 하지 않으니 행영行營이 이르는 곳마다 백성들의 외양간이 텅 비고 심지어 초목까지 다 없어졌다.
처음 군대가 출병할 때 상급을 하사하면서 “괘갑전掛甲錢”이라 하였고 군대가 돌아오자 또 노고를 치하하는 상급을 더 내려 “사갑전卸甲錢”이라 하여 군대가 들고 나는 비용이 항상 30을 밑돌지 않으니 이 때문에 진나라의 관부와 민간의 곤궁이 가중되었다.
이수정이 두중위 등과 함께 진주秦州를 공격하여 함락하고 만성滿城을 격파하여 2천여 명을 살해하였다. 돌아와서 시위친군도지휘사侍衛親軍都指揮使가 되고 천평군절도사天平軍節度使를 맡고 또 귀덕군歸德軍을 맡았다.
이때에 출제出帝가 사람을 보내 서신으로 조연수趙延壽를 불러 본국으로 돌아오게 하였는데 조연수가 거짓으로 돌아가고 싶으니 나라의 병력이 호응해 주기를 원한다고 말하였으며 거란契丹고모한高牟翰 역시 거짓으로 영주瀛州를 가지고 항복하니 출제가 그 말을 믿고서 두중위杜重威 등에게 명하여 병사를 이끌고 호응하게 하였다.
당초에 진나라 대신大臣들이 모두 말하기를 “두중위는 불충不忠하여 원망하는 마음을 품고 있으니 등용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하여 마침내 이수정李守貞을 등용하였다.
이때 두중위는 위주魏州진수鎭守하고 있었는데 이수정이 일찍이 병사를 이끌고 왕래하다가 위주를 지나게 되면 두중위가 매우 후하게 대우하여 창과 갑옷 등의 병장기와 금과 비단 등의 폐물을 많이 증여하였다.
출제가 일찍이 이수정에게 이르기를 “이 일찍이 가재家財를 내어 사졸士卒들에게 나누어 주었으니 나라에 충성하는 자라고 이를 만하도다.”라고 하였는데, 이수정이 겸양하며 말하기를 “이는 모두 두중위가 신에게 준 것입니다.”라고 하고 이어서 두중위와 함께 북쪽으로 출병하기를 청하였다.
이에 마침내 두중위를 초토사招討使로 삼고 이수정을 도감都監으로 삼아 무강武疆에 주둔시켰다. 거란이 진주鎭州정주定州를 침공하니 이수정 등이 중도中渡에 주둔하고 있다가 마침내 두중위와 함께 거란에 투항하였다.
거란이 이수정을 사도司徒로 삼았고 거란이 경사京師를 침범할 때 이수정을 천평군절도사天平軍節度使에 배수하였다.
고조高祖경사京師에 입성하자 이수정李守貞이 와서 조현朝見하니 태보太保 하중절도사河中節度使에 배수하였다.
고조가 붕어崩御하고 두중위가 죽으니, 이수정이 두려워 불안해하면서 ‘나라는 새로 일어났고 은제隱帝는 막 즉위하였으니 천하를 도모해보기 쉽다.’라고 생각하였다.
문객門客으로 있는 승려 총륜總倫방술方術로 이수정의 마음을 몰래 얻고자 하여 이수정에게 비상非常이 있다고 말하자 이수정이 마침내 계책을 결정하여 반란하였다.
조사관趙思綰이 이보다 먼저 경조京兆를 가지고 반란을 일으키고서 사람을 보내 자황의赭黃衣를 이수정에게 보내니 이수정이 크게 기뻐하며 하늘과 사람이 모두 감응한다고 여기고 마침내 출병하여 서쪽으로 동관潼關을 점거하고서 산림山林의 도적들을 꾀어내 도처에서 몰래 난을 일으키게 했다.
한나라에서 백문가白文珂상사常思 등에게 출병하여 공격하게 하였는데 얼마 후 왕경숭王景崇이 또 봉상鳳翔을 가지고 반란을 일으켰다. 왕경숭이 조사관과 함께 사람을 보내 이수정을 진왕秦王으로 추대하니 이수정이 왕경숭 등에게 관작官爵을 배수하고 또 사람을 보내 은밀히 납환서蠟丸書거란契丹에 주어 출병하여 한나라를 견제하게 하였다.
백문가 등이 왕경숭과 조사관을 공격하여 오랫동안 전공戰功을 세우지 못하자 은제가 이에 추밀사樞密使 곽위郭威를 보내 금병禁兵을 이끌고 백문가 등을 거느리고서 공격을 독려하게 하였다. 여러 장수들이 모두 먼저 조사관과 왕숭경을 칠 것을 청하였는데 곽위가 계책을 어떻게 정해야 할 지 판단을 내리지 못하였다.
행군하여 화주華州에 이르렀을 때 절도사 호언가扈彥珂가 곽위에게 이르기를 “세 반적叛賊이 연합하여 이수정을 주인으로 삼았으니 이수정이 먼저 패하면 조사관과 왕숭경은 소문만 듣고도 격파될 것입니다. 만약 가까운 곳을 버려두고 먼 곳을 도모하다가 이수정은 후방에서 병사를 내고 조사관과 왕숭경은 앞에서 항전하게 한다면 한나라 병사들이 꺾일 것입니다.”라고 하자 곽위가 옳게 여기고 마침내 먼저 이수정을 공격하였다.
이때 풍도馮道가 재상에서 파직되어 하양河陽하고 있었는데 곽위郭威가 처음 출병하였을 때 풍도의 집에 들러 계책을 물었다. 풍도가 말하기를 “그대는 도박賭博을 아시오?”라고 하였는데, 곽위는 어릴 때 무뢰배로 도박을 좋아하였으므로 풍도가 자신을 기롱한다고 여겨 불끈 성을 내었다.
풍도가 말하기를 “무릇 도박하는 자는 돈이 많으면 많이 이기고 돈이 적으면 많이 패하는 법이니, 도박을 잘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패배의 원인이 판세에 있기 때문이오. 지금 여러 장수의 병사를 합쳐 성 하나를 공격하니, 병력의 많고 적음을 비교해보면 승패를 알 수 있소.”라고 하니, 곽위가 크게 깨닫고 지구전으로 적을 피곤하게 할 계책을 세웠다.
그리고 마침내 여러 장수들과 병력을 나누어 세 영채를 만들어 성의 세 면에 세우되 그 남쪽은 영채를 세우지 않고서 다섯 의 장정을 징발하여 장성長城을 쌓아 세 영채와 연결하였다.
이수정이 출병하여 장성을 무너뜨리니 곽위는 그때마다 무너진 곳을 보수하였고 이수정은 그때마다 나와서 싸웠는데 이수정은 항상 병력의 열에 서넛을 잃었다.
이렇게 한 해를 넘기자 이수정의 성 안 병력은 얼마 없게 되었고 식량마저 다 떨어져 사람을 죽여 먹으니, 곽위가 “되었다.”라고 하고는 마침내 날을 정해 병사를 독려하여 사면에서 공격하여 이수정을 격파하였다.
당초에 이수정李守貞총륜總倫을 불러 왕업을 이룰 수 있을지 물으니, 총륜이 말하기를 “왕께서는 응당 천하를 소유하실 것입니다. 그러나 왕의 분야分野에 바야흐로 재앙이 있으니 사람들을 살육하는 일이 다 끝나기를 기다려서 하시면 왕의 사업을 이루실 것입니다.”라고 하자, 이수정이 옳게 여겼다.
한번은 장리將吏들과 모여 크게 술을 마시다가 이수정이 손가락으로 호랑이 그림을 가리키며 말하기를 “내가 천명天命을 받을 사람이라면 호랑이의 발바닥을 맞힐 것이다.”라고 하고 활을 당겨 한 발에 맞히니 장리들이 모두 절하며 경하慶賀하였다. 이 일로 이수정은 더욱 자부하였다.
성이 격파되자 이수정이 처자식들과 스스로 분사焚死하였는데 나라 군대가 입성하여 잿더미 속에서 그 시신의 머리를 참하여 경사京師전송傳送하여 남시南市효시梟示하고 그 잔당들은 모두 책살磔殺하였다.


역주
역주1 李守貞傳 : 李守貞(?~949)은 河陽 사람으로 後晉 高祖 밑에서 벼슬을 시작하여 수차례 전공을 세워 마침내 후진의 重臣이 된 인물이다. 이수정의 열전은 ≪舊五代史≫ 卷109 〈漢書 第11 列傳6〉과 ≪新五代史≫ 卷52 〈雜傳 第40〉에 실려 있다. 구양수가 ≪신오대사≫에서 악한 이를 징계하고 의로운 이를 드높인 포폄의 저술방식은 이 열전에서도 드러난다. ≪구오대사≫와 ≪신오대사≫의 기술을 비교해보면 ≪구오대사≫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이수정의 전공들은 ≪신오대사≫에서는 대개 축약하여 기술한 반면, 이수정의 극악무도하고 간교함을 보여주는 일화들은 축약 없이 도드라지게 기술되어 있다. 이는 구양수가 이수정이라는 인물을 惡人으로 평가하고 징계하고자 한 의도를 드러낸 것이다. 이수정은 楊光遠을 토벌한 뒤 양광원의 재물과 여인을 가져다 바친 宋顔이라는 자를 조정의 방침과 다르게 숨겨주기도 하고 병사들에게 질이 낮은 물품을 지급하여 원성을 사기도 했으며 휘하의 병사를 통제하지 않아 민간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고 杜重威와 같이 협력하여 권력을 농단하다가 마침내는 그와 함께 진나라가 자신에게 베푼 國恩을 잊어버리고 거란에 투항하기까지 하였다. 마침내 後漢이 들어서자 자신이 축출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妖僧의 말을 믿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스스로 불에 타 죽고 시신은 참수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신오대사≫는 이수정이 節義나 덕이 없고 반복무상하며 이익과 권세만 탐닉한 전형적인 五代 시기의 무뢰배임을 드러내기 위해 위의 일화들로 열전을 점철하였다.
역주2 監馬全節軍破李金全于安州 以功拜宣徽使 : 李金全(?~?)은 본래 土谷渾 사람으로 後晉 때 安遠軍節度使를 지냈고 반란을 일으켜 南唐으로 투항하였다.
역주3 麻答 : 契丹의 장수 耶律麻答이다. 후에 耶律德光을 따라 後晉을 멸망시켰다.
역주4 馬家口 : 山東 東平縣 서북쪽에 있다. 後唐 莊宗과 後梁의 王彦章이 전투를 벌인 곳이기도 하다.
역주5 染木 : 染木은 물들인 포목과 오렴된 포목이라는 뜻으로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물들인 포목이라는 뜻으로 쓰이나, 黦茶의 쓰임을 고려하면 오염된 포목이라는 뜻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舊五代史≫에는 ‘黦茶, 染木, 薑藥’이라고 되어 있어 뒤의 ‘薑藥’을 고려하면 하찮은 물건의 일종으로 물들인 포목을 연용한 것일 수도 있다. 우선은 번역하지 않고 원문을 그대로 둔다.
역주6 其始發軍也……卸(사)甲錢 : 掛甲은 갑옷을 걸친다는 뜻이고 卸甲은 갑옷을 푼다는 뜻이다.
역주7 出帝遣人以書招趙延壽使歸國 : 趙延壽는 後唐 明宗의 駙馬로 후당에서 樞密使와 同平章事 등을 지냈다. 그러다가 後晉 때 契丹에 패배한 뒤 투항하여 거란의 幽州節度使와 추밀사가 되었다. 출제가 불렀다는 것은 조연수에게 다시 후진으로 투항하라고 한 것이다. 후에 조연수는 거란이 후진을 침공할 때 함께 출전하여 후진을 멸망시키고 그 전공으로 中京留守가 되었다.
역주8 高牟翰 : ?~959. 高模翰으로도 표기하며 高松이라고도 한다. 渤海의 遺民으로 발해가 契丹에 멸망하자 高麗로 망명하여 太祖 王建의 사위가 되었으나 왕의 첩을 아내로 삼았다가 죄를 받아 거란으로 달아났다. 거란의 장수가 되어 後唐과 後晉의 공격을 모두 물리쳤다. 거란에서 特進檢校太師, 開府儀同三司, 左相 등을 지냈다.
역주9 武疆 : 지금의 河南省 鄭州市 일대에 있던 지명이다.
역주10 契丹犯京師 : 947년에 契丹이 침공하여 汴京을 함락한 사건을 가리킨다.
역주11 漢高祖入京師 : 漢 高祖는 五代 後漢의 개국자인 劉知遠이다. 유지원은 후진이 망하여 出帝가 契丹으로 압송된 뒤 거란에 축하 사신을 보내 거란과 우호 관계를 맺었다. 당시 황하 연안에서는 漢族의 저항이 거세어 거란은 일단 북쪽으로 철수하였고 이 틈에 유지원이 汴京에 입성하여 후한을 세웠다.
역주12 高祖崩 杜重威死 : 後漢 高祖 劉知遠은 後漢을 건국한 지 1년 만에 病死하였다. 杜重威는 비록 후한에 투항하였으나 고조는 그를 믿지 않았고, 병사할 때 두중위를 잘 방비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고조가 죽은 후 후한의 대신들이 그와 그의 아들들을 체포하여 주살하였다.
역주13 赭(자)黃衣 : 赭黃袍로 주황색이며 천자가 입는 의복이다.
역주14 蠟丸書 : 밀랍을 뭉쳐서 그 안에 서류를 넣은 密書이다.
역주15 分野 : 고대에 星次와 대응하는 지역을 일컫던 말이다. 하늘을 12성차의 위치에 따라 지상의 지역과 나라의 위치를 대응시켰는데, 이것을 천상에서는 分星이라고 하고 지상에서는 분야라고 하였다.
역주16 守貞指畫虎圖……守貞益以自負 : ≪舊五代史≫ 卷109 〈漢書 第11 列傳6〉에는 “이수정이 활과 화살을 잡고 멀리 호랑이가 발바닥을 핥고 있는 그림을 가리키며 말하기를 ‘나에게 만약 비상한 일이 있다면 마땅히 호랑이의 혀를 맞힐 것이다.’라고 하고 활을 당겨 한 발에 맞히니 좌우의 사람들이 절하고 경하하였으며 이수정 역시 자부하였다.[守貞執弧矢 遙指一虎舐(지)掌圖曰 我若有非常之事 當中虎舌 引弓一發中之 左右拜賀 守貞亦自負焉]”라고 되어 있다.
역주17 其餘黨皆磔(책)之 : 磔은 磔裂로 수레에 사람의 몸을 묶어 찢어 죽이는 형벌이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